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hl Sep 14. 2019

호모 라이터이기 전에 호모 리더

쓰기 전에 읽어야 합니다

누군가 말했다. 바야흐로 호모 라이터(Homo writer)의 시대라고. 그만큼 글을 쓰는 사람이 많고, 쓴 글을 다른 이에게 공유하는 사람도 많다는 뜻이었다. 하지만 글계속 쓰는데 발전이 없고, 소재는 고갈돼 더 이상 쓸 말이 ? 읽은 것은 마나 되는지 살펴봐야 한다. 글쓰기 서적 많이 쓰라는  짝꿍처럼 붙어 다니는 말 바로 '많이 읽으라'다.  


고등학교는 과학고를 나오고, 대학교에서 컴퓨터학을 전공 현재 IT 회사에서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다. 이렇게 뼛속부터 인 것 같은 나 계속 글을 쓰고 있는 것 어쩌면 많이 읽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책 한 번 읽어볼래?


초등학생 때까지 나는 그렇게 책을 좋아하는 아이는 아니었다. 엄마가 사주신 자연/과학 전집은 동생과 집 만드는 놀이를 할 때 벽이나 기둥으로 사용했고, 그 벽과 기둥을 본래의 목적인 책으로 쓸 때는 글을 읽기보단 사진이나 그림을 보는데 더 열심이었다.


그러다 중학생이 을 때, 나보다 3살이 많아 고등학생이었던 언니 내게 한 가지 제안을 했다. 한 권을 다 읽으면 500원준다는 것이었다. 당시 500원이면 지금의 5000원 정도인 적지 않은 돈이라 솔깃했다. 등학생이었던 언니에게도 꽤 큰 금액이었을 텐데, 내가 금방 포기할 거라 생각했던 것 같다. 


하지만 언니의 예상과 달리 나는 곧 책 한 권을 다 읽고 500원을 받았다. 그때 읽은 책이 뭐였더라. 표지는 파랗고 뭔가 바다와 관련된 내용에, 고전도, 유명한 현대소설도 아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 재밌다.  곧 독서의 재미에 빠졌고, 언니의 돼지 저금통은 홀쭉해 갔다. 



리더에서 라이터로


책 읽기는 고등학생 때 더욱 박차를 가했다. 부에 치이다 보니 독서를 하는 시간이 휴식처럼 느껴졌고, 머리를 식힌다는 핑계로 자습시간에 몰래 책을 읽기도 했다. 대학생 때는 자유를 만끽하느라 전공서적 외의 책을 보는 시간이 확 줄었지만, 다행히 회사에 들어가니 다시 책이 눈에 들어왔다.


그리고 올 초엔 글쓰기를 시작했다. 일주일에 최소 한 개 이상은 쓰자고 다짐한 후, 꾸준히 글을 쓴 게 벌써 8개월. 그동안 총 70개의 글을 썼으니 대충 한 달에 9, 일주일에 2개 이상의 글을 쓴 셈이다. 


내 글을 읽고 나를 독서의 길로 안내해준 언니는 이런 평을 남긴 적이 있다. "기획력이 있어. 안 써본 것 치고는 동물적인 감각으로 다른 사람 글을 흉내 내는 능력이 탁월하달까?" 충청도가 제2의 고향인 언니만의 칭찬이다. 바로 그 동물적인 감각이 독서를 통해 체득한 무언가가 아닐까 싶다.



요즘은 여러 글쓰기 모임에 참여하며, 다른 이들의 글을 읽는다. 작가가 10명이면 10개의 시선을 간접 경험한다. 그러면서 글을 풀어나가는 다양한 방식 배울 수 있고, 소재가 없을 땐 다른 작가가 쓴 소재로 나만의 이야기를 풀어나갈 수 있다. '읽음'으로써 절로 '쓰기' 공부가 되고, 쓸거리가 생긴다. 호모 라이터이기 전에 호모 리더(Homo reader)가 되어야 는 것이다.


오늘의 Q. 글을 쓰려고 앉았는데 진도가 안 나가나요? 그렇다면 잠시 노트북을 덮고 책을 펼쳐보는 건 어떨까요?





호모 리더이면서 동시에 호모 라이터가 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뭘까요? 바로 글쓰기 모임에 참여하는 겁니다. 다른 작가의 글을 읽으면서, 내 글도 쓸 수 있으니까요. 자, 그렇다면 이 글쓰기 모임에서 핵인싸가 는 방법은 뭘까요? 글을 자주 쓰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이것'을 다음 주 월요일 아침 8시, 일과삶님의 <나는야 댓글 천사>에서 만나보세요. 6명의 작가들이 풀어놓는 글쓰기 이야기를 놓치고 싶지 않다면, 지금 바로 <<매일 쓰다 보니 작가>> 매거진에서 구독을 누르는 것도 잊지 마세요!



*. 표지 사진 : https://unsplash.com/@nadineshaabana


매거진의 이전글 나는야 댓글 천사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