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emin Park Dec 18. 2017

미디어, 미디어 상품, 미디어 기업, 미디어 산업

뉴스 미디어 스타트업이란 무엇인가 (5)

미디어

1964년 마샬 맥루한(Marshall McLuhan)은 인간의 연장(extension)으로서 미디어의 개념을 제시했다 [1]. 그에 따르면 미디어를 통해 인간의 신체와 정신이 확장되며 인간의 능력은 확대되고 삶은 바뀌게 된다. 일반적으로는 미디어란 메시지를 담아서 수용자들에게 보내는 용기(message vehicle)이다 [2]. 1960년대 들어 매스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미디어는 신문, 방송(TV, 라디오), 잡지, 출판 등을 일컫는 용어가 됐다.



일반적으로 미디어 상품은 정보재(information goods), 이중재(dual goods), 재능재(talent goods), 상징재(symbolic product), 공익재(public utilities), 공공재(public goods) 등의 특성을 갖는다 [3].


정보재란 정보로 이루어진 재화를 뜻한다. 미디어 상품은 정보재로서 여러 세부적인 특징을 갖는다. 첫째, 규모의 경제다. 미디어 상품은 초판 제작에는 많은 고정비가 들지만, 정보재로서 IT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제 및 유통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 즉 소비될수록 한계비용이 낮아진다. 둘째, 범위의 경제의 특성을 갖는다. 즉 다양한 플랫폼과 채널에 많은 상품을 배급할수록 비용이 낮아진다. 따라서 고급 콘텐츠는 최초 판매로 제작비를 충당하는데 실패하더라도 지속적인 유통을 통해 제작비를 회수할 수 있다.

미디어 상품은 다면 시장에서 유통되는 이중재이기도 하다. 고객은 사용자 외에도 광고주가 있다. 미디어 시장은 사용자가 콘텐츠에 주목한 시간을 광고주에게 파는 시간 시장이며 주목의 경제(attention economy)에서 경쟁한다. 미디어 상품은 주목재(attention goods)이기도 하다 [4]. 미디어 상품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가치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미디어 상품은 창조 산업(creative industry)에서 창의성에 따라 만들어지는 재능 재이다 [5]. 특히 스타가 중시된다. 그러나 그만큼 성공 요인을 알기 힘든, 불확실성이 큰 상품이기도 하다 [6].

미디어 상품은 경제적 가치 외에도 문화적 가치를 갖는 상징재이기도 하다. 미디어 상품은 공익재로 간주되기도 한다. 미디어 상품의 제3의 고객으로서 사회를 제시하는 경우도 있다. 미디어 상품이 상장재이자 문화재라는 측면 때문에 미디어 산업에 대한 규제 요인이 된다 [7]. 미디어 산업은 기본적으로 상징재를 시장을 통해 공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미디어 상품은 공공재 성격도 갖는다. 공공재는 비경합성과 비배제성을 특징으로 한다. 미디어 상품은 한 개의 소비가 다른 개인의 소비 효용을 줄이지 않는 비경합성과 비용을 부담하지 않은 개인을 소비에 배제할 수 없는 비배제성을 갖는다. 이는 근본적으로 미디어 상품 가격을 공짜로 수렴시키는 힘이기도 하다.


미디어 기업, 미디어 산업

미디어 기업이란 인간의 생활을 경제적, 사회적으로 풍요롭게 하기 위해 미디어 상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조직이다 [8]. 미디어 기업은 미디어 산업의 구성원으로 복합기업(media conglomerate)의 형태가 많다. 전통적인 미디어 산업에는 라디오와 TV 등 방송, 신문과 잡지 및 출판을 포함하는 인쇄, 영화와 음반 등으로 구성된다 [9].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으로 미디어 산업의 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미국은 게임, 스포츠, 통신, 테마파크까지 미디어 산업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많다.

미국 통계청(Bureau of Census)의 산업 통계에 따르면, 출판, 영화의 제작‧유통‧상영, 음반 제작, 라디오,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유무선 통신, 위성통신, 광고 등을 하나의 정보 산업(51) 카테고리로 묶는다 [10]. 이러한 분류에 따르면 신문, 방송이 인터넷 검색엔진이나 휴대폰 제조사와 같은 범주에 속하게 된다 [11].


국내도 미디어 산업을 이와 유사하게 분류한다.

통계청의 한국 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미디어 관련 산업은 출판업, 영상 및 오디오 기록물 제작 및 배급업, 방송업, 통신업, 정보서비스업, 컴퓨터 프로그래밍 또는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광고업 등을 포괄한다 [12].

업계 관점에서는 인터넷 포털업계, 방송업계, 신문‧잡지업계, 광고업계를 미디어 업계로, 게임과 영화, 음악을 엔터테인먼트 업계로 나누기도 한다 [13]. 대체로 방송 산업, 광고 산업, 영화 및 음반 등 콘텐츠 산업, 정보통신 산업 등이 미디어 산업에 속하는 것으로 제시된다 [9].


미디어 산업은 플랫폼 산업의 특성을 갖는다 [3].

우선 미디어 산업은 네트워크 산업이다. 즉 미디어 산업은 사용자가 늘어날수록 사회적 효용 증가하는 네트워크 외부성(network externality)과 막대한 초기 네트워크 구축 비용으로 신규 진입이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연 독점(natural monopoly)이 나타난다. 또한 사회적 필수 기능으로 사용자가 적절한 비용 지불하면 누구나 접근 가능해야 하는 보편적 서비스(universalservice)를 제공한다.

미디어 산업은 플랫폼 산업의 특성도 갖는다. 이는 미디어산업에서 다면 시장에서의 간접 네트워크 효과(indirect network effect)와 이에 따른 차별적 가격 책정이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14]. 즉 사용자에게는 무료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광고주에게는 보조금을 받으며 콘텐츠 생산자에게 비용을 지불한다. 소비 주체와 가격 지불 주체가 다른 셈이다.

미디어 산업은 플랫폼 산업으로 성격이 다른 여러 고객과 시장이 하나의 산업을 구성한다. 때문에 한쪽 시장의 변화가 다른 쪽 시장에 비대칭적 변화를 주어 시장의 변동성(variability)이 크다. 미디어 플랫폼은 모든 고객이 상생할 수 있는 최적점, 즉 바람직한 균형(good equilibrium)을 달성하는 것이 관건이다 [15]. 이밖에 플랫폼 경쟁으로 하나의 콘텐츠가 여러 플랫폼에 제공되는 멀티호밍(multihoming)이 일어난다 [16]. 하나의 플랫폼에 여러 출처의 콘텐츠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밖에 플랫폼이 주도하는 개방형 혁신이 일어난다.


[1] McLuhan, M.(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NY: McGraw-Hill

[2] 차배근·김우룡·이기홍(1993). <매스컴대사전>.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3] 권호영·송민정·한광접(2015). <디지털 미디어 경영론>.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4] Simon, H. A.(1971). Designing organizations for an informationᐨrich world. In M. Greenberged(Ed.), Computers, communications, and the public interest(37∼72), Baltimore: The Johns Hoplins Press.

[5] Wolf, M.(1999). The entertainment economy: How megaᐨmedia forces are transforming our lives. New York: Times Books.

[6] Caves, R. E.(2000). Creative industries: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Harvard University Press.

[7] 염용섭·이내찬·오성백·유기주·김원중·오기환(2000.12). <공익재 산업 규제 이론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8] 정용찬(2013). <미디어산업통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9] Albarran, A., ChanᐨOlmsted, S., & Wirth, M.(Eds.).(2006). Handbook of media management and economics. 김동규·정재민·서상호(역)(2009). <미디어 경제경영론>. 서울: 나남.

[10] https://www.census.gov/cgi-bin/sssd/naics/naicsrch?chart_code=51&search=2017%20NAICS%20Search

[11] 최성범(2013). <미디어 경영>.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2] 통계청(2007). <한국 표준산업분류 최종 개정안>.

[13] 한국 비즈니스 정보(2017.1.). <업계지도>. 서울: 어바웃어북.

[14] Eisenmann, T., Parker, G., & Marshall V. A.(2006). Strategies for twoᐨsided markets. Harvard Business Review, 84(10), 92∼101.

[15] 한국정보화진흥원(2008.6). 플랫폼으로서 인터넷 포털의 경제적 이해. <정보화이슈>.

[16] 송민정(2013). 망중립성 갈등의 대안인 비즈니스 모델 연구: 양면 시장 플랫폼 전략의 6가지 전략 요소를 근간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0권 1호, 191∼237.

매거진의 이전글 뉴스 미디어 스타트업이  스타트업이 아니라는 오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