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ogue.
아무리 신경 쓰지 않으려고 해도, 일상 속에서 불현듯 내 나이를 되새기게 된다. 밥을 먹다가도, 영화를 보다가도, 글을 쓰다가도 문득 '서른'이 떠오른다. 나이의 앞자리 하나 바뀌었을 뿐인데 왜 이렇게 호들갑일까 싶다가도, 솔직한 심정으로 서른의 의미가 나에게 결코 작지 않다는 것을 다시금 시인한다. 갓 스무 살 되던 해가 그랬듯이, 갓 서른이 된 지금도 나는 여전히 내 나이의 의미를 찾고 있다.
단지 조금 달라진 부분이 있다면, 과거 스무 살의 나는 앞으로 펼쳐질 변화와 모험을 꿈꾸며 설렘과 기대로 가득 차 있었다. 그에 반해, 서른의 나는 지금 당장 내 삶에 큰 변화란 없으며, 구태여 그것들에 큰 기대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어쩌면 이것 때문에, 올해 초 서른에 큰 의미부여를 하지 않으려 했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스무 살도, 서른 살도 내 인생에 단 한 번뿐인 나이이고, 그 순간을 어떤 의미로 남긴다는 건 매우 가치 있는 일일 것이다.
나이의 앞자리가 2에서 3으로 바뀌는 경험은 비단 내 심정의 변화만이 아니라, 실제로 주변에서 내게 기대하는 것들에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체감 중이다. 스무 살의 나이에 젊음, 모험, 도전이라는 단어가 뒤따라 온다면, 서른은 안정, 인정, 책임 등 다소 묵직하고 현실적인 단어들이 꼬리에 꼬리를 물었다.
그도 그럴게, 흔히 서른은 (특히 여자에게 있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여겨지는 나이이고, 결혼은 곧 안정과 책임을 의미하니... 여러 측면에서 압박을 안 받으래야 안 받을 수 없지 않나 싶기도 하다. 그만큼 서른은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짐들이 부쩍 늘어나는 시기이다. 그래서인지 서른은 쉬이 달갑지 않다.
내 정신과 마음속엔 아직 10대, 20대와 별반 차이 없는 어린아이가 살고 있는데, 이제는 어른으로서 갖출 것들을 갖춰야 한다고 듣게 되는 나이가 되었다. 마치 어른 옷을 입혀 놓은 짱구처럼, 내 나이가 어색하게 느껴질 뿐이다.
여전히 10대, 20대와 같은 내 모습이라고 말하지만, 정말 달라진 점이 없을까? 소위 '이런 것쯤은 갖추고 있어야지'라고 말하는 사회적인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면, 많은 부분에서 성장한 내 모습을 찾을 수 있다. 비록 스무 살이 내뿜던 에너지와 활력에 감히 비할 수 있겠냐만은, 더 이상 서른은 스무 살과 같이 막연한 상상과 무의미한 쾌락에 몸을 함부로 맡기지 않을뿐더러, 여기저기 부딪쳐가며 깎여나간 끝에 살아남은 나만의 생각, 곧 '줏대'라는 것이 나를 밀도 있게 떠받쳐 주고 있다.
스무 살을 돌이켜보면, 아직 '나'라는 사람의 취향이나 생각, 가치관, 인생관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어디로든 갈 수 있는 자유와 가능성을 지녔지만, 그만큼 많이 방황하고 좌절도 했다. 그 치열한 과정을 넘어 '나'라는 사람의 내공이 차츰 형성되었다. 그것들이 혹여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할지라도, 서른의 해를 지나며 쌓아온 삶의 밀도인 것은 틀림없다.
하지만 이런 내공은 겉으로 쉽게 보이지 않는다는 아주 취약한 약점이 있다. 그에 비해 남들 눈에 비치는 서른에 대한 기준들은 '있다/없다', '했다/안 했다', 혹은 수치적으로 '얼마다'라고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비교적 선명하고 명확하다. 그런데 서른이 되면 이 잣대들은 더 강한 효력을 발휘한다. 가장 가까운 가족들로부터 하나 둘 눈치와 압박을 받기 시작한다. 취직했어? 연봉은 얼마야? 결혼은 해야지? 아이는 낳을 거니? 등등. 그러다 보면 괜스레 나도 눈에 보이는 것들에 휘둘리고, 어느새 나의 내공에 대해서는 무관심해지거나 혹은 평가절하하게 돼버린다. 그동안 잘 쌓아온 내공일지라도 내가 봐주고 인정해주지 않으니, 나에게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물론, 위의 기준들이 누군가에게는 오히려 명쾌하고 정확하다고 여겨질 수도 있다. 하지만, 적어도 나는 그런 기준들로 나 자신과 상대방을 평가하고 싶지는 않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껏 열심히 나의 내공을 쌓고자 노력했고, 서른이 된 지금도 주변에 휘둘리지 않고 나를 지키고 싶다.
서른이라는 나이 강박에서 오는 스트레스 아닌 스트레스에, '나'를 더 많이 들여다보고 인정해주는 개인적인 시간의 필요성을 더욱 느꼈다. 그리고 올해 초 자연스럽게 나 혼자 '해외여행', 혹은 안 돼도 '국내여행'을 머릿속으로 계획하고 있었다. 일단 나에게 주어진 일상에서 벗어나야, 뭔가 나에게서 새로운 것들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던 것 같다.
하지만, 날벼락처럼 연초부터 코로나가 터졌다. 코로나에 가장 큰 타격을 받은 생활 영역 중 하나가 여행이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국외, 국내 여행은커녕 집 밖에 나가는 것조차 어려운 상황이 돼버렸다. 더불어, 개인적으로는 퇴사를 하게 되면서 현실적으로 닥치는 문제들에 매몰되어 살다시피 했다. 그렇게 어느샌가 2020년의 상반기는 훌쩍 지나가버렸다.
그렇게 서른 살의 반을 떠나보내고, 이대로 무의미하게 시간을 흘려보내기에는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 '꼭 어딘가 여행을 가야 특별할까?', '꼭 무언가를 해야 특별할까?'... 이 질문들에 '아니'라는 답을 내리고는, 그냥 있는 그대로 나의 일상에서 의미를 찾고 기록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이렇게 마음을 먹고 나니, 오히려 밖에서 나를 찾기보다 가장 익숙한 나의 일상에서 의미를 찾는 일이 특별하게 느껴진다.
분명 스무 살의 나였더라면, 평범한 일상을 지루해하고 바깥에서 특별한 무언가를 기대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는 남들처럼 별일 없이 평범한 하루를 살아가는 걸 당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나이가 되었다. 그리고 그 평범한 일상이 특별하지 않아서 특별하고, 그렇기 때문에 더욱 소중하다는 것을 조금씩 알아가는 중이다.
<서른의 기록> 프롤로그
특별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기록이 특별해질 수 있을까? 서른에 대한 글을 찾아보면, 대부분 해외여행을 가거나 특별한 무언가를 하는 것 같더라고요. 하지만 저는 반강제적으로 집에 있다 보니, 평범한 일상 속에서 과연 얼마큼 가치 있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을지 계속해서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더욱 저의 일상을 글로 쓰는 것이 망설지기도 했어요.
하지만, 반대로 코로나가 터지면서 그동안 내가 누렸던 일상의 소중함을 더욱 깨닫는 요즘입니다. 가족들과 만나서 외식하거나, 영화를 보러 가거나, 친구들과 카페에서 담소를 나누는 등 일상의 아주 작은 것들이 지금 보니 정말 특별했구나 싶어요. 그동안 내가 외면하거나 무관심했던 일상 가운데, 특별하고 소중한 것들이 많이 있을 거라는 기대와 함께 <서른의 기록>을 조금씩 연재해보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