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뉴스에 나오는 그 '금융' 이야기
내구재 구입에 적합한 할부금융은 ‘중산층 금융’이라 불린다. 할부금융은 고가 내구재 소비에 적합한 금융 서비스이다. 할부금융업체는 소비자의 구입물품 대금을 대신 선지급하고, 소비자로부터 할부 원리금을 분할 회수한다. 할부금융은 정기 급여를 받아 원리금 상환에 문제없는 중산층에 적합한 금융 서비스로 분류된다.
할부금융은 소비자의 잠재수요를 유효수요로 바뀌게 하여, 기업의 생산 증대를 가져오고, 민간 소비 촉진에도 기여한다. 국내에서는 캐피탈사, 카드사 등 여신금융 업체가 자동차, 가전제품 등 고가 내구재 구입에 필요한 할부금융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 ‘BNPL’이라는 외상결제 개념의 새로운 금융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BNPL은 ‘Buy Now, Pay Later’의 약자로 ‘선구매 후결제’로 해석된다. 특히, 최근 미국의 애플, 아마존 등 유수의 테크핀 업체의 사업 진출 소식으로 BNPL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BNPL의 경우 저소득ㆍ저신용등급의 소비자도 이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산층 금융이라 지칭되는 전통적 할부금융 서비스와 차별적이다. 미국의 BNPL 서비스의 약 75% 정도가 MZ세대라는 점은 상기 사실을 방증한다.
소비자의 상품 구매 후 BNPL업체는 가맹점에 구입 대금을 지불한다. 소비자는 상품 수취 후 구입 대금을 BNPL업체에 분할 결제한다. 국내 여신금융 업체의 할부금융과 다른 점은 신용결제 한도가 없는 소비자(씬파일러: Thin Filer)도 BNPL 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점이다. 기존 할부금융 서비스 이용을 위해서는 직장, 소득, 금융 이력 등 소비자 신용을 보여주는 정보가 필요하며, 여신금융 업체의 일정 기간 심사과정도 필요하다. 하지만, BNPL은 학생, 주부의 서비스 이용에 제한이 없다. 더욱이, BNPL은 소비자에 부과되는 할부수수료가 없고, 대신 가맹점이 수수료를 BNPL업체에 지불한다. 이로써, 저소득ㆍ저신용 소비자에게 적합한 후불 결제수단이라 할만하다.
최근 BNPL 서비스 이용이 급증하고 있는 배경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대면 소비 급증세도 한몫한다. 지난 1~2년 사이에 전자상거래(e-commerce) 이용 확산 증가세에 맞춰 BNPL 서비스 이용도 증가했다. 신용카드 발급이 어렵고, 할부금융 이용을 위한 신용점수 확보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미국, 유럽 내 BNPL의 확산속도가 빠른 편이다. 미 소비자 금융보호국(CFPB : Consumer Financial Protection Bureau)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2019년 이후 2년 동안 미국의 주요 BNPL 업체 서비스 이용 증가율은 200%를 넘는다.
미국, 유럽 등 주요 선진국에서 BNPL 서비스가 각광받는 것과는 달리 아직 국내에서 BNPL 서비스의 활용도는 낮은 편이다. 국내 신용카드 보급률이 대체로 70%를 넘는 수준이고, 일정 기간 동안 무이자 할부 서비스도 제공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국내 테크핀 업체가 주도하는 BNPL 서비스의 경우 이용 한도가 낮고, 분할 납부가 되지 않으며, 온라인 결제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BNPL이 신용카드 또는 할부금융의 대체수단으로 인식되는 단계는 아닌 듯싶다.
하지만, 혁신 금융 사업자로 지정된 네이버, 카카오 등 빅테크 업체들의 BNPL 시장에 대한 관심은 높다. 최근에는 일부 신용카드사의 BNPL 진출 선언도 잇따르고 있다. 빅테크사들은 코로나 팬데믹을 계기로 BNPL 이용 소비자가 늘어나고, 고도화된 자사의 플랫폼에 고객을 락인(lock-in) 시키는데 BNPL이 적합하다고 인식한다. 카드사도 자사 고객의 이탈을 막고, 청년, 주부 등 씬파일러의 유치를 위해 BNPL 사업 진출에 긍정적이다. 특히, 일부 카드사의 경우 ‘카드 없이 분할결제’라는 사실상의 BNPL 서비스를 출시 중이다.
카드사의 경우 마이데이터 사업을 통해 확보한 금융소비자의 비금융 정보를 토대로 대안 신용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카드사는 신용공여서비스 한도에서 네이버 등 빅테크 업체 대비 높고, 연체관리 경험에서 우위를 보인다. 더욱이, 카드사는 최근까지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 차주별 총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 적용기준 강화 등에 따른 수익 감소에 대비하여 유망 신사업 발굴에 한창이다.
BNPL 서비스에 대한 잠재적 성장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거시경제 환경은 BNPL 서비스 확대에 적지 않은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최근 미국 내 BNPL 서비스에 대한 연체율이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 대표적 BNPL업체인 어펌(Affirm)의 올해 1분기 연체율(30일 이상 연체된 미지불 금액 비중)은 3.7%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배 정도 증가했다. 이는 물가 상승에 따라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속화되고, 경기 부진세가 확대되면서, 가계의 이자비용 증가, 가처분 소득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BNPL의 경우 이른바 ‘깡’이라는 불법 급전 융통 창구로 활용될 개연성이 있다. BNPL 이용자가 자신의 후불 결제 한도를 이용해 물건을 구입 후, 이를 할인된 가격으로 실수요자에게 되파는 형태의 현금융통 사례가 최근 늘고 있다. 이는 신용카드로 물건을 구입하는 것처럼 위장하여 결제 후 현금을 수취하는 ‘카드깡’과 유사한 방법이다. 하지만, ‘카드깡’의 경우 여신 전문금융업법 제70조에서 ‘7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는 법적 제재 근거가 있다. 하지만, BNPL을 통한 현금융통의 경우 처벌 규정이 없다는 점이 문제이다. 결국, BNPL 부실 예방을 위한 위험관리 방안, 불법 현금융통 억제 방안 마련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선결과제인 셈이다.
데일리펀딩에서 준비한 아주 특별한 4번째 시리즈 칼럼 <요즘 뉴스에 나오는 그 '금융' 이야기> 다음 5편도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외부 필자에 의해 작성된 본 칼럼의 내용은 데일리펀딩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일상 속 금융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듣고 싶다면?
지금 <데일리인사이트> 에서 더 많은 칼럼을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