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 리뷰

새로운 관점의 학폭 영화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는 스스로 몸을 던진 '김건우'의 편지에 이름이 남겨진 네 명의 학생들이 학교폭력 가해자로 지목된 가운데, 자신의 아이들을 위해 사건을 은폐하려는 부모들의 추악한 민낯을 그린 영화다. 동명의 연극을 원작으로 만들어졌다.

설경구, 천우희, 문소리를 비롯한 대한민국 대표 연기파 배우들의 열연과 학교폭력이라는 고질적인 청소년 문제를 차별화된 관점으로 바라본 작품으로 일찍이 대중의 관심을 받아왔다. 설경구는 작중 '강한결(성유빈)'의 아빠이자 접견 변호사 '강호창'으로, 천우희는 사건을 폭로한 담임 교사 '송정욱'으로, 문소리는 학교폭력 피해자인 김건우의 엄마 역으로 변신했다. 학교폭력 가해자로 지목된 학생들의 아빠와 할아버지 역은 오달수(병원 이사장, 도지열), 고창석(한음 국제중학교 교사, 장선생), 김홍파(전직 경찰 청장, 박무택)이 연기했다.


내로라하는 연기파 배우들이 모였다

여느 학교폭력을 다룬 작품들과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의 차별점은 관점이다. 가해자의 시선에서 바라본 점이 인상적이다. 피해자의 처절하고 가슴 아픈 입장이 아닌, 가해자의 이기적인 입장과 행동에 집중해 관객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송정욱 역을 맡은 천우희

 

송정욱의 캐릭터가 인상적이다. 피해학생과 가해학생 사이에서 기로에 놓인 인물로, 제3자로 섰을 때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갈등한다. 영화가 끝난 후에도 소신과 강단이 있는 그녀의 행보가 가슴 깊이 남았다.

설경구의 연기도 뇌리에 박혔다. 제목에 걸맞게 부모의 얼굴(표정)을 또렷하게 보여주는 연기가 압권이었다. 사건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그의 표정을 통해 가해자 부모의 다양한 심정을 분명하게 알 수 있었다. 탁월한 캐스팅이다.


제목(부모의 표정)을 온전히 표현한 설경구

영화를 보는 내내 화가 치밀어올랐다. 집단 폭력은 물론, 명백한 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자식들만을 위해 타인을 악용하고 온갖 만행을 저지르는 어른들의 모습에 격한 감정이 격해지고 울컥했다. 그러나 만약 내가 저 상황에 처했다면 어땠을까. 나 역시 작품 속 가해자의 부모들처럼 행동했을 것 같다. 자식을 위해서라면 어떠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을 것 같기도 하다.

이처럼 <니 부모 얼굴이 보고 싶다>는 내적 갈등을 자극한다. 타인의 만행이기 때문에 손가락질하겠지만, 막상 내가 저 상황에 처하면 저들과 비슷한 행동을 저지르고 있을 테다. 가해자 부모들을 향해 당당하게 손가락질할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다른 관객들 역시 영화관을 나오면서 열띤(?) 대화를 나눴다. "나라면 더 심했을 것 같다", "공감된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렸다. 이렇듯 <니 부모 얼굴을 보고 싶다>는 '당신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지' 질문하고 고민하게 만드는 영화다.

학교폭력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는 상황이다. 청소년 문제를 다루는 작품들이 당장 세상을 바꿀 순 없겠지만 인식의 변화와 각성을 통해 좀 더 건강한 사회가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니 부모 얼굴을 보고 싶다> 속 반전은 영화관에서 직접 확인하기를 권한다. 오랜만에 관내에서 팝콘 취식이 가능하게 되었으니 뜻깊은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기를.

매거진의 이전글 히치콕의 <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