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뭅즤 Sep 25. 2022

AI 연구실 대학원생의 일과

대학원생은 연구실에서 무엇을 하는가? - 강의, 연구, 프로젝트,...

학부생 시절 졸업 과제를 하면서 가끔 대학원 연구실에 들락날락한 적이 있었는데, 그 당시 대학원생들은 항상 심각한 표정으로 바쁘게 무언가를 하고 있었습니다. 그 때 '대학원생이면 연구도 하고 논문도 쓰고 조교도 하겠지?' 라는 막연한 생각이 들었는데, 이제 대학원 진학을 앞둔 상황에서는 대학원생의 일상과 연구 활동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실제로 대학원 생활이 제게 맞을지 궁금한 마음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제 경험을 바탕으로 컴퓨터 공학과 컴퓨터 비전 및 AI 연구실에서의 대학원생 생활에 대해 설명해 드리려 합니다.

일반적으로 AI 관련 연구실의 대학원 생활은 주로 강의, 연구, 그리고 프로젝트로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학교나 연구실, 교수님의 성향에 따라 매우 다를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연구실 일과 요약

말씀드렸듯이 대학원생의 하루 일과는 연구실마다 상당히 다릅니다. 일부 연구실은 엄격한 출퇴근 시간을 정하고 있는 반면, 다른 연구실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분위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강의 시간에는 강의를 듣고 복습하는 등 학부 시절과 비슷한 활동을 하지만, 깊이 있는 연구와 프로젝트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합니다.


주로 개인 연구를 위해 논문을 읽고 실험을 하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논문을 작성하는 일이 주를 이룹니다. 또한 산업 협력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필요한 기술 개발과 관련 문서 작성, 기술 조사와 실험도 많이 진행됩니다. 이와 함께 교수님과 정기적인 미팅을 통해 연구 진행 상황을 점검하며 조언을 받기도 합니다.


물론 중간중간에는 연구실 구성원들과 함께 식사를 하거나 커피를 마시면서 휴식도 취하곤 합니다.


대학원 생활은 많은 것을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이지만, 그 만큼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활동해야 합니다. 정성적이고 부지런한 학생들은 일찍 일어나 운동을 하고 수업을 듣고 개인 연구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블로그에 글을 쓰고 영어 공부까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소극적인 경우에는 필수적인 일만 하고 나머지 시간을 보내기도 합니다.


이어지는 글에서는 수업, 연구, 프로젝트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각 연구실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강의


수업은 석사 과정 대학원생의 경우 대부분 24학점(3학점 수업 8개)으로 총 4기(2년)의 석사 과정 중 보통 1, 2, 3기 때 강의를 수강합니다. 학부 시절과 달리 대학원에서의 수업은 학점을 중시하기보다는 연구와 프로젝트 성과를 더욱 중요시합니다.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대학원 강의에서 학점을 높게 주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4점대 학점으로 대학원을 졸업합니다.


대학원에서의 수업은 단순히 학점을 따기 위한 것보다는 본인의 연구나 프로젝트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거나 취업 시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되는 수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업계에서 중요하게 평가되는 최신 논문을 리뷰하고 분석하는 수업은 실무에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업에는 본인의 에너지를 잘 분배하여 적절히 시간을 투자하시길 권장드립니다. 학점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전문 지식과 기술을 쌓는 기회로 삼아 연구와 프로젝트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수업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연구


두 번째는 가장 중요한 “연구"입니다. 연구는 학문, 산업, 그리고 연구실(교수님)에 따라서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연구 진행 과정

연구 과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관련 분야 서베이: 기존 연구들을 조사하고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2. 문제점 파악: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의 문제점을 식별합니다.

    3. 문제 해결 방법 고안: 식별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합니다.

    4. 실험: 고안된 방법을 구현하고 실험을 진행합니다.

    5. 결과 분석 및 피드백: 실험 결과를 분석하고 피드백을 통해 연구를 보완합니다.


각 단계는 다르지만, 이러한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연구 주제의 깊이를 파고들어가게 됩니다.


연구 주제 선정

처음 대학원에 들어가면 가장 중요한 것은 연구 주제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연구실에서 이미 진행 중인 연구를 이어받거나 선배들의 연구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본인의 의지와 능력이 강하다면 새로운 연구 주제를 제안하고 이를 추진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컴퓨터비전 연구실에서는 2D 객체 인식을 주로 다루지만, 본인이 원한다면 행동 인식, GAN, 또는 3D 객체 탐지와 관련된 연구를 시작할 수도 있습니다.

컴퓨터 공학 분야는 실험실 환경에서의 제약이 적기 때문에, 충분한 컴퓨팅 성능이 제공된다면 비교적 자유롭게 다양한 연구를 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말씀드린 것처럼 어떤 연구실을 선택하더라도 처음부터 '내가 하고 싶은 연구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겠구나?'라고 생각하기는 어렵습니다. 신규 연구 주제를 선택할 경우, 해당 분야에서의 어려움이나 제한 사항 등을 이해하지 못한 채 시작하게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수님의 지도 없이 혼자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또 다른 측면으로 연구실에 들어가면 교수님이 제공하는 연구 주제나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연구실에서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나 연구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개인 연구(개인 논문)를 작성하기도 합니다.


간단히 말하면, 연구실에서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맛있는 저녁 요리 만들기'라면 본인의 역할은 '맛있는 메인 요리를 위한 입맛 돋우는 애피타이저 만들기'와 비슷한 역할을 맡아서 관련 연구와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졸업 논문을 준비하게 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외부 연구소에서 특정 작업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며, 그 결과로 컨퍼런스에 논문을 제출하고 학위 논문을 완성했습니다. 그러나 대학원 생활 동안 자신이 진정으로 하고 싶은 연구 주제를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연구 주제 선정은 매우 복잡한 과정이며, 이 과정에서의 경험을 통해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은지,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에 대한 생각을 명확히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남은 석사 과정 기간이 1년도 채 남지 않았고, 이 기간 동안에는 결과를 도출하여 논문을 작성하고 졸업을 목표로 하게 되어 매우 바쁘고 촉박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 컨퍼런스의 경우 보통 논문을 제출하고 1~3달 뒤 첫 review를 받고 rebuttal (review에 대한 답변)을 제출하고 다시 1~2달 뒤 최종 결과가 나옵니다. 그러므로 하나의 컨퍼런스에 논문을 제출하여 한 번에 accept 되더라도 보통 4달 이상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한 번에 accept 되는 경우는 드물어서 석사 과정 2년 동안 인지도 있는 컨퍼런스에서 논문이 accept 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저널의 경우 더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학위 논문(졸업 논문)은 작성하여 졸업한 뒤에도 컨퍼런스나 저널에 논문을 제출하고 리뷰를 기다리는 학생들이 많이 있습니다.



프로젝트


일반적으로 대학원 연구실에서는 사기업, 정부, 연구소 등과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대학원 홈페이지에서는 주로 진행하거나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교수님에게는 연구실 운영 자금을 확보하는 수단이며, 학생들에게는 인건비를 받고 실무 경험을 쌓고 이력서에 추가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연구실에서는 프로젝트에 학생들을 어떤 방식으로든 투입시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개인 연구에만 집중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았지만, 개인적으로는 프로젝트 경험이 실무 경험 및 이력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선택의 여지가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실제로는 석사 과정 동안에는 개인 연구만으로는 매우 우수한 성과(탑티어 컨퍼런스 논문 acceptance)를 내기 어렵기 때문에, 프로젝트 경험을 잘 정리해 두고 취업 시에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정부 출연 연구소나 연구원가 이외의 대부분의 사기업 연구 및 개발 직무로 취업하려면 연구 경험과 함께 프로젝트 실무 경험도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AI 관련 연구실 대학원생의 생활은 강의, 연구, 프로젝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같은 연구실이라 하더라도 개개인의 관심사와 목표에 따라 경험하는 일상은 다를 수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을 고민한다면 처음부터 모든 것을 확정짓는 것보다는 입학 후에 조금씩 적응하며 자신만의 일과 스타일을 찾아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AI 엔지니어의 모든 것" 매거진 전체 글


- AI 엔지니어

- AI & ML 엔지니어의 역할과 필요 역량
- AI & ML 엔지니어 세부 직무 소개!


- AI 대학원 관련 글

AI 엔지니어로의 첫걸
AI 분야 대학원 진학, 어떤점을 고려해야 할까?
AI 연구실 대학원생의 일과
AI 분야 대학원생의 연구 주제 선정 팁
AI 분야 대학원생을 현실적인 연구 가이드
비전공자도 AI 대학원 진학해도 될까?


- AI 엔지니어 취업 관련 글

AI 공부 어떻게 시작 하는게 좋을까?!
AI 엔지니어 취업 준비하기
AI 엔지니어 취업 성공 전략
대학원 졸업해야 AI 엔지니어가 될 수 있나요?









매거진의 이전글 AI 분야 대학원 진학,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