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박은경 Jan 13. 2024

배고픈데 무슨 책을 읽어요


고독사한 분의 곁에 <행복론>이 놓여 있었다는 기사를 읽었어요. 책에는 밑줄과 메모가 가득했다고요. 고독한 행복, 행복한 고독 어느 쪽이 가능할까요. 고독하다는 말도 행복하다는 말도 상태를 표현하는 말일 텐데요. ‘고독한 행복 = 행복한 고독’ 그게 그 말일 것도 같네요.


하지만 ‘고독사’에서의 고독이란 감정의 상태가 아니라 상태의 감정 아닐까요. ‘감정의 상태 ≠ 상태의 감정’라고요. 나는 지금 고독해, 가 아니라 지금 이런 상태는 고독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고요. 결과적으로 떠밀려간 낭떠러지 같은 상태가 고독일 테니까요.      


돌아가신 분에게 책은 무엇이었을까요. 병과 가난과 허기와 벌레에 떠밀린 그에게 책이 희망과 위로를 주었을까요. 언젠가 저 책을 읽었던 시절을 떠올리며 인생의 무상함만을 느끼셨을까요. 좋은 책을 열심히 읽어도 구원은 불가능한 것일까요. 기초생활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예술이란 음풍농월에 불과한 것일까요.


책은 우리에게 무엇일까요. 허기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을 수 있을까요. 글자들이 흑미 밥알처럼 보이지 않을까요. 떠다니는 먼지가 더운밥의 훈기처럼 보이지 않을까요. 먹고살기 힘든데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는 분들을 존경합니다. 책값이 싸다고들 하지만 배고플 때는 책보다 국밥 한 그릇이 훨씬 소중하니까요.              


그러나 전쟁이 한창이던 때 수용소에 있던 여자들을 살게 하는 것은 음식이 아니라 붉은 루주였다는 책이 기억납니다. 아름다움에 대한 감각이 삶을 추동하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책인가요, 밥인가요…



매거진의 이전글 점핑의 매혹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