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 <강철비>

평화로 가는 길



남북 대립이 아닌 평화를 말하는 영화 <강철비>. 북한 내 갑작스럽게 발생한 쿠테타로 최정예 요원 엄철우는 북한 1호와 함께 남한으로 피신하게 된다.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대행인 곽철우는 전쟁을 막겠다는 생각으로 엄철우와 손을 잡기로 결심한다. 이렇게 동명이인은 폭력, 전쟁이 아닌 평화로 향하는 공조를 펼친다.





<강철비>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반으로 나뉜 대한민국은 사실 위험 천만의 사태에 놓여있다. 뉴스, 방송 등의 매체에서는 끊임없이 남북 전쟁에 대한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한다는 보도를 이어오고 있으며, 이는 어쩌면 (원치 않지만)실질적인 전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논점에 두고 있다. 사실상 남북은, 감정적 전쟁 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는, 한국 영화 최초로 시도되는 핵전쟁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 과거에 일어났던 사건을 기반화하는 것이 아닌, 지금까지의 행보를 토대로 조심스럽게 가까운 미래를 예측, 시뮬레이션화하여 완성한 <강철비>는 좋은 메시지를 안은 동시에 많은 부담을 떠안은 작품이기도 하다. 불안한 현실을 보다 현실성 짙게 담아낸 것만으로도 감독의 뚝심이 엿보인다.

확실한 건 <강철비>가 무거운 소재를 다뤘다는 점이다. 하지만, 영화를 풀어나가는 방식은 따듯하고 때로는 유머러스하다. <변호인>을 연출했던 감독은, 이번 작품에서도 전작과 같은 시선으로 영화를 풀어나간다. 사회성 짙은 소재를 기반으로, 대립과 폭력을 주로 다루지만 끝내 휴머니즘이 승리한다는 전개 방식은, 영화적 재미와 훈훈한 감동을 동시에 선사한다.





<강철비>는 냉온을 넘나드는 분위기가 인상적이다. 쿠테타로 인해 무자비하게 죽어나가는 사람들의 잔해는 그야말로 끔찍하고 잔인하다. 금세 차갑게 식어버리는 사람들과 개인의 득실을 챙기기 위해 타인을 악용하는 인간 군상은 차가움 그 자체다. 반면, 평화와 인류애를 위해 공조를 행한 두 남자의 브로맨스는 한없이 따듯하다. 한편, 엄철우의 부성애와 책임감 역시 내면을 뜨겁게 달궈주는 요소다.

한편, 자칫 진지하고 무겁게만 전개될 수 있었던 흐름을 유머러스하게 이끌어 낸 곽도원의 힘은 상당히 칭찬할 만하다. 더불어, 늘상 멋으로 일관하던 정우성의 순박한 잔치국수 먹방은 은연중에 인간미를 드러낸다.





<강철비>는 폭력, 전쟁의 잔혹성을 적나라(다소 과장스럽기도 하다)하게 보여주면서 그것들의 단점을 관객들에게 직시시킨다. 관념적으로도 알고 있지만, 폭력은 답이 아니다. 인류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은 평화로운 방식의 대화, 협정 등이다. 사실, 남북 통일은 언제 이룩될지는 그 누구도 명백히 예측할 수는 없다. 다만, 그 끝으로 가닿을 동안에 전쟁이라는 고통은 피해야만 할 것이다.

140분이라는 제법 긴 러닝타임에도 불구하고 <강철비>는 지루할 틈 없이 전개된다. 곽도원과 정우성. 이 두 배우의 케미스트리가 일궈낸 의미있는 결과! 오는 12월 14일, 영화관에서 확인하길 바란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