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형재 Mar 18. 2019

완벽하지 않은 것에 대한 완벽한 믿음

《김상욱의 과학공부》를 읽다 말고 쓰기

유체나 생명체와 같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복잡계의 경우 현대과학이 예측할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 유체보다 훨씬 단순한 계系라고 해서 상황이 나아지지 않는다. 이 경우 법칙의 존재가 예측가능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바로 카오스이론의 핵심이다. 양자역학은 우주가 근본적으로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고까지 이야기한다.


완벽한 진리를 알고 싶었다. 그런 게 있다고 믿었고, 엄밀한 방법으로 논리적 추론을 거듭하다 보면 찾아낼 수 있을 거라 생각했었다. 그래서 논리학과 분석철학을 열심히 팠었다.


에이어를 읽을 때쯤이었던 것 같다. 완벽한 진리 같은 건 없다고 느꼈다. 논리실증주의자라 불리는 사람의 논리로 가득한 책을 보다가 오히려 논리학의 허술함을 깨닫게 됐다. 아니, 논리학이 허술하다기보다는 논리학에 대한 나의 믿음이 과했다는 걸 알게 됐다.  


완벽한 진리가 있다는 믿음, 혹은 그런 걸 인식 수 있다는 믿음을 폐기했다. 이제는 아무리 칼같이 객관적인 논리를 봐도 뒤를 캐고 캐면 논리가 아닌 무언가가 뒷받침하고 있다고 믿는다. 개인적 취향이나, 주관적 판단, 배경 같은 것들이 논리 뒤에 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낭비의 효용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