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인천 모도 배미꾸미조각공원

김기덕 감독의 팬인 나는 그의 모든 영화들을 보고 또 볼 정도로 팬심을 발휘해왔다. 기묘한 매력이 있는 영화인 <시간>을 두 번째 감상했을 때, 결심의 의지가 샘솟았다. 영화 속 장소를 찾아가기로 한 것이다.


주인공 새희(성현아)와 지우(하정우)가 앉아 추억을 남기는 장면에서 ‘저기는 어딜까’라는 호기심을 자극한 장소. 두 손이 포개진 큰 조형물 앞에서 사진을 남기는 주인공의 모습이 한 폭의 초현실주의 예술 작품 같았다. 큰 두 손 안에서 평온함을 만끽하고 있는 듯한 두 사람의 모습. 보는 것만으로도 힐링이었다. 그 기운을 느끼고 싶어 실행에 옮겼다.


먼저 그곳을 검색했다. 정체는 인천 옹진군 북도면 모도리에 있는 배미꾸미조각공원. ‘배미꾸미’라는 단어가 생소해 찾아봤다. 배 모양으로 생긴 섬인 ‘모도’의 밑구멍처럼 생겨 ‘배미꾸미(배밑구미)’라 불리게 됐다고 한다. 이곳에 조각가 이일호의 작품이 전시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의 이름으로 불리게 된 것.


나는 여행길에 오를 때 계획을 철저히 짜는 편이 아니다. ‘일단 부딪쳐보자’주의인 나는 배미꾸미조각공원을 향할 때도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않았다. 섬나들이를 떠난다는 설렘만 안고 떠났다.


배미꾸미조각공원에 도착하기 위해서는 감수해야할 것들이 많았다. 배를 타고 내려 차로 꽤나 먼 거리를 이동해야 했다. 삼목선착장에 차와 함께 몸을 실은 후 신도선착장에 내려 모도다리를 지나 비포장길 위를 달려 후미진 곳까지 들어가야 모습을 드러내는 곳이다.


가는 길이 험난했던 덕분이었을까. 조각공원과 마주했을 때의 보람이 컸다. 오로지 포개진 손 조각 작품을 보겠다는 일념 하나만으로 온 몸을 피곤하게 만들었던 비포장 도로 위를 달려왔다. 도착했을 때의 심정은 긴 장맛비가 걷힌 후 오랜만에 쨍한 햇살을 마주한 듯한 기분이었다.


이 가슴 벅찬 기운을 고이 간직한 채 작품들을 감상하러 달려갔다. 스피커를 뚫고 흐르는 음악이 작품들과 묘하게 어울렸다. 조각공원, 조형 전시회 등을 즐겨 다녔던 나지만 배미꾸미조각공원은 생경했다. 해변에서 조각을 감상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었다. 바다와 예술 감상을 좋아하는 나에겐 최고로 기억될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이일호 조각가의 30여 점의 작품이 바다 바로 앞에서 관람객들을 반기는 이곳. 조각들은 ‘사랑’이라는 주제로 창조되었다. 작가는 에로틱한 사랑을 작품에 담아냈다. 초현실주의 작가 답게 현실에서는 접할 수 없는 면면들을 담아내 감상자들의 상상력을 자극시키는 작품들이 많다. 연인과 찾는다면 특별한 추억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높은 곳에서 내려다본 공원의 전경은 평온한 놀이터와도 같았다. 작품들이 컬러풀한데, 그것들을 멀리서 내려다보니 마치 놀이터 기구 같이 보였다. 대개 사랑의 이미지와 연상되는 색채들(분홍, 빨강 같은)과는 달리, 녹색 계열의 작품들이 많다. 작가는 사람들의 편견 속에 싸인 사랑의 색이 아닌 주변 경관, 즉 자연과의 어우러짐을 고려해 이 같은 색을 택한 것이 아닐까.


배미꾸미조각공원만이 지닌 특징은 바다, 하늘, 바위와 돌, 나무와 같은 자연 전체가 어우러져 하나의 작품이 된다는 점이다. 어머니의 넓고 따스한 품과 닮은 바다 옆에 놓인 사랑의 조각들은 더 특별하게 느껴졌다. 


내가 이곳을 찾게 된 궁극적인 목적. 그러니까 ‘꼭 봐야 할 작품’은 역시나 가장 좋은 자리에 놓여 있었다. 공원의 정중앙에 우리 몸집의 두 배 이상은 되는 규모의 손 조각은 이일호 작가 특유의 초현실성을 고스란히 갖추고 있었다. 작품을 보는 순간 가장 먼저 떠오른 생각은 ‘안기고 싶다’는 것.



아쉽게도 내가 찾았을 때는 영화에서 볼 수 있었던 하늘을 향한 계단의 형상을 볼 수 없었지만, 작품에서만 봤던 것을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 것만으로도 가슴 벅찼다. 작품의 제목은 ‘천국으로 가는 계단’이다. 계단이 없어진 것은 아쉬웠지만, 그것은 감상자의 상상으로 충분히 만들어낼 수 있는 법. 나는 작품에서 멀찍이 떨어져 손가락으로 층계를 쌓아 하늘로 가는 다리를 만들었다.


‘새가 되지 못한 나는 무겁고 컴컴한 땅의 중력에서 벗어나 바다 건너 하늘로 가고 싶다. 굼뜨고 미련한 삶을 버리고 새털처럼 가볍게 하늘로 날아야 하는데, 어깻죽지에 바늘이 돋지 않으니 굼뜨고 미련한 조각으로나마 하늘 계단을 만들어보는 수밖에’ 


작품에 새겨진 글귀다. 우리 모두 이와 같은 생각을 한번쯤은 해봤을 것이다. 일상의 염증, 삶에 대한 회의가 느껴질 때면 하늘을 올려다보게 된다. 드넓은 하늘과 깨끗한 바람을 만끽하며 자유로이 날아다니는 새가 부러울 때도 있다. 하늘이 천국같이 느껴질 때도 있다.


한편 ‘교감’이라는 작품도 감명 깊었다. 한 사람으로는 할 수 없는, 두 사람이 마음으로 만들어가는 것이 교감이다. 이것이 형성될 정도의 관계라면 이미 물리적인 시간과 그것을 뛰어넘는 정신의 것들을 교류했을 것이다. 이심전심(以心傳心), 교감. 이 같은 단어가 내포하고 있는 가슴 벅찬 아름다움. 이를 잘 표현해낸 이일호 작가는 작품에 대해 ‘빛보다 빠른 게 눈빛이다. 억겁의 말 못한 사연도 고운 눈빛 한 번이면 다 풀어진다’라고 설명했다. 그렇다. 사랑하는 이들이라면 서로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는 것을 눈빛만으로도 읽어낼 수 있을 것이다. 사랑은 교감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오죽하면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라는 노랫말이 등장했을까. 


작품들의 주 테마는 사랑이지만, 비단 거기에만 국한되어 있지는 않다. 여행은 ‘발견의 매력’을 지닌 활동이다. 여행을 통해 우리는 수많은 배움을 얻는다. 배움의 과정에는 여행자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전조사에서부터 발품을 파는 것에 이어 그 활동들을 통해 느낀 것들을 흡수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말이다. 조각공원 곳곳을 걷다 보니 생각의 변화를 이끌어줄 만한 작품들이 많았다. 덕분에 나는 한 뼘 더 성장할 수 있었다.



부산이 고향인 나는 늘 바다가 그립다. 내 마음을 읽은 듯한 글귀를 발견한 나는 순간 ‘울컥’했다. ‘나의 귀는 소라, 바다 소리를 그리워하오’ 나 또한 바다 소리와 파도를 그리워하고 있던 터라, 이 글귀를 본 순간 본능적으로 셔터를 눌렀다.  


내가 찾았던 때는 썰물때였다. 때마침 갯벌놀이에 푹 빠져있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니 순수했던 시절이 떠올랐다.


멀리서 보면 마치 진짜 나무처럼 보이는 이 조각. 사실은 철재로 만들어진 조형물이다. 이 작품의 사진을 SNS에 올렸더니 반응이 뜨거웠다. ‘저건 어디에 있는거죠?’, ‘바위 위에 어떻게 나무가 자라죠?’라는 질문이 쏟아졌다. 시각적인 것뿐만 아니라 바람에 의해 철재끼리 부딪칠 때마다 들리는 소리를 경험해보고 싶다면 배미꾸미조각공원으로 향하시길.



배미꾸미조각공원은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진 곳이다. 사랑을 테마로 한 작품들이 들어서 있어, 특별한 사람과 함께 찾는다면 잊지 못할 추억거리를 남길 수 있는 장소다. 물론, 홀로 떠나도 좋다.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평안을 찾을 수 있는 바다가 있고 찬찬히 감상하며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작품들이 있기 때문이다. 카페테리아도 있어, 간단히 허기를 때우거나 차 한 잔 하며 대화나 사색을 즐기기에도 손색없다.


도심과 가깝지만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 도착해서였을까. 해외여행을 하지 않았음에도 일탈을 즐길 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만의 독서 취향이 있다면 한남동 스틸북스로 가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