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emin Park Jun 10. 2019

딜로이트가 본 미디어 블록체인

왜 미디어 블록체인인가 (5)

미디어 산업은 콘텐츠 생산(artists)과 공급(content provider), 수급(aggregator)과 배포(distributor), 소비(consumer)에 이르는 가치 사슬을 이질적인 주체들이 함께 구성하는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을 뿐 아니라 비배제성이나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 잠금 효과(lock-in effect) 때문에 기존 사업자에게 유리하고 독과점 구조를 형성할 가능성이 항시 존재하는 독특한 속성을 가진다. 시장 지배적 사업자나 거대 플랫폼이 산업 전체를 통제하여 이윤을 독점하고 부당노동을 묵인하는 문제 또한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블록체인은 수익 배분의 자동화와 수익의 분산 관리를 가능케 함으로써 광고 및 로열티 배분 중심의 가격 체계를 변동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를 통해 산업 구조가 단순화하고 새로운 수익 모델이 창출되는 등의 긍정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딜로이트는 블록체인이 미디어 분야에 가져올 변화와 기회를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해 제시하고 있다


새로운 방식의 콘텐츠 가격 책정(new pricing options for paid content):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정액제나 구독제 대신 이용에 따른 지불 모델(per-use payment models)이 가능해진다. 개별 콘텐츠를 판매하고 이로부터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소액결제가 가능하고 소비자의 지불 의사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유명한 콘텐츠 생산자뿐 아니라 일반 창작자들도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


콘텐츠 직접 거래(content bypassing aggregators): 광고 모델에 의존한 미디어 산업에서는 중간 매개자의 역할이 컸고 수수료도 발생하였다. 그러나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콘텐츠 이용에 대한 정확한 추적이 가능하므로 생산자가 소비자와 직접 관계를 맺고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마케팅 효과가 보다 정확하게 측정됨에 따라 복잡한 미디어, 광고 생태계 또한 단순, 투명해질 수 있다. 이는 거대 플랫폼의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생산자로 힘의 균형이 이동하는 효과를 가져오며, 이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 또한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효율적인 로열티 배분(distribution of royalty payments): 현재 미디어 산업 내 로열티 배분은 아티스트, 프로듀서, 애그리게이터 등의 다자간 계약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과정은 ‘블랙박스’화 되어 있어 투명하지 않다. 블록체인은 콘텐츠 종류나 형식에 관계없이 이용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므로 로열티를 보다 효과적이고 투명하게 배분하여 정당한 저작권 소유자가 실질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해준다. 스마트 컨트랙트에 따라 로열티를 거의 실시간으로 배분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안전하고 투명한 개인 간 거래(secure and transparent C2C sales): 그간 P2P 공유는 콘텐츠 생산자에게 위협적인 존재였다. 파일 공유 자체를 모두 추적하거나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P2P의 합법화 시도는 늘 실패했고 미디어 플랫폼들은 구독제나 정액제로 사업 모델을 바꿔야 했다. 블록체인은 개별 콘텐츠의 소비를 가시화함으로써 P2P 공유를 ‘통제’하게 해 주며, 이에 따라 C2C(consumer-to-consumer)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시도할 수 있다. 그 결과 미디어 애그리게이터로서의 플랫폼 사업자는 게이트기퍼로서의 역할을 잃을 가능성이 크다.


경계 없는 콘텐츠 소비(consumption of paid content without boundaries): 저작권 관리 시스템(DRM)의 주체는 보통 국가이다. 이 때문에 다른 나라에서 생산된 콘텐츠를 소비하는 과정은 매우 복잡해진다.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DRM을 통합하거나 생산자가 직접 지식재산(IP)을 판매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가 국가나 지역에 상관없이 콘텐츠를 구독하고 생산자가 이에 대해 실시간으로 과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저작권 관리 효율성 또한 증대될 것이다. 



이 글은 "박대민, 명승은(2018). <플랫폼리스 미디어 블록체인>"에서 분량 문제로 빠진 부분 등을 보완한 것이다. 아래는 링크. 

http://www.kpf.or.kr/synap/skin/doc.html?fn=BASE_201812100208347330.pdf&rs=/synap/result/mediapds/

매거진의 이전글 미디어 블록체인의 서막, 스팀잇의 충격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