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롱이 May 02. 2021

미국 유성 영화 - 사실주의 영화의 부흥기

영화사 초기, 혁신적인 기술적 실험을 한 영화들은 대체로 사실주의적 경향이 적었다. 설상가상 무성 영화는 사운드 없이 이미지로만 현실을 재현했기 때문에 반쪽짜리 사실주의에 불과했다. 그러던 중 1926년 최초로 미국 유성 영화(sound movie)가 등장하면서 미국적인 사실주의 영화는 세계적 산업으로써 뿌리를 내리게 된다.


미국 워너브라더스가 투자한 앨런 크로슬랜드의 <돈 주앙>(1926)은 필름에 사운드를 동조화시킨 최초의 영화였다. 하지만 전체 장면 중 일부에만 음악이 덧붙여졌을 뿐 목소리는 없었다. 그리고 뒤이어 감독한 <재즈 싱어>(1927)는 비로소 음악과 일부의 대사를 동조화시켜 유성 영화의 반향을 일으킨 기념비적인 작품이 되었다. 이후 제작된 브라이언 포이의 <뉴욕의 불빛>(1928)은 영화 전체에 음악과 대사가 모두 완벽하게 녹음된 영화로, 사실주의 유성 영화의 시대를 알렸다.


그로부터 몇 년 뒤 미국 테크니컬러 모션픽쳐가 발명한 테크니컬러라는 이름의 색채 영화 시스템은 사실주의 영화에 화룡점정을 찍었다. 전체가 천연 색인 루벤 마물리안의 <영악한 베키>(1935)를 시작으로, 뮤지컬 영화이자 색채 영화였던 빅터 플레이밍의 <오즈의 마법사>(1939)와 그가 뒤이어 감독한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40)는 사실주의 색채 영화의 위상을 분명하게 정립시킨 작품들이었다.


유성 영화의 시대를 연 <재즈 싱어>(1927)와 초기의 색채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940)


* 미국 유성 영화의 의의

무성 영화의 배우는 카메라 틀에 속박된 꼭두각시와 같았지만, 유성 영화는 배우에게 대사와 연기의 훈련, 역할에 대한 창조적 이해를 요구하게 되었다. 배우들은 살아있는 인간적인 매력과 사실적인 연기를 창조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었다. 대사, 음향효과, 음악을 활용하여 내적 심리나 추상적 관념을 창의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카메라 중심의 시대에서 드라마 중심의 시대로의 영화의 패러다임이 전환되었다. 특히 수많은 뮤지컬 영화들의 흥행은 영화가 종합 예술로서의 가치를 정립해 나가는데 일조했다. 사실주의적 기술의 발전은 서사 구조에도 영향을 주었는데, 모호함 없이 끝나는 닫힌 결말의 구조가 유행했고 갑작스럽고 충격적인 서사는 배제되면서 비가시적인 편집과 미장센의 중요도가 높아졌다.


미국의 경제 대공황은 현실의 도피처로서 관객들을 극장으로 불러 모았다.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이 경제적으로 가장 암울했던 1930년대는 할리우드 영화 산업에 있어서 황금기였다. 유성 영화의 흥행으로 워너브라더스를 비롯한 미국 영화사들이 세계 영화 산업의 중심으로 급부상하였다. 이들은 수직적 통합, 인수합병을 통해 영화 산업을 대규모로 확장시켰고 은행, 보험사, 스튜디오, 배급사, 음반사 등을 하나의 비즈니스 체인으로 통합시켰다. 영화의 사운드 도입은 할리우드 영화가 스튜디오 시스템을 통해 확고한 자본주의 문화 산업으로 성장하게 만들었다.


미국 할리우드와 워너브라더스사


반면 유성 영화가 영화의 예술적 가치를 해친다며 이를 거부했던 소련의 에이젠시테인도 결국 추세에 굴복하게 되었다. 그는 1928년의 '토키 선언'을 하며 사실상 무성 영화의 한계점을 인정하고, 화면과 사운드의 몽타주를 역설한 새로운 몽타주 이론을 제시하기도 했다.


* 미국 영화의 고전적 양식

영화의 고전적 양식이란 1910년대와 20년대에 형성된 할리우드 영화의 문법을 말한다. 표현주의를 시작으로 세계적 영화 사조가 한창 유행할 때, 미국에서는 지배 이데올로기의 메시지를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일관되고 닫힌 구조의 양식을 발전시켰다. 서사 구조는 철저히 인과적이며 연결고리를 갖고 긴밀히 유지되었고, 우연성의 배제와 복선의 잦은 사용, 점진적으로 상승하다가 파국으로 이어지는 뚜렷한 결말을 보였다. 캐릭터는 다른 등장인물과 구별되는 강한 개성이 있고 목표를 향해 끊임 없이 움직이는 인물이었다. 화면의 구성은 좌우가 균형적인 안정감 있는 구도를 추구했고, 공간의 깊이감과 입체감을 중시했다. 연속성에 기반을 둔 비가시적 편집을 하였으며 인물의 시선이나 동작은 앞뒤가 정확히 일치했다.


* 내용에 오류가 있는 경우 피드백받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소비에트 몽타주 영화 - 영화의 근본은 편집이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