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레이트 루트 Jan 09. 2018

<신과 함께>는 그냥 판타지가 아니다

군 의문사를 다룬 리얼 드라마로 읽어 보자!

오래전 일이다.

무려 20년 전이니까...

그 때 나는 느즈막히 군대에 가 있었다.

아, 군대!

대한민국 남자라면 누구나 군대에 대한 어떤 심리를 가지고 있다.

아니 미필자 빼고~ 

아니 미필자들도 어쩌면 영원히 자유로울 수 없는,

군대는 가기 전의 공포와 다녀온 뒤의 악몽이 뒤범벅된 공간이다.

태어나서 한번도 겪어 본 적 없는 비인간적인 대우와

한번도 상상해 본 적 없는 일들을 직접 해내야만 하는 공간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오늘은 또 무슨 일이 닥칠까를 늘 조마조마하면서 살아내야 하는 공간.


아, 다시 생각해도 정말 싫다!

5월의 그 찬란했던 태양도,

"오늘 하루 행복하길~"로 시작하던

기상곡 김종서의 '아름다운 구속'도,

그 시절 막 등장했던 자우림의 첫 앨범도

다 싫다.

아니 지금까지도 난 그 음악을 들으면

그때의 공포와 악몽이 되살아난다.


그래서 어쩌면 20년이 지난 지금도 누군가와 군대 이야기를 나누는게 싫은지도 모른다.

꽤 짧은 주기를 반복하면서 스멀스멀 기어올라오지만,

누군가에게 털어놓고 싶지도 않고 누구를 붙잡고 하소연하고 싶지도 않은 기억이다.

그냥 통째로 내게서 사라져 주길 바라지만,

너무나 힘이 센 놈이라서 내 마음대로 그렇게 하지 못하는 기억의 편린들...


이병 생활로 시작했던 그 군대에 한 고참이 있었다.

나는 2년 2개월 동안(그 때는 복무기간이 26개월이었다.)

군 생활을 하면서 딱 한번 그 자식한테 맞았다.

우리 때만해도 군대가 좋아져서인지,

아니면 내가 그래도 좀 괜찮은 부대에서 근무한 탓인지 딱 한번 뿐이었다.

화장실 청소가 제대로 안됐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나는 갓 일병이었고 그 자식은 일병 중간쯤 됐을 것이다.
그리고 나는 전역할 때까지 그 자식과 한번도 말을 섞지 않았다.
물론 중간에 그 자식이 아파서 후송 다녀온 기간이 꽤 길었기 때문이기도 했지만...

어쨌든 나는 누군가에게 부당하게 맞고 나서

아, 사람이 어쩌면 사람을 죽일 수도 있는 거구나 하는 살의마저 느끼기도 했다.


<신과 함께>를 봤다.

확실히 신파다.

김용화 감독 특유의 울고 짜고다.

한국 관객은 이런 판타지 영화를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데...

어쩌다 천만을 넘게 됐을까?


신파에다가 군 의문사라는 기막힌 소재를 섞었다.

한국 사회에서 해결되지 못한 수많은 역사적, 현재적 문제들 중의 대명사, 군 의문사.

친일 청산, 위안부, 5.18, 민주화, 세월호... 등은 집단의 기억이다.

우리 모두가 함께 고통하고 신음했던 기억이다.

그래서 쉽게 동조가 된다.


그런데 군 의문사는 개인의 기억이고 가족의 기억이다.

직접 개입되지 않은 사람에게는 어쩌면 남의 일일 수 있다.

그러나 "1948년 국군 창설 이래 아무런 예우 없이 사망한 군인의 숫자가 대략 3만 9천 명"이라는 통계가 있다.

"한 해 평균 130여 명의 군인이 사망하는 나라, 그리고 그 중 2/3의 사망자가 '자살로 처리되는' 대한민국 군대"(고상만, "군대에서 '개죽음', 몇 명인지 아십니까?" 오마이뉴스 기사, 2016.1.13.)


나는 영화를 보다가 울었다.

영화는 자홍이 엄마에게 한 잘못에 초점을 맞추는 것같았다.

그래서 엄마와 아들 사이에 끊어질 수 없는 정과 사랑을 호소하면서 눈물을 뿌리게 만들었다.

그러나 더 아픈 건 사실 수홍의 이야기다.

해원(解怨)할 수 없는, 그 어이 없는 죽음의 무게가 더 아팠다.


어쩌면 많은 이들이 어처구니 없는 실수 때문에 군대라는 가장 젊은 공간에서 삶을 마감한다.

문제는 실수 이후에 그걸 바라보는 태도다.

의도적으로 은폐하고 엄폐하려는 태도는 깊이 패인 삶과 죽음의 상처를 다시 후벼내서 더 깊은 상처를 낸다.


군 의문사는 개인의 기억들로 점철된 우리의 집단기억이 돼야 한다.

<신과 함께>가 천만 관객의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단지 어머니와 아들, 가족 관계라는 보편 정서만이 아니라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처우 속에서 가장 고귀해야 할 삶을 억울하게 마감할 수밖에 없었던

원혼들의 아직 풀리지 않은 아픈 이야기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신과 함께>는 판타지가 아니다.

그건 우리 앞에 주어진 다른 이름의 숙제일 뿐이다.

쓸쓸히 청춘을 바쳐야 했던 그 분들의 명복을 빈다.


한 마디만 더 하자.

원일병처럼 관심을 가져주어야 할 미성숙한 사람들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곳은,

비단 군대라는 공간만이 아닐 것이다.

모두가 고슴도치처럼 살 부비면서, 상처 받으면서 살아가야 하지만,

그 와중에도 더 깊이 찔리는 상처가 있다.

새해에는 '고슴도치 딜레마'를 현명하게 이겨낼 수 있기를...



<사람, 공간, 일곱 빛깔 이야기>는 (사)아시아문화콘텐츠 연구소 소속 필진 7명이 함께 써가는 매거진입니다.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 최신의 문화콘텐츠와 트렌드를 색깔을 살려 소개하고 나눕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제주비엔날레 2017 투어리즘 관람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