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 <공동정범> 리뷰

2009년 1월 20일, 용산 남일당 망루에서는 철거민들이 시위를 벌였다. 경찰들의 강제진압 이후 화재가 발생해 철거민 5명과 경찰 1명이 사망했다. 영화 <공동정범>은, 그 사건 이후에 남겨진 망루 속 철거민들의 속내와 화재 사건(용산참사)의 진실 규명을 파헤치고자 하는 노력들을 풀어낸다.


당시 망루에는, 타 지역에서 모인 철거민들도 함께였다. 사건의 진위 여부를 제대로 따지지도 않은 채, 경찰은 갑작스럽게 망루 안에 있었던 철거민들 5명을 '공동정범'으로 기소했다. 하지만, 이들이 사건의 원인, 그리고 화재를 직접적으로 일으킨 가해자인지에 대한 어떠한 근거도 없다. 기소됐던 철거민들은 4년의 실형을 살고 세상 밖으로 나왔다. 하지만 그들은 말한다. 감옥 밖 역시 창살 없는 감옥이라며 신세를 한탄한다.


철거민들은 참사 이후에 뿔뿔이 흩어졌다. 연락조차 하지 않는 이들은, 각자 심신의 고통을 안고 살아가고 있었다. 사건 때문에 비롯된 치명적인 부상과 동시에 낮아진 자존감과 참사에 가담했던 죄책감, 사망자들의 사망 이유가 자신들 때문이라며 자책하면서 살아오던 이들은, 재회 후 서로의 심정을 털어놓는다. 오랜만의 재회는, 서로에게 상처인 동시에 위로였다. '왜 사망자를 두고 혼자 나왔냐'는 욕설 섞인 질타가 오가는가하면, 억압에 의한 분노 섞인 용서를 구하는 장면은, 보는 내내 안타까웠다. 왜냐, 인간의 본성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장면이었으니까. 만약 당신이 망루 속에 갇힌 철거민이었다고 생각해보자. 과연, 자신이 먼저 뛰쳐나오기 위해 발버둥치지 않을 수 있었겠는가.

필자는, 철거민들 모두의 주장에 어느정도 동의가 갔다. 자신을 중심에 둔다면, 그들 모두의 주장이 일리 있기 때문이다. 자, 이보다 <공동정범>에는 더 중요한 사안이 있다. 바로, 화재 사건이 '왜' 일어나게 됐으며, 직접적인 가해자, 그러니까 죗값을 치러야 할 인물은 누구냐, 라는 점이다. 그 답은 영화 속에 있다. 과연, 실형을 산 철거민들만의 잘못일까. 아니다. 결코 아니다. 왜, 죗값을 치러야 할 이들은 사회적 약자 집단을 더 약하고 비참하게 만드는가. 거기다가, 오랫동안 무용지물의 땅이 되어버린 용산 일대의 모습은 철거민들의 삶을 더 애처롭게 만들었다.

세상이 바뀌고 있다. 권력이 무력이 되는 지저분한 현실이 조금씩 바뀌고 있다. 흩어졌던 철거민들이 재회해 힘을 합치려는 노력처럼, 세상이 바뀌기 위해서는 국민들 역시 부조리에 대응하기 위해 연대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공동정범>은, 단순히 용삼참사를 다뤘다기보다는 국민들의 앞날에 대한 자세를 말하고 있는 영화라 볼 수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영화 <초행> 리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