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루나, 테라 코인의 폭락 쇼크가 세간을 가장 떠들썩하게 했던 이슈로 자리 잡았습니다
.
1달러에 연동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 코인의 가격은 현재 14센트로 나와 있고요. 루나의 가치는 휴지조각하고도 비교하기 어려운 0.0002 달러까지 내려가 있는 상태입니다.
대체 어디서부터 잘못된 건지 그리고 코인 시장에 더 이상 투자를 하면 안 되는 것인지 오늘은 그에 대한 콘텐츠를 준비해 봤습니다.
국내 4대 코인 거래소에서 루나를 보유한 투자자는 얼마나 될까요?
현재 추산컨데 약 20만 명 정도 예상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코인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50조 원이 넘어가는 전체 코인 시장에서 시총 상위 10위 안에 들어갔던 코인이었기에 만큼 투자를 했던 분들도 굉장히 많았습니다.
루나 코인은 어떨까요?
위 차트는 루나 코인의 차트입니다. 차트를 주봉 단위로 본 건데요. 21년 초부터 약 1년 동안 그야말로 놀라운 상승폭을 보여주던 루나의 가치가 단 며칠 만에 거의 제로에 수렴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와 함께 루나의 차트와 거래량의 차트를 같이 합쳐서 보자면, 폭락 사태가 다 끝나고 난 다음에 거래량이 급등하고 있는 것으로 봤을 때 많은 분들이 이 폭락사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하락의 직격탄을 맞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네이버의 시가 총의 가치는 약 50조 원입니다.
국내 대기업 수준의 가치를 봤던 코인이라고 생각을 해본다면 이렇게 어마어마한 가치가 단 며칠 만에 0으로 떨어질 수 있는지 의문을 가진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제가 지금부터 그 구조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테라와 루나는 가치 유지를 위해 서로 연동되어 있는데요. 하지만 스테이블 코인 테라를 유지시켜주는 루나의 연동 시스템이 망가지면서 이러한 폭락사태가 시작되었습니다.
코인에 투자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스테이블 코인이 어떤 건지 잘 알고 계시겠지만 코인 투자 대한 경험이 없으시거나 이런 용어가 생소하신 분들을 위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이란,
달러와 1대 1로 연동되는 코인
달러와 같은 힘 있는 디지털 화폐를 만들자, 안정적인 가치를 만들어 보자고 해서 연동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 건데요. 이렇게 달러와 같은 법정 화폐가 연동되도록 1코인이 1달러를 유지하도록 설계에서 연동시켜 놓은 걸 ‘패깅’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여기까지가 기존의 스테이블 코인이고요! 테라는 다른 스테이블 코인 코인과는 약간 다른 구조를 띄고 있습니다.
테라와 루나 코인을 운용하는 테라폴레스는 투자자들을 모집하면서 테라 코인을 유치하면 이를 루나 코인으로 바꿔주고 최대 20% 이율을 약속하는 방식으로 투자자를 모았습니다.
분명 테라가 달러와 패깅되어 있던 코인이기 때문에 테라를 예치하면 달러를 줘야 하는데 자사의 루나로 주고 20% 이율을 약속하는 방식이 뭔가 조금 냄새가 나기 시작하죠?
다단계 구조 ‘폰지 사기’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가 바로 이 대목에 있습니다.
‘폰지사기’는 과거에 1900년대 초반에 미국에서 다단계를 통해 희대의 사기꾼이라 불렸던 폰지의 이름을 따서 만들어진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의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는 결국 돈으로 돈을 메우는 금융사기를 뜻합니다.
테라의 가격 유지 및 상승률을 유지시키기 위해 또 다른 투자자들의 자금이 필요했다는 부분들로 보입니다.
테라와 루나 코인이 만들어진 이후에 암호화폐 시장이 성장을 하는 시기에는 이런 부분들이 전혀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 화폐 시장이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고 있죠?
이런 시장에 약세 속에 테라 가격을 방을 해줘야 되는 루나가 이 가격을 방어하지 못하면서 테라의 1달러 패깅 시스템이 깨져버렸습니다.
스테이블 코인은 그 가치가 변동성 없이 유지가 돼야 되는데 스테이블 코인인 테라의 패깅이 깨진다는 건 기술적으로 엄청난 결함이 있기 때문에 가격을 안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던 루나의 가치가 먼저 폭락하기 시작했죠.
이에 불안감을 느낀 투자자들이 테라와 루나 코인을 동반 투매하기 시작했고 단 며칠 만에 시총 50조 원이 날아가버리는 현재 상태를 맞이한 겁니다.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테라를 매도한다고 해도 1달러를 지급하는 게 아니라고 했죠? 1달러 상당의 루나 코인을 지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따라서 테라의 가치를 뒷받침하던 루나의 가치가 폭락했기 때문에 두 코인의 가치 전부 의미가 없어지는 연쇄적인 딜레마에 빠진 상황이라는 것입니다.
금융시장의 위기감이 조성이 되면 은행에 예금 지급 불능 태를 우려한 고객들이 은행으로 찾아가 대규모로 예금을 인출하는 상황을 뱅크런이라고 부릅니다.
이 뱅크런이 코인 시장에도 적용되어 현재 코인런이라는 상황이 발생한 게 된 거죠. 내가 금융기관에 맡긴 돈을 내가 찾겠다는데 뭐가 문제 되지?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들은 지급 준비율이라고 하는 이율을 기준으로 우리가 맡긴 돈에 일부만 가지고 나머지 돈은 유통하고 있습니다.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의 지정해놓은 지급 준비율 7% 이외의 우리가 맡긴 돈은 대출과 같은 방법으로 외부로 돌리고 있다는 뜻이죠.
예금자 보호 제도라는 말 들어본 적 있으시죠? 은행이 망하면 국가가 오천만 원을 보상한다는 겁니다. 이 말은 즉 은행도 무조건 안전한 금융기관이 아니라는 말이죠.
대표적인 사례가 2008년 미국의 서프프라임 모기지론 사태입니다. 우리가 매우 안정적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은행도 이러한데 코인 시장은 더더욱 불안한 살얼음판이라고 하는 것을 꽤나 많은 투자자들이 잊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번 사태의 책임자인 테라폼랩스 권도현 대표가 사과를 표명했습니다. 자신이 만든 발명품이 모두에게 고통을 줬다고 하면서요. 그러나 투자자들의 이런 권도현 대표의 사과 표명에도 불구하고 분노하고 있습니다.
‘그가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는가’가 또 다른 관심으로 떠오르고 있는데요. 그러나 현행법상 가상 자산을 세탁만 처벌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루나 투자로 손해를 입은 투자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은 사실상 없다고 보이는데요. 게다가 테라와 루나를 발행하는 기업 테라폼랩스는 본사 소재지를 싱가포르에 두고 있어 수사 자체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합니다.
그럼에도 정부 당국에서 최근 이 사태의 심각성을 가지고 대응 논의에 들어갔기 때문에 향후 수사나 진행 사항들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루나/ 테라 코인의 폭락 사태를 지켜보면서 거래소의 늦장 대응도 문제가 됐습니다. 가치가 0에 수렴하자 루나, 테라 코인 상장폐지를 결정하긴 했지만 이 폭락하는 동안에 수수료 수익을 위해 모른 척했지 않냐는 지적은 피할 수 없어 보이죠.
실제로 한 코인 거래소 같은 경우에는 루나 코인이 폭락하는 기간 동안에 수수료만으로 100억 원에 달하는 돈을 벌었다는 기사도 나타나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아시다시피 코인 시장은 24시간 거래장으로 주식처럼 사이드카나 서킷브레이커 같은 급등, 급락 시에 변동성을 축소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제2의 루나, 테라 사태를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중이죠.
기업의 가치로 여러 가지 분석 및 평가 자료 만들 수 있는 주식투자에 비해 그 가치를 산정하기 어려운 코인 투자는 앞으로 신중해야 될 겁니다.
투자를 하는 건 쉽지만 결국 그 책임은 본인에게 돌아온다는 냉정한 현실을 기억해야겠습니다. 최근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부분의 자산 투자 시장이 약세장이 들어간 지금,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보수적인 시각으로 그다음 기회를 노리는 현명한 사람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