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가 넘치는 다(多) 콘텐츠 시대에 종합편성채널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드라마와 예능 모두 가장 먼저 두각을 드러낸 JTBC를 비롯해 <도시어부>, <하트시그널>의 채널A, <미스트롯>으로 트로트 붐을 일으킨 TV조선 등 지상파 방송의 아류 같은 느낌을 벗어내지 못한 것이 기억나지 않을 정도로 히트 상품을 만들어내며 자신의 색을 찾아가고 있다. <나는 자연인이다> 외에 눈에 띄는 작품이 없던 MBN은 최근 <돌싱글즈>가 성공을 거두며 다양한 예능을 제작 중이다.
예전 같으면 상대적으로 인기와 출연료가 적은 출연자들이 많이 나오는 것, 거액을 활용해 섭외를 화려하게 하는 것 등이 종합편성채널의 방식이자 이미지였다면 점점 메이저라 불리는 방송사의 PD들이 이적하면서 방송사의 이미지가 변하기 시작했다. 그 덕분에 출연자 섭외가 조금 더 수월해진 것으로 보인다. 방송의 구성도 이제는 타 방송사의 형제, 같은 뿌리라고 해도 될 정도로 대개 비슷한 모습만 보이다 자기 색을 띠는 모습을 보인다. 성공하는 콘텐츠 제작을 하는 방송사로서의 감을 잡은 모습이다. MBN이 조금씩 다른 방송사의 뒤를 바짝 쫓은 것도 이 시점을 맞이한 후부터다.
MBN 방송의 화제성은 다른 방송보다 부족해 보이지 않는다. 요즘은 방송만 하면 방송 내용 요약이 기사로 나올 정도로 소식이 빠르다. <돌싱글즈>, <고딩엄빠>, <국대는 국대다> 등 MBN의 요청으로 기사가 홍보용으로 작성되기도 하겠지만 요청과 상관없이 이들의 행적을 좇는 기분이 들 정도로 빠르게 방영 후 다양한 신문사의 기사로 보도된다. 하지만 그런데도 다른 방송사에 비해 이런 분위기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 원인은 MBN의 방송 제작 방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지금 MBN의 방송 제작은 순환이 빠르다. 제작과 폐지를 빠르게 반복한다. 프로그램이 성공하고 정착할 기미가 보이면 계속 유지하고 실패할 것 같으면 가차 없이 폐지한다. 이는 초기 JTBC가 하던 방법이었다. 이는 장점이자 단점이다. 빠르게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며 제작비를 절감한다는 점, 그리고 빠르게 후속작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하지만 문제는 방송이 자리 잡을 새가 없다는 것이다. 나중에 나온 방송이 잘된다는 보장도 없다. 후속작을 빠르게 만들기 위해 단순한 소재와 구성으로 나온다. MBN의 방송은 다양한 소재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씩 다 만들어보는 느낌이다. 참신한 아이디어로 구별된 방송을 만드는 게 아닌 기존에 있는 소재를 하나씩 소모해보는 것이다. 이는 마치 패스트푸드를 뷔페로 골라 먹는 기분이다. 맛이 없어 잘 집어 가지 않는 음식은 폐기하고 맛이 좋아 계속 동나는 음식을 파악해 집중하는 것처럼 말이다.
갑자기 끝나는 방송의 마지막이 얼마나 허무하냐면 기승전결 같은 흐름은 아랑곳하지 않고 지금까지 시청해줘서 고맙다거나 정비 후 돌아오겠다는 자막으로 안녕을 고한다.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는 방송도 있으니 인사라도 했다면 다행일 수 있겠다) 그리고 바로 다음으로 구상하고 제작한 작품을 방영한다. <빽 투 더 그라운드>, <아나 프리해> 같은 방송이 그 예다. 이 방법은 제작비를 절감한다는 점, 빠르게 후속작을 마련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문제는 시청자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방송도 가차 없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한 방송을 즐겨보려는 시청자는 마지막 인사가 성의 없이 느껴지고 흥미를 잃게 된다.
너무 회전이 빠른 제작을 하기보다 방송을 자리 잡게하는 법을 마련해야 한다. <알토란>, <속풀이쇼 동치미> 등 오랜 시간 지속된 방송을 MBN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송은 신선한 아이디어로 경쟁하는 방송이 아닌 안정적인 포맷으로 유지하는 방송이다. MBN만의 색을 나타낼 수 있는 대표 예능을 만들고 장수 예능으로 이끄는 감각도 유지해야 장기적인 관점에서 방송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다.
어떻게 하면 길게 방송을 유지할 수 있을까. 고정 방송으로 투입하며 반응이 좋지 않아 마무리하기보다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가동해보는 것은 어떨까. 물론 파일럿 프로그램을 선보이기에는 지상파 방송에 비해 모을 시청자가 부족하다. 하지만 파일럿 프로그램은 한 회차를 만들어 쇼케이스를 열고 반응을 살피는 방식이기에 고정을 예상하고 여러 회차를 만들어 반응을 보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다.
또 다른 방법은 기존 방송의 포맷, 출연진을 교체하며 새롭게 만드는 것이다. 이 방법은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 아니며 이런 방법으로 성공한 방송은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역주행’이 자주 일어나는 요즘 초기 반응이 좋지 않다고 해서 바로 접는 것보다 기다려볼 필요도 있다. 그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콘텐츠가 성공할 수 있는지를 깨달을 수 있다. 또 실패를 한다 해도 얻는 것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방송이 성공한다면 MBN을 떠올렸을 때 기억나는 대표작이 많아질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MBN이라는 방송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
한 채널의 성장은 다른 채널에 위협이 되기도 하지만 자극제가 되기도 한다. 한 명의 시청자 입장에서 MBN이 더 다양한 방송을 만들어 주길 바라며 그리고 그 성장이 다른 방송사의 성장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