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사랑스러운 항일 영화가 있었던가!
<박열>은 이준익 감독의 세 번째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자) 영화다. 이번 작품에서의 '아나키스트'는 '박열'과 그의 동지이자 부인인 '가네코 후미코'다. 영화는, 1923년 관동대지진 이후 동경에서 있었던 조선인 대학살과 항일운동을 펼치던 '불령사' 조직의 리더 박열의 실화를 그린다.
영화의 배경이 된 실화의 내용은 이렇다. 70만여 가구 파괴, 340만여 명의 이재민, 14만여 명의 사망과 실종을 초래한 관동대지진으로 인한 민중의 공포심을 극복시키기 위해 일본 정부가 펼친 계략에 의해 조선인은 일본인을 죽이기 위해 우물에 독을 넣은 악의 민족이 되고 만다. 그로 인해 약 6,000여 명의 무고한 조선인들은 학살당하고 만다. 나아가 일본 정부는, 이 대학살 사건을 은폐시키기 위해 박열을 대역사건의 배후 인물로 지목한다. 일본의 계략을 눈치챈 박열은 후미코와 함께 일본 황태자 폭탄 암살 계획을 자백하고, 그때부터 둘은 사형을 무릅쓴 재판 과정에 온 몸과 정신을 던지는 사투를 시작한다.
<박열>은, 영화의 도입부에 등장하듯 '고증에 충실한' 작품이다. 가네코 후미코의 평전과 자서전, 박열 평전 및 아사히 신문 기사 등을 속속들이 옮겨놓은, 그야말로 '사실에 충실한' 역사극이다. 미화와 억지스러운 연출을 절제하고 사실을 충실히 옮겨냄으로써 실존 인물과 작품에 대한 신뢰를 다지는데 성공한다.
'나는 개새끼로소이다'라는 과격한 대사로부터 시작되어 일본 정부와 권력층들에 온갖 것들을 내뱉는 박열과 후미코의 행위들이 영화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의 주 소재들이다. 하지만 필자의 감정을 사로잡은 <박열>의 매력은 휴머니즘이다. '불령사' 단원들이 주장하는 '평등'에서부터 박열과 후미코가 주고받는 20대 초반 청춘들의 사랑스러운 애정 행각들은 영화의 매력 포인트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요소들이다.
역경(심지어 죽음) 앞에서도 절대 굽히지 않는 신념과 흔들리지 않는 사랑을 다루는 <박열>은 결국, 한 인물의 삶을 통해 관객들에게 생애 진짜 중요한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 성찰하게 만든다. 이준익 감독은 이번에도 '제대로 해냈다'. 역사를 '어떻게 그려낼 것인가'에 대한 심심한 고민이 느껴진다. 그가 한결같이 표현해오던 다양한 정(情)들은 이번 작품에서도 여과 없이 발휘됐다. 법정 영화가, 항일 운동을 다룬 영화가 이같이 로맨틱하게 그려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영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