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emji Jul 12. 2023

STAX SR-3 /1968년, 정전형 헤드폰의 시작

소소한 음악기계

스탁스STAX = 정전형의 등식이 성립될 정도로 스탁스 사의 역사는 정전형 헤드폰의 역사와 동일하게 취급됩니다. 정전형 또는 콘덴서형이라 일컬어지는 이 헤드폰은 가장 보편적인 드라이버인 다이내믹 드라이버를 채용한 헤드폰과 완전히 다른 원리로 작동됩니다. 다이내믹 드라이버는 얇은 막으로 된 진동판에 코일을 부착하고 그 뒤쪽에 영구자석을 달아 만듭니다.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진동판이 움직이며 소리가 나게 되는데, 단순한 구조에 저렴한 반면, 진동판과 코일의 무게로 저음을 내기는 좋으나 섬세한 소리를 내는 데 불리하며 반응속도가 떨어지는 편입니다. 코일이 중심에 있기에 진동이 진동판 바깥으로 퍼져나가면서 소리의 왜곡이 생기기도 합니다.  스탁스사가 사용하는 정전형 드리이버는 1.5~6미크론 두께의 얇은 다이아프램 양쪽에 철판을 설치하고 다이아프램에 고전압을 넣어 전하를 충전한 뒤 각각 다른 위상의 신호를 양쪽의 철판에 보냄으로써 다이아프램을 진동시켜 소리를 만듭니다. 얇은 막이 자유롭게 움직이기에 섬세한 음 표현에 유리하며 왜곡도 적습니다. 단점은 드라이버에 고전압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전용의 앰프가 필요하며 비교적 고가입니다.  


스탁스사가 개발한 최초의 정전형 헤드폰은 1960년에 출시한 SR-1입니다. 진동막은 6미크론, 앰프를 통해 증폭된 전압은 230V입니다. 재생 주파수 대역은 30-25,000Hz, 감도는 95dB/100Vr.ms로 지금의 기준으로 보아도 꽤 괜찮은 성능입니다. 다만 당시의 이어패드는 탄성이 없는 플라스틱이었습니다. 아직 헤드폰의 편의성에 대한 보편적 기준이 성립되기 이전의 기기입니다. 


이후 스탁스사는 연구를 거듭해 SR-3를 출시합니다. 다이어프램 규격, 재생 주파수 대역, 감도 그리고 디자인 마저 SR-1과 거의 유사하나 이어패드가 부드러워지고 음의 섬세함이 향상되는 등 전반적인 개량이 있었습니다. 발매 시기는 1968년으로 지난번 소개한 SR-X Mark2의 보다 앞섭니다. SR-X Mark2는 SR-3을 모델로 제작되었으며 진동막의두께를 3분의 1로 줄인 고급기였습니다. 


 SR-3의 1968년 발매당시 가격은 7,200엔으로 현재 가치로 27만 원 정도입니다. 당시의 수율, 즉 생산된 기기 중 판매 가능한 개체를 얻는 비율이 낮아 한 달 제조대수가 20대에 불과했기 때문에 비교적 고가의 가격이 책정되었습니다. 정전형 드라이버는 먼지에 극도로 취약하기 때문에 청정한 환경관리가 필수인 데다가 거의 모든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재에도 수율이 높지 않으며 비교적 고가로 거래됩니다.  


SR-3의 외관은 높은 가격만큼의 가치를 지니지 못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백색의 플라스틱 컵을 판 스프링으로 고정한 저가형 헤드폰의 모습입니다. 하지만 막상 청음을 하게 되면 놀라운 반전을 만나게 됩니다. 정전형 드라이버 특유의 선명함이 귀를 간지럽히며 악기의 분리도도 매우 좋습니다. 힘보다는 섬세함이 두드러지는 기기로 두터운 저음을 내기에는 부족하지만 정교하게 연주되는 재즈나 팝을 듣기에는 이보다 좋을 수 없습니다. 아마도 1960년대의 재즈, 클래식 그리고 1966년 비틀스의 일본 공연으로 시작된 그룹사운드 붐, 여기에 대한 반동으로 유행한 포크록 사운드에 맞춰진 것이 아닌가 합니다.  


소개드리는 곡은 시티팝의 대부로 알려져 있는 야마시타 타츠로山下達郎 의 1976년 데뷔 앨범 Circus Town의 수록곡과 그의 전성기였던 1984에 발표한 앨범 Big Wave 중 가장 멋진 연주입니다. 야마시타 타츠로는 스스로도 꽤 알려진 인물이지만 시티팝의 대모 격인 타케우치 마리야竹内 まりや의 남편으로도 유명합니다.


오늘 그의 음악을 SR-3를 통해서 다시 한번 들어봅니다.  두번째 연주, Only With You는 서핑을 즐기는 해변을 연상시키는 여름노래입니다.


https://youtu.be/bRYuJDA4oo0


https://youtu.be/lxj203Dk7xQ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Technics SL-XP5, 80년대 최고의 CDP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