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다혜 Jan 06. 2020

어쩌면 촌뜨기라서 그런가보다

나는 우물이 좁아도 괜찮다고만 한다.

나는 책과 글이 전부인 세계에 산다. 작은 바닷가 마을이 서울 같은 메가시티처럼 모든 걸 갖추고 있을리 없다. 바깥 나들이 하기 힘든 요즘, 동해시에서 갈 만한 데는 빤하다. 바닷가 도서관, 집 앞 책방, 바닷가 책나라, 바닷가 미술관.


큰 건물을 지어 돈을 버는 도시가 아니라, 산과 들, 바다에 놀러 온 사람들이 커피 한 잔, 어묵 하나 사먹는 주머니 돈으로 돈을 생계를 잇는 도시다. 큰 건물 안에 온갖 상품과 서비스를 팔아서는 난방비도 나오지 않는, 아주아주 소박한 사람들이 산다.


그래서 내 시야는 좁다. 동해 사람들이 돈을 버는 산과 들, 바다는 변함 없다. 그러니 매번 보던 것만 본다. 익숙해진다. 불편한 줄 모른다. 소비할거리도 없다.


살게 없어서 안 사는 주제에, 나는 잘도 떠든다. 번 돈 보다 적게 쓰자면서. 꽃의 힘을 믿어보자며. 자연과 함께라면 상품 마케팅에 현혹되지 않아도 된다면서. 나는 되는데, 왜 당신은 안 되는거냐며. 건방을 떤다.


사람마다 처한 환경이 다를진데, 너무 쉽게 말한건 아닌지 조심스럽다. 좁은 내 세계에서는 아주 쉽게 돈 안 써도 무기력하지 않으니까 말이다. 


집밥이 좋다. 먹다 남은 두부를 으깨  노는 아이를 보면 흐뭇하다. 우리는 건강하다며, 아이는 상상의 세계를 펼쳐나간다며, 만족스러워한다. 나의 세계가 좁아서 그럴지도 모른다.


내가 집밥을 고집하면, 못 먹게 되는게 기껏해야 치킨이나 짜장면 정도다. 그런데 내가 집밥을 포기한 대가로, 차이나 타운의 온갖 중국 요리들이라든가, 유명 셰프의 프랑스 요리를 못 먹는거라면. 나는 그래도 두부 구이와 배추전을 먹으면서 '등따시고 배부르니 행복하구나'하며 좋아할 수 있을까?


내가 부모 힘으로 키우는 육아를 고집하면, 고작 포기하는 건 영유아 학습지나 부직포 뒤집어 쓴 문화센터 오감놀이 정도다. 그런데 만약 우리 아이들이 엄마 때문에 경험하지 못 하는 것들이, 'Fire'와 관련된 온갖 것을 배우기 위해, 소방관 옷을 입어보고, 현지 영어 선생님과 불끄는 놀이를 하는 그런 것들이라면. 나는 그래도 부모의 힘으로 기르자고 할 수 있을까?


끊임없이 자기 합리화를 하는건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확실한 건 그 자기 합리화가 힘들지만 안 힘든척, 싫으면서 좋은척 하는 건 아니라는 점이다. 내가 가진 소박하고 단순한 상황을 즐길 뿐, 거짓말을 하는 건 아니다. 그럴듯한 부분만 화면 안에 잡아 셔터를 누르는, 포장된 사진 같은 삶은 아니다. 그저 내 화면 안에 있는 삶을 좋아하고, 다른 화면 속 삶의 즐거움을 모를 뿐이다.


좁은 우물 안에서도 나름의 즐거움이 있다. 넓은 바다에도 그 나름 살아가는 행복이 있다. 나는 단지 주어진 것에 만족하는 법을 익혔을 뿐인지도 모른다. 나 같은 촌뜨기도 자기 우물 안에서는 풍요로워 한다는 걸 말이다.


나의 좁은 우물은 너무나 아름다우므로.


매거진의 이전글 2020년, 가계부를 안 샀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