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다혜 Jan 11. 2020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두렵지 않은 사람이 되고 싶다.

휘둘리지 않는 사람, 절약가

시누가 왔다. 동해에 오게 되면 서호책방에 꼭 함께 가자며 카톡을 나누다가, '그럼 당장?'이란 호쾌한 답변을 받았다. 그래서 시누는 중요한 일을 마무리하고 당장 동해로 왔다. (여러분, 서호책방의 매력이 이렇게 어마어마합니다.)


느긋하게 커피를 마시며 책 읽고 글 쓰다가, 점심 무렵이 됐다. 맛있는 것만 주고 싶은데, 내 집밥이야 나한테나 맛있지 남들한텐 아니다. 그래서 점심은 남편이 오랜만에 만난 동생을 위해 사주기로 했다. 


"뭐 먹을까?"

"한식 먹고 싶어. 오빠네 평소 가는데 가자."

"..."


평소 가는 데가 잘 없다. 특히 한식은 더더욱 그렇다. 집에서 별 짓을 다 해도 맛이 없는 파스타야 밖에서 사 먹는 편이지만, 집에서 해도 비슷한 맛이 나는 한식은 정말 사 먹는 일이 드물다. 결국 동해 사람이, 동해 한식 맛집을 인터넷으로 뒤졌다.


검색해도 잘 모르겠다. 에잇. 연애할 때 종종 가던 낙지집으로 향했다. 몇 년 만에 갔다. 많이 달라졌다. 사장님도 바뀌었고, 분위기도 많이 어수선했다. 식당 주방에서 요리를 할 때 후드를 켜면 지진이 난 듯, 식탁이 달달 떨렸다. 반찬을 받을 때마다 '감사합니다' 인사를 해도 종업원은 음식을 달칵달칵 내려놓고 시크하게 답 없이 휑하게 떠났다. 다행히 음식은 맛있었지만 민망했다. 동해 맛집 모르는 동해 사람이 감수해야 할 민망함이었다.



하루 식비 15000원으로도 4인 가족 맛있게 먹을 수 있다. 풍성한 집밥 단가를 알고 나면, 외식을 주저하게 된다.


물론 예전에는 밥하기 귀찮고 피곤해서 자주 외식하고 배달음식 시켜먹었다. 돈 보다 중요한 게 나의 안락과 시간이었기 때문이다. 그땐 가계부도 쓰지 않거나, 엉성하게 어플 가계부를 썼기 때문에 얼마를 쓴 지는 잘 모른다. 대충 가늠했을 때 80만 원에서 100만 원 사이를, 한 달 식비로 썼던 것 같다.


하지만 아이를 둘 낳고 나니, 이 돈만큼 외식하고 배달음식 시켜먹으려면, 맞벌이를 해야 했다. 외벌이를 하면서 안락과 시간을 돈 주고 사려면 저축을 할 수 없었다.


결국 전투적으로 집밥 했다. 필사적으로 물건을 안 샀다. 키즈카페 문턱을 넘지 않으려 했고, 입장료 있는 여가 활동을 자제했다. 돈 쓰는 일을 줄여 나갔다. 그땐 그게 일생일대의 가장 중요한 과제였다. 돈 안 쓰는 일에 매달렸다.


신기하게도 3년 절약해보니, 이 일도 몸에 익었다. 그렇게 절실하게 매달리던 절약은 일상이 됐다. 조금 더 담담해졌다. 집밥이 편하고, 물건에 사는 게 재밌지도 않고, 아이들이 점점 자라 키즈카페 도움 없이도 둘이 잘 놀게 되었다.


힘들더라도 해볼 만한 게 돈 덜 쓰는 삶인 줄 알았는데, 절약도 계속하니 어렵지 않았다.



절약이 익숙해지면 익숙해질수록, 자본주의에서 점점 유리한 사람이 되어갔다. 돈을 덜 쓴 만큼 잉여 자본이 남는다는 점에서도 유리했지만, 적은 돈으로도 불편함 없이 삶을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했다.


자본주의 사회가 굴러가는 방식은, 결국 돈을 목적으로 일을 하고 사람을 만나는 것이다.


'돈 중요하지? 그러니까 너는 이 일, 못 쉬어.'

'나는 너에게 (직접적으로든 간접적으로든) 금전적으로 유리하게 해 줄 수 있는 사람이야. 그러니까 내가 시키는 대로 해.'


하기 싫은 일, 만나고 싶지 않은 사람을 구태여 애써 하거나 만나지 않아도 되는 건. 자본주의 사회에서 역시 돈 때문이다. 자본주의의 치사함이고, 자본주의에서 내가 소진되어 가던 이유였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당당하고 자유로워질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결국은 절약이었다. 돈 덜 쓰는 삶. 단순하고 간소한 삶. 자발적인 결핍을 힘들이지 않고 이어나가는 그런 삶.


적은 돈으로도 저축까지 하면서 100세 인생까지 준비할 수 있는 요령을 갖추니, 사회의 압력과는 달리 조금 더 도도하게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돈에서 자유로워지면, 하고 싶은 일을 기꺼이 할 수 있고, 뭔가를 기대하지 않고 진실된 마음으로 사람을 대할 수 있었다.


아무리 돈을 많이 줘도 아이들과 함께하는 시간이 중요하면 무급 육아 휴직도 불사했다. 돈 안 받고도 절약 모임, 글쓰기 모임을 이어갔다. 이웃 언니들의 아이 문제집을 채점해 줄 수도 있었다. 누군가를 만나고 사귐에 있어 밥 사 줄 껄 기대하기보다, 그 사람과의 시간, 대화가 더욱 소중해졌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두려울 것이 없는 사람은 돈에 담담한 사람이다. 돈을 거부하거나 부정하는 사람 말고, 최소한 휘둘리지 않는 사람 정도도 괜찮은 것 같다. 돈 없이 살 수 있는 사람이 되긴 힘들어도, 삶의 유지비가 적은 사람이 될 수는 있다.


그 기본은 집밥이다. 청소를 내 힘으로 하는 일이다. 자신에게 필요한 옷가지의 수를 알고, 딱 그만큼만 갖고 있는 태도다. 의외로 별 거 아닌 생활의 자립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두려울 게 없는 사람이 되는 토대였다.


거대하고 두려운 사회의 흐름 속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는 건 역시 우리가 인간이기 때문이 아닐까. 지성을 갖추고, 실천력을 갖춘, 만물의 영장, 인류 말이다. 누구나 해야 할 일은 아니지만, 하고 싶은 사람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절약. 절약 고수가 되면 될수록 자본주의 사회에서 유리하다. 


그래서 하루 식비 5천 원으로도 거뜬히 살아가는 분들이 부럽다. 스스로 책방 가구를 짜 맞추고, 간판마저 만들어 붙이던 서호 책방 지기들을 존경한다. 자립이 되니까. 그런 삶을 살고 싶다. 본받고 싶다. 그래서 더욱 자유로워지고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쩌면 촌뜨기라서 그런가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