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 <너는 여기에 없었다> 후기

상흔을 치유하는 힘

린 램지 감독과 호아킨 피닉스의 만남이라는 것만으로도 <너는 여기에 없었다>는 볼 명분이 충분했던 영화다.


전작 <케빈에 대하여>를 통해, 인물의 내면을 집요하게 파고들었던 린 램지는 <너는 여기에 없었다>에서도 주인공 조의 내면을 쫓아간다. 어릴 적 겪었던 지속적인 학대와 전장에서의 상흔을 트라우마로 안고 있는 조의 발걸음은 그 파편들에 의해 휘청거린다. 뒤틀린 폭력성을 반복적으로 행하고, 그 괴로움에 지쳐 흔들리는 내면을 안고 살아가는 조. 그의 앞에 과거의 자신과 비슷한 상황에 처한 소녀 니나가 나타난다.



사설탐정인 조는, 어느 날 윤락가에 납치된 상원의원의 딸을 찾아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그 딸의 정체가 니나이고, 조는 단순히 일을 '처리하는 것'에서 벗어나 '자신의 상흔들을 자위'하고 더 이상 같은 아픔을 되풀이하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소녀를 '구원'한다. 물론, 이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니나를 구한 후, 음모에 휩싸여 어머니를 잃게 되는가 하면, 그로 인해 예상치 못했던 연쇄 살인을 저지르게 되니까.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에, 더 아픈 경험이 더해지는 현 상황에서 조가 유일하게 할 수 있는 일은 니나를 구하는 것 뿐이다. 그렇게 조는, 니나와 자신. 그들 둘만의 연대를 쌓아나간다.



영화가 보여주려는 것은, 상흔을 안고 있는 한 남자의 현 주소다. 피할 수 없는 상처는 평생토록 지울 수 없는 상흔으로 남게 되고, 이로 하여금 또 다른 폭력이 양산될 수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동시에, 그 상처의 파편들이 죽을 만큼 고통스럽다는 것을 알기에 반복을 막고자 발버둥치는 남자의 몸부림도 만나볼 수 있다.


서사나 주제 면으로만 놓고 보면 <너는 여기에 없었다>가 이렇다할 개성을 지닌 작품이라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이 작품은 인물에 대한 미스터리와 감각적인 연출로써 관객들을 매혹시킨다. 과거의 고통과 현재의 자살 충동이 교차 편집되는 신, 기억 속에 존재하는 상흔의 파편들이 보여지는 방식은 범죄, 미스터리물이라는 장르색에서 보기 드문 감각적인 면모를 내비친다. 물론, 상흔이라는 소재가 초점인 영화임에도 그것들이 상투적이고 불확실하게 그려진 부분은 아쉽지만 말이다.



어찌됐든, 온갖 폭력으로 얼룩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너는 여기에 없었다>는 따듯하게 마무리된다. 통쾌한 액션과 직설적인 애정 신은 없지만, 냉·온기를 넘나드는 한 남자의 행보를 밀착력있게 보여줌으로써 입체적인 인간 내면을 보여주는 이 영화는 우리 스스로의 삶을 돌아보게 만들어준다.


영화는, 수많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필요한 것은 위로와 구원이라는 것과 이것들이 없는 삶은 죽음과도 같다는 것을 일러준다. 여리고 어색할지라도, 우리는 타인의 온기를 통해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