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TV를 켰네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와칸다 포에버 Dec 19. 2022

MBN 채널 예능 분석

콘텐츠가 넘치는 다(多) 콘텐츠 시대에 종합편성채널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드라마와 예능 모두 가장 먼저 두각을 드러낸 JTBC를 비롯해 <도시어부>, <하트시그널>의 채널A, <미스트롯>으로 트로트 붐을 일으킨 TV조선 등 지상파 방송의 아류 같은 느낌을 벗어내지 못한 것이 기억나지 않을 정도로 히트 상품을 만들어내며 자신의 색을 찾아가고 있다. <나는 자연인이다> 외에 눈에 띄는 작품이 없던 MBN은 최근 <돌싱글즈>가 성공을 거두며 다양한 예능을 제작 중이다.


예전 같으면 상대적으로 인기와 출연료가 적은 출연자들이 많이 나오는 것, 거액을 활용해 섭외를 화려하게 하는 것 등이 종합편성채널의 방식이자 이미지였다면 점점 메이저라 불리는 방송사의 PD들이 이적하면서 방송사의 이미지가 변하기 시작했다. 그 덕분에 출연자 섭외가 조금 더 수월해진 것으로 보인다. 방송의 구성도 이제는 타 방송사의 형제, 같은 뿌리라고 해도 될 정도로 대개 비슷한 모습만 보이다 자기 색을 띠는 모습을 보인다. 성공하는 콘텐츠 제작을 하는 방송사로서의 감을 잡은 모습이다. MBN이 조금씩 다른 방송사의 뒤를 바짝 쫓은 것도 이 시점을 맞이한 후부터다.


MBN 방송의 화제성은 다른 방송보다 부족해 보이지 않는다. 요즘은 방송만 하면 방송 내용 요약이 기사로 나올 정도로 소식이 빠르다. <돌싱글즈>, <고딩엄빠>, <국대는 국대다> 등 MBN의 요청으로 기사가 홍보용으로 작성되기도 하겠지만 요청과 상관없이 이들의 행적을 좇는 기분이 들 정도로 빠르게 방영 후 다양한 신문사의 기사로 보도된다. 하지만 그런데도 다른 방송사에 비해 이런 분위기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 원인은 MBN의 방송 제작 방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지금 MBN의 방송 제작은 순환이 빠르다. 제작과 폐지를 빠르게 반복한다. 프로그램이 성공하고 정착할 기미가 보이면 계속 유지하고 실패할 것 같으면 가차 없이 폐지한다. 이는 초기 JTBC가 하던 방법이었다. 이는 장점이자 단점이다. 빠르게 프로그램을 마무리하며 제작비를 절감한다는 점, 그리고 빠르게 후속작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하지만 문제는 방송이 자리 잡을 새가 없다는 것이다. 나중에 나온 방송이 잘된다는 보장도 없다. 후속작을 빠르게 만들기 위해 단순한 소재와 구성으로 나온다. MBN의 방송은 다양한 소재 중 하나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씩 다 만들어보는 느낌이다. 참신한 아이디어로 구별된 방송을 만드는 게 아닌 기존에 있는 소재를 하나씩 소모해보는 것이다. 이는 마치 패스트푸드를 뷔페로 골라 먹는 기분이다. 맛이 없어 잘 집어 가지 않는 음식은 폐기하고 맛이 좋아 계속 동나는 음식을 파악해 집중하는 것처럼 말이다.


갑자기 끝나는 방송의 마지막이 얼마나 허무하냐면 기승전결 같은 흐름은 아랑곳하지 않고 지금까지 시청해줘서 고맙다거나 정비 후 돌아오겠다는 자막으로 안녕을 고한다.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는 방송도 있으니 인사라도 했다면 다행일 수 있겠다) 그리고 바로 다음으로 구상하고 제작한 작품을 방영한다. <빽 투 더 그라운드>, <아나 프리해> 같은 방송이 그 예다. 이 방법은 제작비를 절감한다는 점, 빠르게 후속작을 마련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하지만 문제는 시청자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는 방송도 가차 없이 사라진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한 방송을 즐겨보려는 시청자는 마지막 인사가 성의 없이 느껴지고 흥미를 잃게 된다.


너무 회전이 빠른 제작을 하기보다 방송을 자리 잡게하는 법을 마련해야 한다. <알토란>, <속풀이쇼 동치미> 등 오랜 시간 지속된 방송을 MBN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방송은 신선한 아이디어로 경쟁하는 방송이 아닌 안정적인 포맷으로 유지하는 방송이다. MBN만의 색을 나타낼 수 있는 대표 예능을 만들고 장수 예능으로 이끄는 감각도 유지해야 장기적인 관점에서 방송 제작에 도움이 될 것이다.


어떻게 하면 길게 방송을 유지할 수 있을까. 고정 방송으로 투입하며 반응이 좋지 않아 마무리하기보다 파일럿 프로그램으로 가동해보는 것은 어떨까. 물론 파일럿 프로그램을 선보이기에는 지상파 방송에 비해 모을 시청자가 부족하다. 하지만 파일럿 프로그램은 한 회차를 만들어 쇼케이스를 열고 반응을 살피는 방식이기에 고정을 예상하고 여러 회차를 만들어 반응을 보는 것보다 더 효율적이다.


또 다른 방법은 기존 방송의 포맷, 출연진을 교체하며 새롭게 만드는 것이다. 이 방법은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 아니며 이런 방법으로 성공한 방송은 그리 많지 않다. 하지만 ‘역주행’이 자주 일어나는 요즘 초기 반응이 좋지 않다고 해서 바로 접는 것보다 기다려볼 필요도 있다. 그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콘텐츠가 성공할 수 있는지를 깨달을 수 있다. 또 실패를 한다 해도 얻는 것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방송이 성공한다면 MBN을 떠올렸을 때 기억나는 대표작이 많아질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MBN이라는 방송국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


한 채널의 성장은 다른 채널에 위협이 되기도 하지만 자극제가 되기도 한다. 한 명의 시청자 입장에서 MBN이 더 다양한 방송을 만들어 주길 바라며 그리고 그 성장이 다른 방송사의 성장에도 도움이 되길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복면가왕의 성공 이유와 아쉬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