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당당한스펀지 Feb 06. 2020

평생교육원 교육부 정식인가 및 상세정보 조회하는 법

학점은행제를 알아보다 보면 이런 문구가 눈에 띈다.

'교육부 평가인증' 또는 '교육부 정식인가'를 받은 기관에서 들어야 정식으로 학점이 된다.




과거 교육부에서 허가받지 않은 교육원들이 홍보를 해 학습자들을 꾀었던 때가 있다. 그 시기엔 사기 교육원이라는 단어까지 나왔었고 정말 사기를 당한 사람들도 일부 있다고 한다. 2010년 전으로 벌어진 일이다. 학점은행제란 교육제도에 대한 체계적인 운영계획이나 기관평가 등의 절차가 미비했었다는 평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기관에 대한 관리, 감독이 엄격해져 사기 교육원은 거의 없는 추세이다. 그럼 왜 이 문구가 지금까지도 보이는 걸까?


이유는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학습자 대상 불안감 조성

2) 내가 모르는 사기 교육원의 존재


학점은행제 플래너로 근무하던 때도 사기 교육원은 거의 없었다. 지금은 아예 없다고도 생각이 드는데, 대부분은 1번의 이유로 교육부 정식인가란 표현을 사용하는 듯하다.


---


평생교육제도의 전반적인 것들은 모두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학점은행제에 관련된 사항들은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물론 오늘 주제인 교육부 정식인가 또한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표준교육과정-교육훈련기관 조회

링크 : https://www.cb.or.kr/creditbank/eduOrg/nEduOrg1_1_List.do


위 링크를 통해 수강하려고 하는 교육원을 조회할 수 있다. 다른 사항은 모두 두고 기관명에서 교육 원명을 검색해보면 된다. 사이트 내에서 조회되는 평생교육원들은 모두 교육부에 정식으로 인가를 받았고 과목들은 모두 평가인증을 받은 상태이다. 과목들의 인증기간도 모두 확인해볼 수 있다.


특정 평생교육원의 운영상태나 학습자 수, 직원 수 등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도 있다. 학점은행제 알리미에서 기관명을 입력하고 보고 싶은 정보들을 체크하면 정확한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학점은행제 알리미-공시정보-기관별 공시
출처 : 학점은행제 알리미-통계정보-기관 비교검색


링크 : http://www.cbinfo.or.kr/pbaninfo/pbanCompSearch.do?initSe=2


시작할 교육원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찾아보고 원하는 학습과정을 온전히 마쳤으면 하는 바람이다.


작가의 이전글 '부의 추월차선'을 읽고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