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양승언 Apr 02. 2020

사회적 거리두기? 물리적 거리두기?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한창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사람 간 접촉을 줄인다는 뜻이다. 그런데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사회적 거리두기'보다는 '물리적 거리두기'라는 용어가 더 적합하다고 권하고 있다. 이에 대해 마리아 반 케르크호베 신종질병 팀장은 "바이러스 전파 예방을 위해 사람들과 물리적 거리를 두는 것은 필수적"이며 "하지만 그것이 사람과 가족과의 사회적 단절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밝히며 용어변화의 배경을 설명했다. 언어가 갖는 영향력을 생각할 때 이는 매우 중요한 지적이라고 생각한다.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빌 게이츠는 공개서한을 통해 코로나19 사태로 통해 깨달은 14가지 교훈을 공유했다. 게이츠는 "나는 좋은 일이든 나쁜 일이든 세상에 일어나는 모든 일엔 영적인 목적이 반드시 있다는 것을 믿는 사람"이라며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교훈에 대해 나누고싶다"고 글을 시작한다. 그가 내놓은 첫번째 메시지는 "모두가 평등하다는 사실"이라며, 이어 "우리 모두는 연결되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가 내놓은 메시지 중 인상 깊었던 것이 "우리의 가족과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지, 그리고 우리가 이것을 얼마나 무시했는지 상기시켜 준다."는 지적이었다. 그는 질병이 우리를 강제적으로 집으로 돌려보내 이 사실을 깨닫게 했다고 말한다. 


그런데 물리적 거리두기로 인해 웃지 못할 일들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물리적 거리두기 이후 프랑스에서는 가정폭력이 32%나 증가했다. 프랑스뿐만 아니라 최근 이동제한령이 시행된 유럽 여러 나라에서 가장폭력이 20%가량 늘어났고 BBC는 전한다. 중국에서는 이혼율이 증가했다는 보도도 있었다. 그럼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 가족들이 함께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그동안 잠재됐던 문제와 갈등들이 증폭된 것이다. 물리적으로 가까이 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실제로는 서로가 가깝지 않았음을 깨닫게 된 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물리적 거리두기를 통해 그동안 얼마나 서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살았는지를 발견하게 된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자고 말한다. 그런데 정작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그 반대가 아닐까. 그동안 서로가 얼마나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고 살았는지를 깨닫고, 서로 더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해야 할 때가 아닐까. 함께 있지만 거리를 두었던 관계의 피상성을 극복하기 위해 친밀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어쩌면 우리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사회적 거리두기일지 모른다. 

작가의 이전글 답답한 인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