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로진 Apr 13. 2021

[왓챠 영화] 나, 다니엘 블레이크

스포가 있습니다.


*


인생은 운칠기삼(運七技三)이다.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내가 노력한 만큼의 보상을 받는다면 그건 굉장히 운이 좋은 일이다. 마이클 샌델도 <공정하다는 착각>에서 그렇게 말한다. 반대로, 열심히 살지 않았다고 해서 인간답게 살면 안 되는 것도 아니다. 공정하지 못함에 분노하지만, 만약 그 불공정이 자신에게 이익을 가져다 준다면 공정하다고 생각할 것 같다. 운이 좋았다며 겸양의 미덕을 보일지도 모른다.


출처: 네이버 영화


40년 동안 목수로 일해온 댄은 누구보다 열심히 산 사람이다. 안타깝게도, 열심히 한 만큼의 대가가 돌아온 것 같지는 않다. 우선 치매를 오래 앓은 아내의 병원비를 대느라 돈이 하나도 없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심장병 때문에 일을 더 할 수도 없다. 이제 나라의 복지에 기대야 할 상황이다. 의사는 질병수당을 신청하라고 했지만 반려되었다. 질병수당 대신 실업수당을 신청하려고 했으나 40년 동안 나무만 만진 사람이 갑자기 컴퓨터로 문서를 제출하기는 쉽지 않다. 전화로 물어보고 싶은데 대기 시간만 50분. 대기 중에도 요금은 책정된다.


구직활동은 건강 문제로 불가하고,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적극 활용하라는 정부의 지침에 따르지 않았다는 이유로 실업수당도 못 받는다. 옆집 청년은 중국산 나이키 신발을 되팔아서 돈을 번다. 젊은 사람은 저런 식으로도 돈을 버는데 댄에게는 복지 수당을 받는 것조차 너무 버겁다. 집에 있는 가구들을 팔아 그나마 버티고 있다.


구직을 해야 하지만 약속 시간에 늦었다는 이유로 상담이 거절된 케이티. 두 자녀를 데리고 이민온 미혼모다. 케이티와 그의 아이들은 인간의 기본적인 의식주도 갖추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겨우 얻은 집은 촛불로 난방해야 할 정도로 형편 없고, 너무 배가 고픈 나머지 아이들에게 줘야 할 통조림을 먹고 죄책감에 오열할 정도로 먹을 게 없다. 센터에서 댄을 만난 이후 댄에게 조금씩 도움을 받는다. 40년 경력의 목수 댄은 집도 척척 고쳐주고 아이들에게 장난감도 만들어준다.


당국의 부당한 대우와 부조리한 복지 제도에 분노한 댄은 다 필요없다며 질병수당 명단에서 자신을 제해줄 것을 요청한다. 그러고는 건물 밖 담벼락에 페인트로 쓴다. "나, 다니엘 블레이크". 댄의 그래피티 퍼포먼스에 사람들은 환호하지만 어쨌든 범법이므로 댄은 연행된다. 이후 집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은 채 좌절한 댄에게 케이티가 찾아온다. 도움을 받았으니 댄을 돕겠다는 것. 법과 제도가 할 수 없는 일을 인간은 한다.


케이티는 결국 구직도 하지 못하고, 밑창이 떨어진 운동화를 신는다는 이유로 놀림을 받는 아이들 때문에 성매매에 뛰어든다. <플로리다 프로젝트>의 핼리가 그랬던 것처럼. 이들을 함부로 비난할 수 없다. 사실 기회마저도 운이다. 기회가 있는데 왜 잡지를 못하냐고 비난할 수도 있지만, 기회가 온다고 다 잡을 수 있는 건 아니다. 사람을 이해하는 건 얼마나 어려운가. 앞뒤상황 맥락없이 비난하는 건 또 얼마나 쉬운가. 댄은 케이티를 어둠 속에서 끌고 나온다.


케이티는 댄의 질병수당 심사 항고에 동행한다. 질병수당을 받을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하지만 이야기를 가장 비극적으로 만드는 방법이 무엇인가. 주인공이 성공을 눈앞에 두고 허무하게 죽어버리는 것이다. 댄은 화장실에서 심장마비로 죽는다. 케이티는 그가 심사에서 낭독하려고 했던 선언문을 결국 그의 장례식에서 읽는다. "나, 다니엘 블레이크는 한 사람의 시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다니엘 블레이크의 죽음 이후로 바뀐 것이 있을까. 당사자의 죽음으로 항고는 기각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영화 이후, 케이티의 삶이 조금은 나아졌기를, 댄과 비슷한 입장에 놓인 사람들이 복지 혜택을 받기가 조금은 편해지기를 바란다. 그러나 선별적 복지제도는 복지를 받아야 할 사람이 내가 얼마나 불쌍한지 증명해야 하고, 증명하지 못하면 자격을 박탈당하기 마련이다. 내가 얼마나 비참한지를 잘 설명해야만 혜택을 받는다.


그래도 누군가는 이 영화를 보고 '젊었을 때 돈 좀 벌지. 남들 돈 벌 때 뭐 했냐', '노력을 안 하니까 저렇게 사는 거다', 또는 '난 저렇게 살지 않아서 다행이다'라는 식으로 생각하고 있을 것만 같아 씁쓸하다.


*


스마트폰 없는 사람에게, 컴퓨터 못 만지는 사람에게 너무도 가혹한 세상이다. 마르크스가 노동과 자본에서 인간의 소외를 말한 지가 벌써 200년이 다 되어 간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간소외는 박차를 가하게 될 것이다. 인간의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은 세상이 코 앞에 있다.


모든 것을 돈으로 보는 세상이 숨막힌다. 모든 가치의 척도가 돈이다. 가난하다고 해서 인간성을 잃어야 할 이유는 없다. 매년 겨울마다 생각한다. 길거리에 노숙자들이 일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재기를 위해 노력하지 않았다고 해서 겨울에 얼어 죽어야 할 이유는 없다. 가난한 집 아이들이 선별적으로 급식 카드에 돈을 받고, 돈까스 하나 먹었다고 비난받아야 할 이유도 없다. 우생학이 따로 있는가. 예전에는 종의 개량이었다면, 이제는 돈을 잘 버는 인간만 살아남아라, 하게 된 것뿐이다.


아무튼 이 영화는 인간에 관한 이야기다. <필경사 바틀비>의 마지막 문장을 떠올려 본다. "아 바틀비여, 아 인간이여."

작가의 이전글 [왓챠 영화] 녹색 광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