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달 Aug 15. 2023

나는 무엇입니까?

비폭력 대화 강의를 듣고


뱉지 않으면 내가 말의 주인이나, 뱉으면 말이 나의 주인이 된


 우리나라 속담에는 말과 관련된 것들이 많습니다. 곱씹다 보면 말이라는 것이 얼마나 귀한 것인지를 느끼게 됩니다. 말은 사고와도 밀접한 관련성을 갖습니다. 훔볼트는 언어가 인간의 의식과 사고, 세계관 등을 결정한다는 ‘언어결정론’을 이야기합니다. 즉 같은 언어를 쓰는 민족은 그 언어가 부여하는 공통의 세계관을 획득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말에는 높임법이 특히 발달되어 있습니다. 대화를 듣는 상대를 높이는 상대 높임법만 하더라도 아주높임, 예사 높임, 예사 낮춤, 낮춤, 두루높임, 두루낮춤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됩니다. 높임 표현이 자리하고 있는 우리말이 있어 그럴까요. 우리는 나이에 따라, 계급이나 지위에 따라 상대를 존대 혹은 하대합니다. 이것이 훔볼트가 말하는 공통의 세계관이라고도 볼 수 있겠습니다.

 이렇듯 언어는 결국 그 사람이 세상을 느끼고 보는 관점이 됩니다. 주위 사람들을 자세히 살피다 보면 누군가의 험담을 밥 먹듯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도 모르게 누군가를 비난하고 헐뜯는 쪽으로 마음이 자라게 됩니다. 반대로 곱고 따스한 표현으로 타인을 기쁘게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그들은 밝고 고운 쪽으로 마음이 자라겠지요.

 언어라는 것은 참 묘합니다. 그래서 말하기를 늘 성찰하고 경계하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겠지요. '뱉지 않으면 내가 말의 주인이나, 뱉으면 말이 나의 주인이 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는 말이 갖는 힘을 알려주는 격언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말에는 에너지가 있습니다. 말은 한 곳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돌아다니며 증식됩니다. 누군가의 욕설이 내 마음에 닿으면, 모욕감과 함께 그 말을 되뇌게 되지요. 언어는 움직이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나는 무엇입니까?


 오늘은 비폭력 대화 수업을 듣게 되었습니다. 비폭력 대화는 연민적, 공감적 대화라는 말로도 표현할 수 있다고 합니다. 우리는 생각보다 더 타인의 말을 놓치고 살아갑니다. 그리고 마음속으로는 들었다고 착각하며 살지요. 누군가와 대화를 끝내고 내 마음이 너무나 가뿐하다면 그것은 스스로를 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내 말만 많이 한 것일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 당연하겠지만 들으려면 우선 입을 닫아야 하는 것이 순서겠습니다.

 비폭력 대화라는 용어를 보더라도 언어는 폭력으로 나아갈 가능성 늘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언어로서 많은 폭력을 타인에게 행세하며 살지요. 최근에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누군가를 가두고 사이버 폭력을 저지르기도 한답니다. 증오의 언어는 빠르고 날카롭지요.

 이에 오늘 들은 비폭력 대화는 제 언어, 곧 제 모습을 돌아볼 수 있게 했습니다. 비폭력 대화는 관찰, 느낌, 욕구, 부탁의 네 단계로 표현하는 대화법입니다. 관찰은 자신의 주관을 최대한 덜어내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보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너는 늘 수업시간에 잠을 자.'라는 표현은 관찰일까요? 의견일까요? 의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과 24시간 붙어 있을 수 없습니다. 그 사람의 단편을 함께 할 수 있을 뿐인데요. 오늘은 그 친구가 다른 수업시간에 잠을 자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늘'이라는 것은 객관적인 표현이라 볼 수 없는 것이겠죠.

 이렇게 관찰하고선 감정을 표현합니다. 저는 이 활동에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감정 어휘가 매우 빈약했기 때문이지요. 기쁘다는 표현도 행복하다, 신난다, 힘이 난다, 활기차다, 산뜻하다, 자신감이 생긴다 등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저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익숙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런지 좋다 혹은 나쁘다 등으로만 편협한 감정 어휘로 내 삶을 꾸려나가고 있었던 것이지요. 그래서 제 경험에 대해 타인이 다양한 어휘로 공감해 줄 때 정말 고마웠습니다.

 이후 감정으로부터 제가 추구하는 가치(욕구)가 무엇인지 추론했습니다. 저는 공감과 존중, 도전이라는 가치를 중요시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 근원적인 욕구가 제 언어와 상호작용을 하면서 저를 만들어 왔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는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귀한 경험이 되었지요. 언어를 돌아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조금만 귀 기울여 본다면 스스로가 보여주는 언어가 어떤 모양인지 객관화시킬 수 있습니다. 김선우 시인은 '지옥에서 보낸 세 철'이라는 시에서 나는 나의 습관이라고 말합니다. 나는 나의 언어 습관일 수도 있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감시의 공간에서 주체의 공간으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