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nonymous Mar 24. 2017

잘 사는 것과 못 사는 것

어릴 때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우리 가족이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


청춘으로서의 개성과 주체성이 발현되기 시작하는 스무 살 즈음부터 나는 ‘차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체감하게 되었다. 어쩌면 그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외면적으로 가장 아름답고 찬란한 시기에 마음껏 화려함을 뽐내고 싶은 욕구는 오직 청춘만의 특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 가는 과도기에 가까운 친구들과의 불편한 간극을 담담하게 인정하기란 쉽지 않았다.


한 번은 약속 장소에서 친구가 ATM기로 현금 인출하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는데, 얼핏 보아도 족히 백 만원 이상은 되어 보이는 계좌 잔액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때 나는 적잖이 충격을 받았다. 심지어 그 친구는 아르바이트를 한 적도 없었다. 그런데도 이제 갓 스무 살을 넘긴 학생이 그렇게나 많은 용돈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에 정말 놀랐다. 그에 반해 나는 당장 내일 필요한 돈이 얼마인지를 반복적으로 계산하며 오늘의 술자리를 ‘저렴한 곳’으로 낙점하기 위해 이리저리 머리를 굴리고 있었다. '여유가 있다'는 표현이 물질적 소유와 향유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로 인해 형성되는 심리적 안정감까지도 포함한다는 사실을, 나는 좀 슬프게 깨달았다.


이후로도 나는 종종 친구들과 ‘수저 색깔이 다름’을 느꼈고, 처음에는 바보같이 부러워만 했다. 그래서 단순히 ‘동급’으로 보이고 싶었다. 한 푼 두 푼 어렵게 모은 용돈이나 아르바이트 월급을 값 비싼 옷과 신발을 사는데 쓰고, 주말마다 이리저리 휩쓸려 다니며 유흥을 즐겼다. 당시에는, '이제 성인이 되었으니 그동안 억제해두었던 모든 즐거움과 쾌락을 맛보는 것'으로 자기 합리화를 하곤 했다. 몇 년이 지난 지금 다시 생각해보니, 아무래도 나는 나의 약점을 감추기 위해 그리도 애를 썼던 것 같다. 다른 이유는 없었다. 단지 우리 가족이 ‘못 사는 것’같이 느껴졌고, 그 사실을 누구에게도 들키고 싶지 않았다. 참 바보 같고, 한심하고, 비겁했다. 물질에 현혹되는 것이 가장 부질없음을 알면서도 스무 살의 나는 결국 비틀린 내면으로 나의 외면을 꾸미고 또 무언가를 감추려 했던 것이다.


누구나 그런 때가 있을 것이다. 마치 나에게만 불필요한 결핍이 강제적으로 발생한 것만 같은. 그것들은 종종 ‘무거운 현실’로 치환되어 개인의 건강한 정체성을 어지럽힌다. 하지만 밀어내지 않고 나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순간 조금은 마음이 편안해진다. 곧이어 ‘그렇다면, 나는 어떠한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지’ 사색하기 시작한다. 이 단계까지 도달했다면, 우리는 이미 가장 큰 고비를 한 번 넘었다고도 볼 수 있다.


잘 사는 것과 못 사는 것을 구분하는 데 있어 절대적이고 물리적인 기준은 없다. 두 가지 그룹의 경계는 유동적이며 본인과 그 가족이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는 스스로가 결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만약 현명한 결정을 내렸다는 확신이 든다면, 그것은 곧 당신의 내면이 가득 차기 시작했음을 의미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트루먼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