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박은경 Feb 22. 2024

그다음 책의 초심

앨런 가넷(빅 데이터 전문가)은 말콤 글래드웰의 ‘1만 시간의 법칙’에 내포된 한계를 지적합니다. 어떤 일이든 1만 시간만 연습하면 누구나 전문가 수준으로 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한 반박이지요. 이 법칙의 근거가 된 논문의 저자 에릭슨은 ‘자동성은 전문성을 기르는 데 적’이라고 말합니다. 얼마나 많은 시간을 보내느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그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가 중요하다는 것이지요.      


누군가의 첫 책을 선물 받을 때면 몹시 두근거립니다. 제 첫 책이 떠오르면서요. 그게 어떻게 나오게 되었는지 알 것 같아서요. 그 책을 쓰기까지 얼마나 많은 고민과 고생을 했을지 알 것 같아서요. 혜성과 같이 나타나는 천재적 작가는 모를 것도 같은데 어쩌면 천재적 작가들의 그늘진 시간을 제가 모르는 것일 수도 있겠네요.       


작가들은 첫 책을 내기 위해 ‘1만 시간의 법칙’ 같은 삶을 살았을까요. 1만 시간이면 얼마나 되는 세월인가요. 먹고 자고 일하면서 간신히 확보하는 시간을 계산하면 될까요. 먹고 자고 일하는 시간 내내 책 생각을 했을 수도 있겠지요. 그렇다면 저자가 살아온 시간이 통째로 바쳐진 결과물이 그 한 권의 책일 것 같습니다. 그다음 책은 그전 책에 들인 시간을 기반으로 쌓아 올리는 구조물이 되겠지요. 점점 더 단단하고 깊고 높은 글을 쓰게 되는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인들의 첫 시집이 제일 좋다는 말을 많이들 하는데요. 이것이 시가 될 수 있을까 하는 의심과 무수한 시도와 실험과 노력이 뒤엉켜 끓다가 진액 같은 상태가 되었을 거예요. 살아온 일생 중 하이라이트, 말할 수 없었던 이야기와 말하고 싶었던 이야기도 뒤섞여 있을 거고요. 그것은 끝없는 방황이고 맨땅의 헤딩이고 맹렬한 낙하이며 통렬한 고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혹시 그다음 시집이 별로라면 좀 쉽게 생각하고 느슨히 쓴 건 아닌지 돌아보아야 합니다. 자기 복제의 늪에 빠졌을 수도 있고요. 객관화가 불가능해졌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해법이라면 첫 시집을 내기 전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 아닐까요. ‘초심’ 말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의 치사하지 않은 고민에 대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