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당최서생 Jun 05. 2023

당최 젊은이는 어디로 간 걸까

연구인력 고령화 

저출산과 고령화 사회이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추세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빠르다. 국제연합(UN)의 기준에 따르면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인 고령자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된다. 2022년 통계청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2025년 고령자 인구 비율이 20.6%까지 높아져 초고령 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 7년 만에 초고령사회에 도달하는 것으로, 영국 50년, 프랑스 39년, 미국 15년뿐만 아니라 고령화 추세가 가파르다는 일본의 10년 보다도 더 빠르다. 사회 전반의 고령화 추세는 과학기술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매년 조사되는 연구개발 활동조사는 우리나라 연구개발비와 연구개발인력 등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조사하여 국가연구개발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유용한 통계이다. 연구개발 활동조사 결과를 토대로 연구수행기관 별 연구원의 연령 별 분포를 살펴봤다. 


연구기관, 대학, 기업의 연구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연구원 수를 다 합친 전체 막대그래프의 길이는 길어지는 반면, 29세 이하 연구원의 막대 길이는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 전반적으로 40세 이상의 막대 길이가 길어진 것이 보인다.  

자료 : 연구개발 활동조사(각 연도)
자료 : 연구개발 활동조사(각 연도)
자료 : 연구개발 활동조사(각 연도)

연구원 수의 합산으로는 연령대 별 변화를 파악하기 쉽지 않다. 연령대 별 비중의 변화를 살펴봤다. 기업에서 29세 이하 젊은 연구자의 비중이 크게 감소했다. 연구기관과 대학은 비중 변화가 크지 않은데, 기업은 2002년 29.5%에서 2021년 14.8%로 낮아졌다. 

자료 : 연구개발 활동조사(각 연도)

30대 연구원의 비중 변화도 기업에서 두드러진다. 20년 전에 비해 연구기관의 30대 연구원 비중 감소 폭은 6.7%, 대학은 1.9%이다. 기업은 16.4%나 줄어들어 2~30대 젊은 연구원 확보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자료 : 연구개발 활동조사(각 연도)

연구기관과 대학의 40대 연구원 비중은 감소한 반면 기업의 40대 연구원 비중은 크게 증가했다. 기업의 40대 비중은 2002년 13.1%에서 2021년 31.7%로 증가했다. 신진 연구인력의 유입은 적고, 기존 인력의 나이 듦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자료 : 연구개발 활동조사(각 연도)

50대 연구원 비중은 전체적으로 20년 전에 비해 증가했다.  연구기관과 대학은 2007년 경 50대 연구원 비중이 증가한 후 비중이 20% 대에서 유지 중이다. 반면 기업은 꾸준하게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자료 : 연구개발 활동조사(각 연도)

60세 이상 연구원의 비중은 대학이 가장 높다. 대학교수 정년이 65세이기 때문에 대학에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으로 60세 연구원이 근무하고 있다. 

자료 : 연구개발 활동조사(각 연도)



연구인력 고령화는 앞으로 쉽게 풀리지 않을 문제이다. 그래도 젊은 연구원이 많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고경력 연구원에게는 적절한 역할을 찾는 노력이 중요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의대가 최선입니까 당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