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항준 Danniel Park May 03. 2021

ESG경영의두 얼굴

최근 환경과 소셜 그리고 지배구조를 중요시하는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이 서구권을 시작으로 국내 대기업들에게 번지고 있다. 환경과 소셜 그리고 지배구조의 투명성이라는 비재무적 기준을 기업경영에 적극적으로 적용하려는 경영 움직임이며, 투자 움직임이다. 일반기업뿐만 아니라 금융기관들 마저도 앞다투어 ESG경영을 선포하고 있을 정도다.
 
 ESG경영은 탐욕적 자본주의의 산물인 몬도가네식 괴물 기업의 탄생을 억제하고, 환경문제를 기반으로 양심과 공익이라는 새로운 관점에서의 공정하고 투명한 경영활동을 평가받는 경영방식이다.

 

그러나 ESG경영도 2008년 이후 확대된 나눔 경제(Sharing Economy)와 마찬가지로 탐욕적 자본주의의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할 것이다. 환경이나 사회적 문제해결에 절대 선이란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후발 국가나 기업을 견제하는 도구로 악용할 소지가 높다는 약점이 있다. 선진국이 개도국을 ESG라는 잣대로 보게 되면 선진국에 수출을 해야 하는 개도국에게는 무역장벽으로 악용될 수도 있다.

 

삼림자원이 풍부한 국가의 경우 그네들의 경제개발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손가락질받게 될 수도 있다. 자금력이 풍부한 대기업과는 달리 중소기업이 ESG경영을 수행하기에는 버거울 가능성이 높다. 솔직히 수백 년간 지구 환경오염의 주범들이 이제 와서 경제개발을 해야 하는 이들에게, 후발주자들에게 손가락질하는 격이다.

 

최근에는 독일의 국민기업이자 세계적 브랜드인 폭스바겐과 아우디가 자사가 생산한 자동차들의 배기가스를 그룹차원에서 대대적으로, 그것도 수년간 조작하다 적발된 사례가 있었다.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도 문제였겠지만 가만히 살펴보면 ESG경영을 외부에 표출하기 위한 조급함의 결과물로도 보인다. 앞으로도 ESG경영에 압박을 받는 기업들이 폭스바겐과 아우디와 같은 속임수로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ESG를 포장하지 말라는 보장은 없다.  

 

ESG경영은 두 얼굴을 갖고 있음을 명심하자. 기업이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넘어 적극적인 사회문제 해결에 나서는 기회이기도 하지만 현재 기업의 실천역량과 다양성을 무시한 채 성과에 조급하게 다면 엉터리 ESG경영 성과지표를 찍어냄으로써 기업 이미지에 오히려 해를 입힐 수도 있다.  

따라서 ESG경영의 도입에는 조급해하지 말고, 마케팅 홍보가 아닌 장기적 실천전략이 필요하다. 이전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나 ISO(국제표준화기구)처럼 기업 이미지 홍보용 수단이나 자격증을 따는 정도에 만족하는 접근은 피해야 한다.


명확한 핵심 성과지표(KPI)를 제시하지 않고 ESG경영을 대대외적으로홍보만 한다면 금세 시장에서 비난과 외면의 대상이 되고 말 것이다. 지금은 정보대칭시대다. 흉내만 내는 ESG경영을 이제 대중은 빠르게 알아차리고 외면하게 되어 있다. 준비 없는 ESG경영의 도입은 오히려 재앙이 될 수 있음을 다시 한번 명심하자.


누림경제발전연구원장 박항준 국민대행정대학원 겸임교수 (https://blog.naver.com/danwool)


현 (사)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집행위원장

현 누림경제발전연구원 원장

현 (사)우리경제협력기업협회 부회장

현 (사)한국블록체인기업진흥협회 이사


저서

• 더마켓TheMarket

• 스타트업 패러독스

• 크립토경제의 미래

• 좌충우돌 청년창업

• 블록체인 디파이혁명



작가의 이전글 대중주도시대! 대중(Crowd)의 정명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