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다훈 Mar 17. 2023

나의 객관화는 '오만' 이었다.

6년만의 깨달음, 그동안 필자는 수많은 글에서 '스스로 자기객관화를 잘한다.'는 말을 자주 했었다. 얼마나 오만했던지. 물론 나 자신에 대해서 모르는 것이 없고, 스스로를 다 안다는 뜻이 아니긴 했으나 모든 부분에 있어서 자신의 진척도, 부족한 점을 다 알고 있다는 듯이 생각한 것은 오만이 맞다. 만약 내가 스스로를 모두 안다는 말을 했다면 단순히 오만이 아니라 미친놈이라는 욕을 들어먹어도 모자랐을 것이다. 나는 단순히 현재의 진척도는 이정도네- 하는 객관화를 가지고 있는 줄 알았다. 아마 이정도였다면 칭찬할 수 있는 생각일테지만 사실 그 이상이었다. 나도 모르게 스스로를 얉은 경험에서 나온 소량의 데이터로 객관화를 넘어 수식화를 했다. 잘 짜여진 프로그램을 가진 로봇처럼 태어나면서 값이 정해져 있는 것이다. 그런 체로 한계를 넘는 도전을, 자신을 뛰어 넘으려는 노력을 앞 날을 바꿀 행동을 하겠다며 떠들었던 것이다. 정해진 것 외에 할 수 없는 로봇인 주제에.


그래도 이것은 내 장점 중에 하나임은 확실하다. 타인이 보기에도 나는 어느 상황에서든(심지어 타인의 상황에 대입해서도) 이성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을 정도로 객관적 시선을 잘 활용한다. 수치가 나오지 않아 정확한 진행도를 알 수 없음에도 내 스스로 세운 가치평가를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부족한 것을 더욱 매꿀 노력이 가능하다. 지금 내가 집중해야 할 것은 '가능함'이지 '한계'가 아니다. 가능한 것을 찾기 위한 경험이 필요하고 도전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순간에서 주관이 확립되어야 한다. 주관은 곧 나만의 철학이자 내가 걸을 길에 대한 이정표 역할이다. 포기안할 원동력을 찾게 된다면 확고한 주관이 더욱 멀리 가게 해줄 것이다. 객관적, 이성적인 면모에 집중하지 말자. 지금은 더욱 멀리, 넓게 볼 필요가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사과와 감사의 차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