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박은경 Feb 04. 2024

입춘맞이 글쓰기

소설을 쓰는 O는 수시로 자신의 습작을 보내온다. 조각조각, 어느 것의 일부인지는 모르지만 그것을 나는 받아 읽는다. 이거 어때, 이건 어때, 이상한지 어려운지 재밌는지 아님 뭔가 있는 것 같은지 틀린 것은 없는지 부담은 없는지 묻고 또 묻는다. 어떨 때는 같은 습작을 보내오기도 하는데 그럴 때면 모르는 척 넘어간다. 미래의 독자가 그리워서, 타인이 그리워서 무엇이건 그 마음 다 알 것만 같아서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서 눈을 비비며 기꺼이 반갑게 환영한다.       


처음에는 내가 O에게 무언가 해주는 것 같았는데 읽다 보니 아니었다. O는 나를 깨어있게 한다. 다른 것에는 한눈팔지 않는 직진의 자세로 쉬지 않고 스스로를 밀어붙이는 열정, 진지하게 자신의 작품 세계를 파 들어가는 뜨거움이 멋있다. 그렇게 살아가기에 그토록 멋진 글을 쓴다는 것을 보고 알고 믿게 되었다. 능력과 열정과 시간이 합체되어 그의 글은 나날이 성장하고 있다. 그런 자세 없이 그런 결과를 만들 수 없으니 어쩌면 좋을까, 자괴감에 빠지기도 한다.       


반면 나는 나의 글을 O에게 보여주지 않는다. 쓸 때도 쓰고 나서도 그런 일은 벌이지 않는다. 우연히 찾아 읽고는 감상을 전해주기도 하는데 그럴 때면 좌불안석이 되곤 한다. 좋다는 말은 믿지 못하고 좋지 않다는 말을 숨긴 건 아닌가 의심한다. 나를 위해 쓴 글이 타인에게 가 닿지 않는다면 무용하게 느껴지는데. 시위를 벗어난 글은 내 것이 아님을 알고 있고. 나의 의도는 나의 생각일 뿐 감상은 온전히 독자의 몫이라 믿고 있다.      


혼자 쓰고 혼자 읽고 혼자 고치고 혼자 발표하고 잊어버리는(잊어버리려 애쓰는) 방식이 좋은지 나쁜지 나는 모른다.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은 안다. 다만 이 일이 내 인생의 의미가 된다는 점은 확실하다. 인생의 의미 같은 게 있는지 없는지 있어야 하는지 없어도 되는지 그런 건 잘 모르지만 '살아있다는 느낌'이 내겐 가장 중요하고, 글을 쓸 때 그 감정을 느낀다.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반복되지 않는 희열을 느낀다. 다른 무엇보다 마음에 드는 글을 쓰면 마침표를 찍자마자 갑자기 사는 게 좋아진다. (그런 글과 확신이 잘 오지 않아서 아쉽기는 하지만)      


중얼중얼 혼자 속으로 되뇌는 단어들, 문장들, 뭔가 될 것 같아 메모해 두지만 시간이 지난 뒤에 보면 무슨 생각을 한 건지 알 수 없는 것들이 태반이지만. 무언가 되려다가 만 것, 되고 싶었던 것들이 인생의 의미를 향한 부스러기 같아서 그것들을 따라 걸어가야 할 것 같아서 매정하게 쓸어버리지 못하고 손끝으로 찍어 올려 한참을 들여다보기도 하는데. 그 속에 너무 오래 갇혀버릴 때면 창문을 열고 탈탈 털어버려야 한다. 오늘은 입춘, 묵은 것을 내다 버리기 좋은 날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버지의 아버지는 모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