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RU Jul 17. 2020

공포영화 추천 100편, PART II

TOP 100 HORROR MOVIES, PART II

공포영화는 특수효과가 많이 들어가는 영화만큼이나 유통기간이 극히 짧다. 지금 관객은 제임스 웨일의 <프랑켄슈타인(1931)>이나 토드 브라우닝의 <드라큘라(1931)>가 당시엔 극한의 공포 경험을 안겨주는 영화였다는 사실을 이해하지 못하며 나 역시 그렇다. 어릴 적에 무서웠던 <링>의 사다코나 <주온>의 카야코, 토시오를 지금에 와서는 개그 소재로 쓰일 때 기분이 묘하다. 십 년 전 영국에서 <양들의 침묵(1991)>의 등급을 하향 조정했는데 그건 20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이 영화가 공포영화로서의 기능을 그만큼 상실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 100년간 호러 장르가 극단적인 자극을 향해 나아갈수록 과거의 공포영화들이 상대적으로 ‘순한 맛’으로 뒤로 밀려났다.      


호러는 고도의 테크닉이 필요한 장르다. 공포란 생명의 위협을 받을 것 같은 위협을 느낄 때 생겨나는 인간의 본능이기 때문에 매우 세심하게 다뤄야 한다. 자극적인 점프 스케어나 오싹한 장면이 별로 없이도 충분히 무서운 영화가 있다. 반면에 독창적이며 감각적인 소재라 해도 전혀 무섭거나 긴장감 없니 지루한 호러 영화가 허다하다. 그리고 사람마다 공포감을 느끼는 지점이 다르다. 그렇기 때문에 순위를 학문적인 잣대(비교분석)로 리스트를 짤 수밖에 없었다. 선정기준은 ①독창성, ②영향력, ③완성도 순으로 집계했다. 




#90 : 1408 (1408·2007) 미카엘 하프스트롬

역시 공포의 진수는 ‘스토리텔링’에서 나온다. ‘귀신 들린 집’이 등장하는 영화의 관습을 충실히 따르지만, 주인공이 겪는 궁극의 공포는 지극히 현실적이다. 만약 체험하고 싶다면 1408호에 투숙하시라!




#89 : 터커 & 데일 Vs 이블 (Tucker And Dale vs. Evil·2010) 엘리 크레이그

<스크림, 1996> 이후 호러 영화 스스로를 패러디하는 유행이 불었다. 아마 <케빈 인 더 우즈, 2012>에게 왕위 계승권이 돌아가겠지만, 이 영화도 승계구도에 끼어들 자격이 충분하다.     


레시피는 간단하다. 하이틴 코미디, 슬래셔 호러, 케빈 인 더 우즈 장르를 가져와서 편견과 오해, 소통의 부재를 양념처럼 뿌린다. 잔혹한 유혈사태가 벌어질 때마다 관측 코미디답게 대학생들의 어리석음을 낄낄대며 지켜보면 된다. 살인마를 뒤집은 놀라운 발상의 전환, 문자 그대로 장르를 갖고 노는 놀이, 얼어붙은 남녀의 마음을 따뜻하게 데울 수 있는 호의적인 유머들이 가득하다. 




#88 : 컨저링 1,2 (The Conjuring·2013-6)/인시디어스 1,2 (Insidious·2010-3) 제임스 완

<컨저링>은 국내 개봉 당시 ‘무서운 장면 없이 무서운 영화’로 홍보됐지만 오히려 그 반대다. 러닝타임 내내 모두 무서운 장면으로 꽉꽉 채운 놀이공원으로 초대한다. <컨저링>은 새로운 것은 없지만, 기존 영화에서 발명된 아이디어를 적재적소에 배치했다. 언뜻 쉬워 보이지만, 아무나 할 수 없는 경지가 아니다. 


<인시디어스>는 추리물의 플롯과 시간을 뒤섞는 장치를 통해 차별을 꾀한다. 특히 ‘시간여행’이라고 보아도 무방한 이 영리한 서사적 장치는 관객이 지금까지 이해한 이야기의 성격을 바꿀 정도로 절묘하게 작동하며 단순한 공포 이상의 즐거움을 준다. 한번 보고 잊어버렸던 무서운 이미지 뒤에 숨어 있던 사람들의 사연을 통해 영화를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87 : 엑스 3부작 (X·2022-4) 티 웨스트

스콜세지에 따르면 <X>는 "70년대, 슬래셔 시대"를 상징하고, <펄>은 "50년대 멜로 드라마을 생생하게 컬러"로 되살렸다. 올해 개봉한 <맥신>에 관해 말하자면 1980년대 할리우드를 "황량하고, 절망적'으로 묘사했다. 스콜세지는 "영화문화에서 3가지 다른 시대를 배경으로 한 3부작이 대중문화를 되돌아보게 하는 이야기"라고 설명했다.




#86 : 헬레이저 (Hellraiser·1987) 클라이브 바커

<헬레이저>는 '심야의 공포', '캔디맨' 등을 쓴 호러 소설 작가 클라이브 바커가 1987년 자신의 소설을 직접 영화로 연출한 작품이다. 사디즘, 고어, 에피쿠로스의 쾌락설 혹은 제레미 벤담의 공리주의, 스플래터가 뒤섞인 특별한 지옥으로 안내한다. 지금 보면 다소 어설프고 조악하지만, 특유의 그로테스크함은 공포영화 마니아라면 꼭 한 번쯤 거쳐야 하는 필수 답사 코스가 되었다.   




#85 : 사탄의 인형 (Child's Play·1988) 톰 홀랜드

본격 동심파괴 영화. 겉보기에는 슬래셔 호러의 공식과 요구에 충실하다. 그러나 한 꺼풀 벗어보면 주인공 앤디와 싱글맘 캐럴의 심리에 상당한 공을 들였음을 깨닫게 된다. 이런 10대 모험물의 성격이 공포 영화계의 기념비적인 작품인 된 원동력이다.


참고로 이 시리즈는 세계 3대 인형 괴담의 하나인 1904년에 발생한 ‘로버트 인형 괴담’을 모티브로 하고 있다고 한다.




#84 : 좀비랜드 1.2 (Zombieland/Double Tap·2009-19) 루벤 플레셔

영국 영화 <새벽의 황당한 저주>에 대한 미국식 화답, 능동적이고 유쾌한 웃음이 가득하다. 한마디로 좀비 영화를 가장한 로드무비, 성장영화이자 가족코미디다.




#83 : 영혼의 카니발 (Carnival Of Souls·1962) 허크 하비   

공포영화가 환한 대낮의 지나치게 밝은 화면이 웬 말인가? 초저예산 3만 달러로 제작된 이 촌스럽고 서툰 영화는 지금 봐도 이상한 마력을 마구 내뿜는다. 특히 사운드 디자인이 혁신적인데, 스크린 상의 이미지와 액션에서 오디오가 분리되어 여주인공의 악몽 같은 비현실성을 강조한다.


‘독립영화’라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았던 때에 만들어졌다는 영화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서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텍사스 전기톱 살인>, <이블 데드>, <블레어 위치>, <나이트메어 앨리>와 같은 직계후손을 거느렸을뿐더러 일상에서 벌어지는 비현실성은 훗날 데이빗 린치에게 큰 자양분이 되었다. 




#82 : 기담 (奇談·2007) 정범식, 정식

두 번째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엄마 귀신은 레알 무섭다. 정 씨 형제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상실감을 세심하게 다루며 공포를 자아낸다. 기묘하게 색이 바랜 색감으로 영화의 아련한 정서를 포장한다. 결국 이 옴니버스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10월 유신의 근원을 일제 강점기에서 찾는다는 점이다. 이런 정치적 함의는 정범식 감독이 만든 <곤지암(2018)>에도 쭈욱 이어진다.




#81 : 불신지옥(Possessed·2009) 이용주

국내 호러로 한정하면 <4인용 식탁>과 <소름>의 후배를 자처하며 오컬트를 주제로 한 추리영화. 건축을 전공한 이용주 감독답게 공간활용이 뛰어나다. 전체적으로  장르적 관습을 답습하지도 배반하지도 않는 대단히 안전 지향적 태도를 보인다. 이를 알 수 있는 대목이 있다. 처음에는 개신교와 무속신앙을 동등한 위치에서 출발하다가 나중에는 개신교에게 알리바이를 제공한다. 둘 다 ‘기복(祈福) 신앙’인 건 마찬가지인데 왜 한쪽에만 면죄부를 주는지 그 점이 아주 미세하게 살짝 아쉽다.


Copyright(C) All Rights Reserved By 輝·     

매거진의 이전글 공포영화 추천 100편, PART I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