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영화 '애프터 양' 리뷰

테크노 사피엔스에 대한 진지한 고찰

안드로이드도 기억을 할까. 영화 '애프터 양'의 코고나다 감독의 질문이다.


고도로 발달된 테크노 사피엔스가 보편화된 세계를 배경으로 한 '애프터 양'은 새로운 종과 인간의 관계를 면밀하게 그린다. 테크노 사피엔스는 다인종·다문화 가정에 보급되어 가족이자 지성체로 활약하고, 고장 난 채 방치되면 부패한다.


잎차 상점을 운영하는 제이크(콜린 패럴)와 회사 중역인 키라(조디 티너 스미스) 부부도 '양'이라는 안드로이드를 샀다. 입양한 중국인 딸 미카(말레아 엠마 찬드로위자야)를 위해서다. 양은 미카에게 중국어를 가르치고 나무의 접붙이기 원리를 통해 뿌리를 알려주는 등 훌륭한 오빠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던 어느 날 양의 작동이 멈추고, 이 가족에겐 위기가 찾아온다. 양에게 의지하던 미카가 정서적으로 크게 흔들리자 제이크는 양을 수리할 방법을 모색한다. 이 과정에서 다른 안드로이드와 달리 양에게는 숨겨진 기억 장치가 있고, 오래된 리퍼 제품이었던 양에게는 또 다른 세월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장소와 시간에 관한 '진짜 기억'이 있기를 바랐던 양의 진실이 밝혀진 것이다.



'애프터 양'은 안드로이드의 관점에서 인간과 가족, 죽음의 의미를 성찰한다. 감독은 SF 장르물의 관습인 화려한 시각효과, 액션 등을 뒤로한 채 근원적인 것들을 담담하게 풀어가는 방식으로 차별성을 취한다. 제이크와 함께 양의 기억과 경험을 엿보는 과정은 꽤나 흥미롭다. 안드로이드 생애의 다양한 모습은 신비로운 세계를 탐험하는 것 같다. 코고나다가 채색한 미래 세계는 서정적인 아름다움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영화는 기억과 상실, 사랑 등 근원적인 것들과 더불어 한 (기계)인간의 정체성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특히 누구보다 뛰어난 존재를 통해 인간 중심적인 사고방식에서 한 발짝 멀어질 수 있었던 점도 좋았다. 제이크와 양과 얽힌 여자의 대화가 인상적이었다.



제이크: 양이 테크노인 걸 힘들어했나요?

여자: 무슨 뜻이에요?

제이크: 혹시 인간이 되고 싶었나 해서요.

여자: 아니에요. 너무 인간다운 질문이지 않아요? 다른 존재는 모두 인간을 동경한다 생각하는 거요.

제이크: 그럼 단 한 번도 힘들어한 적 없어요? 의문을 가진 적도?

여자: 제가 알기로는요.


안드로이드의 생애를 진지하게 고찰하는 '애프터 양'의 탄생은 머지않아 비슷한 환경이 찾아올 것임을 예고하는 듯하다. 이제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받아들여야 할 때가 온 것이다.



명대사



양이 미카에게 나무의 접붙이기 원리를 통해 가족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는 장면

양: 이것 좀 봐.

미카: 나무가 다친 거야?

양: 아니, 굉장한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거야.

미카: 무슨 일?

양: 사실 이 가지는 다른 나무에서 왔어.

미카: 진짜?

양: 응. 그런데 이제 이 나무의 일부가 되고 있지.

미카: 정확히 일부는 아니잖아. 그런 척 하는 거지.

양: 왜 그렇게 생각해?

미카: 그냥 테이프로 붙여 놓은 거니까.

양: 아, 그래.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다. 이리 와 봐. 이미 붙은 가지를 찾아보자.



노자의 '애벌레에겐 끝이지만 나비에겐 시작이다'에 대해 양이 키라에게 뱉은 말

"솔직히 말해도 될까요? 저는 괜찮아요. 끝에 아무것도 없다고 해도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