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뚜벅이는 윤슬 Jun 06. 2023

걸어서 작품 속으로

숱한 과거와 현재가 만들어내는 작품, 부여

특별한 계기가 없어도 단번에 마음에 들어오는 곳들이 있다. 누군가 "거기가 왜 좋아?"라고 물으면 이유는 뾰족하게 말하기 어려운데 그냥 좋은, 그래서 누군가를 설득하지는 못하지만 어쨌든 추천하고 싶은 그런 곳들이다.

충청도 부여는 개인적으로 국내에서 가장 아끼는 지역 중 하나다. 가장 아낀다고 해서 밥 먹듯이 가는 건 아니지만, 갈 때마다 안정감이 들어 스스로는 '충청도에 있는 제주도'라고 생각할 때가 많다. 제주도 마을 골목골목을 걸을 때의 기분을 느낄 수 있는 도시다. 수많은 생각을 모두 잊고 오직 눈앞에 나타나고 코앞을 스치는 것들에만 집중하게 된다. 그게 여행을 떠나는 이유 중 큰 부분을 차지한다 생각하는데, 그 이유를 잘 실감할 수 있는 국내여행지가 부여라고 생각한다.


비가 내렸다 그쳤다- 걷는 여행을 하기 참 애매한 날씨에 부여를 찾았다. 비가 오는데도 극성수기라 도로 위에 차량이 가득했는데 역시나. 부여는 조용하더라. 역사책에서 많이 봤을 도시임에도 사람들은 생각보다 부여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그래서 선택도 잘 안 한다. 덕분에 나만 아는 맛집을 찾아온 것처럼 혼자 뚜벅뚜벅 도시를 쏘다녔다. 분명 맛집인데 소문이 안 난다. 오히려 좋아!

북적임이 보이지 않는 부여는 '비 오는 날의 부여는 이런 곳이다'를 알아채기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국내에서 가장 아끼는 이유를 찾을 절호의 찬스였다.




사람이 만들어내는 작품이 가득한 곳

여름의 부여를 '색(色)'으로 표현하라 하면 분명 '초록색'이다. 물기 묻은 붓으로 칠한 수채화 같은 초록색 그림이다. 그 생각을 처음 들게 한 곳은 과거 백제의 별궁 연못이었던 '궁남지'다.

연꽃이 피기 전 둥근 잎마리만 동동 떠 있는 연못을 둘러싸고 있는 수많은 나무들은 숱이 많았다. 조금만 더 나무가 많았으면 연못보다는 숲이나 정글에 가까워지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울창하다는 표현이 잘 어울리는 풍경이었다. 궁남지가 보여주는 자연의 깊이에 감동한 건 동물들도 마찬가지인지 다양한 새와 오리들의 일상도 볼 수 있었다.


느린 걸음으로 궁남지를 바라보는데 문득 최근 일 년 사이에 다섯 개의 연작을 본 모네의 <수련>이 떠올랐다. 아, 이런 풍경을 보고 그린 것일지도 모르겠다. 모네가 점점 나빠지는 시력으로 바라본 연못을 그렸다는 <수련>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궁남지에 대입해도 비슷한 결과물이 나올 것 같았다. 비가 온 뒤라 형체에 물기가 스며들어 더 그렇게 보였다. 축축해도 채도가 밝지 않아도 아름다움을 잃지 않은 연못이었다.

모네의 수련
그리고 부여의 궁남지


부여에서 가장 좋았던 게 뭐냐는 질문에 단번에 대답할 수 있다.

백제금동대향로.

백제금동대향로는 전체 높이 64CM 지름 20CM의 꽤 키가 큰 금동향로로, 국보로 지정되어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부여군에서도 부여국립박물관에서도 자랑으로 삼는 것을 여러 공식 사이트만 가봐도 눈치챌 수 있는데 그럴만하다는 건 직접 봐야 공감할 수 있다.

국사를 좋아해 전국을 여행하면서 국립박물관을 챙겨 다니고 있지만, 이렇게 아름다운 향로는 처음이었다. 사진으로 봤을 때보다 훨씬 입체적인 외관과 안에 들어간 동적인 요소들이 세밀해 "우와" 감탄할 수밖에 없었다. 그 뒤에는 왜 부여국립박물관을 이제야 왔는지 스스로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이마를 짚었다. 잊히지 않을 대향로와의 첫 만남이다.  

용이 향로 몸체를 입으로 물어 올린 모습을 띄고 있는 받침. 연꽃잎 곳곳에 있는 상상 속 동물들. 다섯 명의 악사들이 연주하는 모습까지 모두 그대로 볼 수 있다. 백제금동대향로는 천 년이 넘은 뒤 발견되었지만 진흙에 잠겨 산소가 차단된 덕분에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었다고 한다. 그 덕분에 우리가 지금 숨을 들이마신 채 내쉬지 못할 만큼 놀라운 요소 하나하나를 온전히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 천 년 전의 모습을 지금 보고 있다 생각하니 신기하고 또 신기했다.

디테일이 소름 돋을 지경이다

주차장 공사 중 처음 발견되었다는 이 보물이 영영 땅에 묻혀 있었다면 향로에게도 우리에게도 너무 아까운 일이었을 것 같다. 향로도 우리도 운이 좋았다.


꼭 특정 지을 수 있는 무언가만 부여를 작품처럼 보이게 한 건 아니다.

부여를 뚜벅이로 여행하다 보면 부여를 삶의 터전으로 삼은 사람들이 만든 작품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숙소였던 게스트하우스가 마을 깊숙이 위치해 숙소를 나설 때마다 구불구불한 마을 길을 걸어야 했는데 그때마다 봤던 논도 훌륭한 작품이었다.

'모내기하기 전 모종이 이렇게 생겼구나'

다닥다닥 붙어있는 모종 더미를 보고 일정한 간격으로 꽂혀있는 논으로 시선을 옮기니 들이는 정성과 시간이 백제금동대향로와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백제금동대향로만큼 카메라 셔터를 누른 공간이었다.

수확하는 계절까지 온전하게 잘 자라기를!

논이 보일 때마다 과거 완도전복생산자협동조합 이용규 사장님의 인터뷰에 있던 문구가 떠올랐다.

'농작물은 농부의 발소리를 듣고 자란다'

이 지역 또한 마찬가지 아닐까. 백제의 역사가 겹겹이 쌓여 이제 부여의 역사로 현재진행형인 이 도시의 주축은 사람이다. 사람이 전설 속 예술품 같은 대향로를 만들고 그림 같은 연못을 만들고 생명력이 깃든 논을 일구어 부여라는 위대한 작품 완성시키고 있다.

이처럼 도시 전체가 '예술이야!'를 외치게 하는 부여는 지금도 역사를 쌓아가고 또 발굴하고 있다. 앞으로도 자주 부여를 여행해야 하는 이유다.


▼ 뚜벅이 여행자를 위한 여행 뉴스레터 <뚜벅이는 레터>를 운영하고 있어요! 월 2회 구독해 주신 메일함으로 찾아갑니다(무료)


매거진의 이전글 자전거가 사는 나라, 오스트리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