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 <세 번째 살인>

단 한 줄로 영화 <세 번째 살인>을 표현하라고 하면, 이렇게 하고 싶다. '허와 실의 줄다리기'.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신작 <세 번째 살인>은 살인사건의 진실을 쫓는 여정이다. 살인범 미스미는 30년 전에도 살인 및 강도 등의 범죄로 사형선고를 받을 뻔 했지만 간신히 죽음은 면했다. 한데, 이번에도 살인을 저지른 것이다. 미스미는 자백했지만, 감형을 위해 변호사 시게모리를 고용한다. 하지만, 끊임없이 바뀌는 미스미의 진술 때문에 변호사단은 곤혹을 치른다. 사형선고를 막으려 고용한 변호사에게 이해할 수 없는 발언들을 펼치는 미나미. 과연 이 사건의 진실은 무엇일까.


시게모리는 자신의 임무 수행을 위해 미나미와 다양한 약속들을 하지만, 의문과 의심을 품게 만드는 미나미 때문에 결국 아무것도 믿지도, 얻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법이라는 이성적인 원칙 하에 판가름되는 사건의 진실과 죄값. 이는 과연 100% 합당한 게 맞을까. 하나의 사건에도 그와 얽힌 다양한 사람들의 시선이 다르고 또한 변형되는 영화 속 사례처럼, 진실이란 어쩌면 '없다'고 봐도 무방한 게 아닐까.


영화 속에서 확실한 것은 단 하나, 미나미의 사장이 죽었다는 것 뿐이다. 이 죽음을 둘러싼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외침은 우리에게 철학적 물음을 던진다. 다양한 단서들이 펼쳐져 있고, 그 단서들을 자유자재로 변형해 진술하는 미나미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시게모리처럼, 우리 사회에는 진실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이 사실은 진실이 아닌 경우가 많다.


개인의 관점과 상황에 따른 감정선들에 의해 시시각각 변하는 미나미와 증인들의 발언은 이기적이고 유동적이다. 이기적인 시게모리 역시, 자신의 이득(승소)을 위해 미스미를 조종해나간다. 하지만 미나미는 '죄인이 자신의 죄를 마주할 기회조차 놓치게 만든다'며 비난하기 일쑤다.


미나미만큼이나 사건의 중요한 원인이 될 만한 인물이 등장한다. 피해자의 딸 사키에다. 한 쪽 다리를 절룩이는 이유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다닌다는 '소문'이 나 있는 그녀. 하지만 그 소문 역시 떠도는 거짓말일 뿐이다. 진실을 말해도 왜곡되는 현실은, 이 영화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상징들 중 하나다. 사키에는 미나미의 집에 자주 들렀다. 이 아이러니한 상황을 파헤쳐가는 과정 역시 흥미롭다.





배심원 참여 재판이 있던 날. 미나미는 또 다시 자신의 범행에 대해 번복한다. 배심원, 재판부 모두 당황한 기색을 내비치지만, 그들은 자신들의 편익을 위해 미나미에게 사형을 선고한다. 재판부 모두 살인의 공범이 된다.

내면의 진실이란 과연 있다고 믿어도 될까.


30년을 감옥에서 살다 나온 미스미는 자신을 '세상에 태어나지 말아야 했던 사람'이라고 말한다. 30년 전 미스미의 사형을 면하게 했던 시게모리의 아버지는, 이제 와서 자신의 판단을 후회한다. 그때 사형을 내렸더라면, 이번 사건이 발생하지 않았을거라는 한탄을 하면서 말이다.


미나미의 과거 범행은, 가난 때문에 벌어졌다. 부모를 포함한 가난한 이들을 괴롭히던 조폭들을 죽였던 미나미. 그는 어쩌면, 살인을 통해 죄인들에게 죗값을 치르게 만들었다. 바꿔 생각해보면, 미나미는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이자 구원자인 셈이다. 이번 사건 역시도 '정황에 따르면', 피해자를 대신해 가해를 한 셈이다. 사키에는, 자신의 피해를 대신 갚아주기 위해 미나미가 살인을 저질렀다고 생각한다. 혹은, 미나미와 함께 사키에가 자신의 아버지를 죽였을 수도 있다. 진실은 아무도 모른다.





법의 해결을 위한 장소인 법정. 하지만 그곳조차 진실을 밝혀내지 못한다. 피해자를 죽인 인물은 누구일까. 가장 근본적인 물음에 대해서도 답을 내리지 못하는 이 답답해 미칠 것 같은 상황은 진실의 존재 여부, 인간 내면의 다양성 등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


<세 번째 살인>은 선악(善惡), 가해자와 피해자, 진실과 거짓 등의 경계를 허무면서 사회 가득 번져있는 아이러니를 상징적으로 탐구한다. 용서와 구원, 진실과 휴머니즘 등 다양한 소재들이 어우러진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신작은, 그의 전작들과는 다른 주제와 분위기를 지닌다.


이번 작품도 철학적이라는 점에서 좋았으나, 개인적으로는 전작들이 지닌 따스한 분위기가 더 좋다. <세 번째 살인>과 같은 소재, 주제의 영화들은 많은 작품들에서 다뤄져왔다. 고레에다 히로카즈성 (전작)영화들은, 그이기 때문에 가능했던 작품들이라 본다. 이번 작품의 등장 때문인지, 차기작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어떤 장르와 분위기의 영화가 소개될까. 작은 소망이라면, 전작들의 분위기를 지녔으면 하는 것.


동생과 함께 감상했던 <세 번째 살인>. 영화 상영이 끝나자마자 동생은 "어렵네"라고 말했다. 영화 자체도 어렵지만 주제 역시 어려운 영화임에 틀림 없다. 무엇 하나 속시원하게 밝혀진 게 없기 때문에, 집으로 향하는 동안 뒤숭숭한 감정이 연이어졌다. 모호하고 찝찝한 이 영화에서 단 하나 정확한 것은 사건의 결과 뿐이다. 그 사건으로 인해 파생되는 다양한 피해(희생)자들을 보노라면, 우리네 삶은 폭력과 아픔으로 점철돼 있다고 봐도 좋을 것 같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님. 부디 따스함으로 찾아와주시길 바랍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