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elight Mar 11. 2016

알파고가 우리에게 던진 메시지

이번에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에 대한 반응을 보면 인공지능 관련 종사자들과 일반인들 사이에 큰 차이가 엿보입니다.


바둑하는 사람을 포함해 일반인들은 대국 결과에 깜짝 놀라 했고, 인공지능 계통 사람들은 생각보다 강해 보이기는 한데 그럴만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라는게 어느날 갑자기 확 나타난 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조금씩 조금씩 진화해왔고, 특정 분야에선 인간을 뛰어넘는 지력을 보이는 수준이 됐는데, 이게 외부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겁니다. 그러니까 한쪽에선 놀라고, 한쪽에선 충분히 그럴 수 있다는 반응이 나오는 거겠지요


저는 알파고가 이슈가 된 것이 참 다행스럽다고 생각합니다. 황우석 박사를 통해 온 국민이 줄기세포 분야에 대해 많이 알게 됐듯,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으로 이제 많은 이들이 인공지능의 현재와 가능성에 대해 체감했을 거라 생각합니다. 인공지능이 기술 분야를 뛰어넘어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거도요.


인공지능의 시대, 사람이 불행해지지 않기 위해서는 지금과는 다른 사회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미 공론화되기 시작했습니다.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일자리 문제입니다.  인공지능을 포함한 기술의 발달로 사람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달로 없어지는 일자리를 새로운 일자리가 대체하기는 역부족이라는 게 보고 듣고 느낀 저의 판단입니다. 인공지능은 일자리가 사라지는 속도를 더욱 빠르게 할 것입니다.


 지금의 한국 사회 구조에서 더욱 그럴 거 같네요.  한국은 사실상 경쟁과 효율의 코드가 지배하는 사회가 됐는데, 인공지능은 이런 구조를 더욱 강화시킬 겁니다. 인공지능 때문에 우리네 삶은 더욱 팍팍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자리는 점점 더 빨리 사라지고, 사회는 더욱 불안정해져 가겠지요.


인공지능으로 사회가 불안해지지 않으려면 분배 시스템을 좀 더 강화해야 하지 않을까요? 유럽 등에서 일을 하고 안 하고 와 상관없이 무조건 나오는 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습니다.


또 다른 문제는 인간의 존엄에 관한 것입니다. 삶이 팍팍해지기는 했지만 사람은 지금까지 만물의 영장이었습니다. 지력 하나만큼은 인간이 지배하는 영역이었다는 거죠. 그러나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간의 지력도 대체 가능한 상황이 됐습니다. 먹고사는 문제를 떠나 이건 인간으로서의 존재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보이게 따라 철학적인 문제가 될 수도 있지요.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김으로써, 이 같은 고민도 점점 현실화되어 가는 모습입니다. SNS를 보면 인간의 존엄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 저는 이런 것에도 사회적으로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철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인공지능은 앞으로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생각했던 많은 영역들을 접수해 나갈 것입니다. 일본에서는 까다롭기로  소문만 도쿄대 입학을 겨냥한 인공지능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고, 월드컵 우승팀과 겨뤄 이기는 것을 목표로 한 로봇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인간을 능가할 수 있는 인공지능은 이제 현실 속에 존재하고 있습니다.


신기하게만 바라보는 것을 넘어, 인공지능이 확산되는 것을 고려한 바람직한 사회 구조, 인간의 존엄성을 지켜나갈 수 있는 철학적인 인프라를 갖춰 나가야 할 때가 되었습니다. 알파고가 많은 이들 사이에서 이 같은 논의를 확산시키는 기폭제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런데,  현실을 보고 있자니 우리나라도 알파고보다 더 좋은 인공지능 안만 들고 뭐하냐는 논의에서 그쳐버릴까 우려가 많이 드네요. 이미 미래창조과학부는 인공지능 육성을 외치기 시작했습니다.


참고로 주변분들한테 들으니 알파고에 투입된 딥러닝 기술이라는 게, 그렇게 만만한 것이 아닙니다. 시작은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할 수 있지요. 그러나 제대로 하기는 정말로 어렵다고 합니다. 9번 잘하다고 1번 잘못 판단해도 바둑과 같은 정교한 게임도 접수할만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서는 정말 엄청난 내공을 필요로 합니다. 저로서는 말로는 표현하기 힘든 수학적 역량이 요구된다고 하는데요. 


수준 높은 딥러닝을 구현하려면 오랜 시간과 시행착오를 견디면서 실력을 연마해 나가야 합니다. 엄청난 데이터도 필요로 하고요. 몇 년 안에 뭐하겠다는 식으로 승부를 거는 경우가 많은 우리 정부가 장기적인 연구 개발과 지원을 필요로 하는 인공지능 분야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거라고 보는 이들이 많은 게 현실입니다. 괜히 인력 양성한다느니 해서 물만 흐려 놓을 거라고 우려하는 이들도 많습니다. 정책 결정에서 앞서 정부에 냉정한 판단을 주문하고 싶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