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와칸다 포에버 Jan 01. 2024

한쪽 눈으로 바라본 세상

눈에 다래끼가 났다. 이유는 잘 모르겠다. 며칠 피곤해서 면역에 이상이 있었던 것인지, 길을 걷다 눈에 먼지가 눈에 들어가 고통스러웠던 적이 있었는데 그 때문인지, 안과에서 의사 선생님 말씀대로 눈의 마이봄샘이 막혀 있어서 그로 인한 여파로 생긴 것인지. 큰 고통은 없었지만, 자꾸 느껴지는 눈의 이물감과 거울을 볼 때마다 보이는 다래끼 때문에 일에 집중하지 못할 때가 많았다.


다래끼는 치료하는 데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필요했다. 약을 사흘, 나흘 치를 보통 받는데 차도가 없어 병원을 두 번 이상 더 방문해야 했고 수시로 안약을 넣었다. 고름은 줄어들지 않았고 결국에는 콩알처럼 크기가 커져 이를 도려내는 작은 수술을 받았다. (이후로 반대쪽 눈에도 다래끼가 생겼는데 그때는 따뜻한 수건으로 눈 찜질을 자주 했더니 조금 더 차도가 있었다)


수술은 참 두렵다. 내가 직접 수술 장면을 보는 때는 드물다. 온전히 내 몸을 의사에게 맡겨야 한다. 어떤 도구, 어떤 방법으로 내 아픈 부분을 치료할지 알 수 없다. 눈에 마취 바늘이 들어왔을 때 뭔지는 모르겠지만 눈 주변을 베고 후비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 분명 마취했음에도 고통과 촉감이 있었다.


지혈을 위해 눈에 붕대를 감은 내 모습을 봤을 때 저절로 나온 말이 있었다. “누구인가? 지금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어?” 나는 마치 궁예 같았다. 하지만 아픔을 여유로 소화하고자 했던 것도 찰나였다. 한쪽 눈이 보이지 않자, 모든 게 어색해졌다. 반대편 눈의 시력이 떨어진 것 같았고 거리감도 없었다. 수술 후에 시원한 아메리카노를 집에 사 가야겠다고 마음먹었던 것이 금방 사라졌다. 빨리 집에 가 쉬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병원과 카페 간 거리가 그리 멀지 않은데도 그 거리를 내가 쉽게 걸을 수 없을 것 같았다.


눈이 보이지 않으니 어지러움도 있었다. 집중해 집에 도착했고 한 시간 후에 붕대를 풀라는 말을 따르기 위해 가만히 앉아있었다. 그리고 붕대를 풀었을 때, 양 눈에 사물이 들어왔을 때 개운함을 느꼈다. 사람의 눈은 왜 두 개일까. 한 개나 세 개로는 살 수 없을까? 어린 시절 막연히 가졌던 의문에 답을 얻었다. 다 이유가 있는 것이라는 것을 말이다. 나는 잠깐의 불편한 시간을 가졌을 뿐이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시야의 제약을 받는 사람들은 얼마나 불편한 생활을 할지 돌아보게 됐다. 고인이 된 유상철 축구 감독을 비롯한 운동선수 중에도 눈에 불편함을 가진 사람들이 꽤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들이 얼마나 피나는 노력으로 그 자리에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생각했다.


시간이 지나 붕대를 떼어냈을 때 개운함은 근래 들어 가장 개운했다. 하나의 눈이 아닌 양 눈으로 앞을 보니 정말 잘 보였다. 흐릿하던 시야가 안경을 써 깨끗하게 보이는 것 같은 느낌이었다. 탁 트인 전경을 본다는 것. 얼마나 행복하고 감사한 일인가. 며칠간의 고통 때문에 얻은 경험과 교훈은 너무나 크다. 하지만 이 감동은 반복된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점점 지워지고 무뎌질 것이다. 그래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도록 종종 되새길 생각이다.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좋아하는 NBA 꼰대 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