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1 day 1 scene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승 Dec 15. 2020

나는 작가가 아니라 회사원이다

작가라는 단어의 부담감

작가.


언제나 얻고 싶은 말이었다. 그런데 작가의 기준은 무엇일까. 


신춘문예나 문예지로 등단을 해야 작가인가. 등단에도 레벨이 있다는데, 레벨에 따라 작가라고 밝히기 부끄러운 등단이 존재하나. 등단의 레벨을 누군가는 등급표처럼 매겨 놓은 건가. 등급표를 책상 앞에 붙이고, 가장 높은 레벨에 등단하기 위해 달려야 하나. 


책을 내야 작가인가. 요즘은 자비 출간도 활성화되어 있다. 독립 출간을 하면 작가라고 할 수 있나. 작은 소책자라도 인쇄소에서 한 권이라도 찍으면 작가가 되나. 출판사를 통해서 내야 작가가 되나. 출판사의 규모에 따라 작가의 레벨이 정해지나. 출간에도 레벨이 있는 건가.


글을 쓰고 있으면 작가인가. 일기장에 글을 써도 작가인가. 블로그에 글을 쓰면 작가인가. 브런치 작가 승인이 나서 브런치에 글을 쓰면 작가인가. 하루에 한 줄이라고 SNS에 쓰면 작가인가. 읽어주는 사람이 없어도 매일 쓴다면 작가가 되는 건가.


작가.


가끔 작가로 불릴 때가 있다. 어딘가에 글을 연재할 때면, 함께 작업하는 분 에디터로부터 작가로 불리기도 한다. 그럴 때면 위에서 언급한, 그런 고민들이 쏟아진다. 나는 작가로 불려도 되나. 이제 막 책을 낸 지금도 마찬가지다. 


책을 내고 나고 주변에 열심히 알리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내 중심을 잃지 말자는 생각을 한다. 여기서의 중심이란 나의 기본값이다. 나는 회사원이라는 기본값. 작가의 태도로 회사를 다니는 게 아니라, 회사원이라는 중심을 잃지 않고 글을 쓰기로 마음먹었다. 


스스로를 작가라고 생각하고 사는 게 좀 더 어렵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회사원으로 살면서 꾸준히 글을 쓰는 건 부담이 덜한데, 작가라고 하면 글로 밥값을 하고 성과를 내야 한다. 난 그런 압박감으로 살고 싶지는 않다. 그저 꾸준히 쓰길 바랄 뿐이다. 지금도 이렇게 졸린 눈 비비면서 꾸역꾸역 글을 쓰고 있는데, '작가'라고 하면 굉장히 퀄리티 높은 글을 써야 할 것 같다. 


만족스러운 글을 척척 생산하는 날은 아마 내 삶에서 안 오지 않을까. 내 성격상 그런 날이 오면 나태해질 게 분명하다. 작가라는 이름은 꽤 그럴싸하고, 그 이름에 취하기 시작하면 내 미래는 뻔하다. 금방 오만해지고, 글도 제대로 안 쓰고, 더 나아가서는 회사생활에서도 소홀해질지 모른다. 더 오래 쓰기 위해서라도 회사에서 주어진 일을 열심히 할 필요가 있다. 내게 가장 적절한 수식어는 '작가'가 아니라, '글 쓰는 회사원' 정도니까. 이게 훨씬 속 편하다. 기대치를 낮추는 건 필수다.


글 쓰는 회사원.


작가라는 이름 달고 나대거나 깝죽거릴 생각 말고, 오래오래 쓰는 사람으로 남을 생각이나 하자. 월급을 받아야 여유롭게 오래오래 쓸 수 있으니, 회사원의 신분을 기본값으로 가져가자. 나는 작가가 아니라 회사원이다. 오늘도 그렇게 말하고, 부족함 많은 글을 발행한다.



*커버 이미지 : 귀스타브 쿠르베 ‘돌 깨는 사람들’

매거진의 이전글 여행지에서 만난 친구와 연락하고 지내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