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ERU Oct 26. 2020

청춘·성장영화 추천 100편 <1>

BEST COMING-OF-AGE FILMS EVER : -71위

'청춘 영화(靑春映畵)'라는 명명은 지나치게 광범위하다. 청춘이 주는 이미지가 너무 많다. 낭만, 꿈, 가족, 희망, 성장, 좌절, 첫사랑, 교육 등 많은 키워드들이 대개 청춘영화의 소재나 주제로 쓰인다. 이 키워드를 관통하는 공통점을 찾자면, 청춘영화는 추억을 담보하는 영화다. 특정시간대를 잘라 기억해두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청춘영화를 본다. 어디로 갈지 몰라 혼란스럽기만 한 그때 그 시절을 스크린에서 만나보자! 




#100 : 액설런트 어드벤처 2 (Bill & Ted's Bogus Journey 2·1991) 피터 휴잇 

록밴드 ‘와일드 스탈린즈’의 멤버 빌(알렉 윈터)과 테드(키아누 리브스)가 겪는 시간여행은 음악에 대한 무한한 애정이 인류애로 확장하는 대범함을 선보인다.     




#99 : 품행제로 (No Manners·2002) 조근식

장(디스코장), 로라장(롤러 스케이트장)등 1980년대 고등학생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그려냈다. 


 전설의 '캡짱' 중필과 현실의 중필의 차이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막싸움이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는 동안 무용담이 되는 일종의 ‘뻥’을 현란한 과장과 능청스러운 농담처럼 가볍게 소비한다. 지나치게 낭만적이지 않으면서도 쾌활하고 제멋대로인 채로 설교하지 않는다. 그때 그 시절, 추억의 현장으로 안내하는 K-청춘 영화들 <말죽거리 잔혹사>, <써니>에게 영향을 줬다. 




#98 : 그리다이언 갱 (Gridiron Gang·2006) 필 조아누

미국에 120만 명이 넘는 청소년들이 소년원에 수감되어 있다. 출소 후 75%가 죽거나 재수감된다. <그리다이언 갱>은 산타모니카에 소년원 킬패트릭 캠프의 실화를 소개한다. 보호관찰관인 '숀 포터(드웨인 존슨)'은 아이들이 스스로의 힘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배우기 위해 소년원생을 대상으로 미식축구팀을 결성한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을 보는 주위의 시선은 곱지 않고, 같이 시합할 팀을 찾기조차 힘들다. 포터는 이러한 난관을 극복하고, 그들에게 제2의 인생을 찾아주고자 한다. 스포츠는 패배주의에 찌든 비행청소년들에게 기회와 성취를 배우는 장을 제공한다. 

      

"다른 지역의 사람과 함께 지내는 법을 배워야 한다. 스스로 지원해서 배우고 더 나은 학생이 되는 거다. 경기장에선 나의 길을 가는 거다. 너의 길이 아니다. 너희는 길을 잃었다. 지금은 패배자다. 머스탱은 승자다."라는 숀의 가르침은 N포세대과 영끝족의 절망감을 이겨내는데 도움이 된다.




#97 : 린다 린다 린다 (ンダリンダリンダ·2005) 야마시타 노부히로 

“아이를 그만두는 순간, 어른이 되는 건 아니다. (중략)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걸까?”라고 영화의 도입부부터 묻는다. 영화는 학창 시절의 마지막 문화제, 드러머 교코(마에다 아키), 기타리스트 케이(가시이 유우), 베이시스트 노조미(세키네 시오리)는 한국인 유학생 송(배두나)를 급히 보컬로 영입한다. 문제는 그녀가 일본어에 서툴다는 것이다. 어설픈 밴드는 그 장애를 허물어줄 노래가 있고, 젊은 열정이 있고, 소녀들에게만 가능한 특유의 연대감으로 돌파한다.




#96 : 소년시절의 너 (少年的你·2019) 증국상 

<소년 시절의 너>는 20세기 홍콩영화처럼 학원폭력을 과잉된 정서로 전시한다. 과잉된 연출 방식이 노리는 것은 ‘입시제일주의’를 주입하려는 어른들을 정 조준한다. 


교육의 목적이 자기 계발이 아니라 지위 상승으로 변질되었기 때문이다. 중국 어른들은 중국 아이들에게 ‘계층에 대한 욕망’을 주입한다. 그 아이들은 친구를 존중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보다는 자신이 밟고 올라서야 할 ‘경쟁자’로 취급한다. 그 맥락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이 전 세계에서 행복도가 가장 낮은 이유 중 하나를 발견한 것 같다. 


   


#95 : 소녀는 졸업하지 않는다 (少女は卒業しない·2022) 나카가와 슌

폐교가 정해진 고등학교는 곧 철거를 앞두고 있다. 졸업을 앞둔 네 명의 소녀들은 첫 이별을 맞아 작별 인사를 준비한다. 각각의 사연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거나 극적인 장면 연출에 관심 없다. 원작자 아사이 료의 또 다른 소설〈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처럼 관조적으로 지켜볼 뿐이다. 자연스럽게 우리가 다시 졸업식에 참석한 기분을 자아낸다.




#94 : 썸머 필름을 타고! (サマーフィルムにのって·2020) 마츠모토 소우시

‘N포 세대’에게 꿈을 꾸는 것이 사치일지 모른다. 《서머 필름을 타고! 》은 번아웃과 무기력으로 포장한 장기화된 불황과 저성장, 높은 청년 실업률로 벌써 좌절해서 희망도, 의욕도 사라진 N포 세대에게 영화가 줄 수 있는 최대치의 위로를 제공한다.




#93 : 피어 스트리트 3부작 (Fear Street·2021) 리 재니액

피어 스트리트 3부작은 슬래셔와 심령공포, 오컬트를 활용해서 양극화의 저주를 풀어낸다. 부촌 '써니베일'과 빈민가 '셰이디사이드'를 대비시키고 있는데, 이것은 주제와 밀접하다. 영화의 주제는 미국의 역사를 한 마을의 비극으로 치환한 것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수많은 사람들을 희생시켜 번영해왔고, 상속을 통해 제국을 유지하고, 반대편에 있는 이들을 고통으로 내몰았다고 비판한다. 




#92 : 브릭 (Brick·2005) 라이언 존슨

<브릭>은 90년대 틴에이저 영화의 공식에 필름느와르 장르를 대입했다. 그래서 나온 값은 수십 년간 반복되던 필름 느와르의 클리셰를 영리하게 재활용한 것이라는 평가가 부당하다. 고등학교 마약 누아르의 세계관은 정말 기발한 장르의 변형이다.




#91 : 스파이더맨: 홈커밍 (Spider-Man: Homecoming·2017) 존 왓츠

샘 레이미의 3부작, 어메이징 스파이더맨에 이어 2번째 리부트임에도 가벼운 청소년 드라마로 생동감을 준다.     

  

MCU에 합류한 피터 파커는 삼촌의 죽음과 생계문제가 배제되고, 원작 코믹스처럼 유쾌하게 진행된다. 그리고 마이클 키튼은 적은 분량 이상의 압도적인 캐릭터 해석을 통해 극을 휘어잡는다. 




#90 : 그것 (It·2017-9) 안드레스 무스키에티

스티븐 킹은 공포소설이 아니다. 그가 밝힌 대로  '어반 레전드(도시전설)'에서 발췌한 괴기한 소재에서 평범한 소시민이 겪는 내면과 심리를 주로 그리기 때문이다. 단지 살기 위해서 불안(악)과 싸우며 인물은 성장한다. 그래서 공포가 가미된 성장(심리) 소설이라고 보는 편이 타당할 것이다. <그것>은 미지의 괴물에게 희생당하고, 가정폭력, 인종차별, 집단 따돌림당하는 아이들의 상처 받기 쉬운 내면을 어두운 필치로 구현해낸다. 하지만, 아이들은 곁에 있는 친구의 손을 꽉 잡으며 상처를 극복하고 어른이 되어간다.




#89 : 해피 데스데이 (Happy Death Day·2017) 크리스토퍼 B. 랜던 

슬래셔 장르에다 타임루프를 더했다. 하이틴 무비의 상큼함까지 가져오면서 ‘호러테이닝’이라는 대중적인 팝콘 공포영화를 창조해냈다. 굉장히 단순한 구조지만, 다채로운 경우의 수를 가져가면서 재미를 증폭시킨다.




#88 : 17 어게인 (17 Again·2009) 버 스티어스 

<17 어게인>은 기본적으로 <완벽한 그녀에게 딱 한 가지 없는 것 (13 Going On 30·2004)>와 정반대다. 영화는 ‘만약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간다면 어떤 선택을 할래?’라며 인생극장을 펼친다. 그렇다. 인간은 누구나 과거의 선택을 후회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이 그리움의 본질이다. 




#87 : 아메리칸 파이 (AMERICAN PIE·1999) 폴 웨이츠 

대한민국은 우스개소리로 ‘유교탈레반’으로 불릴 만큼 이쪽 방면으로 엄격한 국가이지만, 이 저급하지 않은 섹스 코미디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 수백편의 모방작을 양산해냈다.




#86 : 비트 (Beat·1997) 김성수 

명대사"나에겐 꿈이 없었어"로 대변되는 불안한 청춘들을 다루고 있다. 사다리가 걷어 차인 세계에서 인생의 성공 따윈 없을지 모르겠다. 그저 살기 위해 투쟁하는 우리가 있을 뿐이다. 대한민국 역사에서 꿀 빤 세대가 존재했던 적은 그때도 지금도 앞으로도 없다. 




#85 : 프린세스 다이어리 (The Princess Diaries·2001) 게리 마샬

평범한 여고생이 알고 보니 유럽의 공주였다니! 어릴 적에 누구나 한번쯤 꿈꿔보던 동화를 예쁘게 꾸며 놨다.




#84 :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 (Memento Mori·1999) 김태용, 민규동

한 소녀가 성정체성을 깨닫는 영화라서 <소년은 울지 않는다(1999)>를 고를까하다 이왕이면 성(性)에 보수적인 한국영화를 고르는 게 더 의미 있지 않을까 생각해서 <여고괴담2>를 골랐다.




#83 : 우드 잡 (ウッジョブ 神去なあなあ日常·2014) 야구치 시노부

치유계 성장영화. 일찍이 <워터 보이즈 (2002)>에서 느꼈지만, 야구치 시노부는 일본 슬로무비의 미덕에 통달했다. 대체로 별 사건이 없고, 이야기는 잔잔하고 평화롭게 흘러간다. 조금씩 일상의 작은 행복이 주는 소중함을 일깨우며 주인공은 삶의 의욕을 되찾는 결말을 맞이한다.

     



#82 : 나폴레옹 다이너마이트(Napoleon Dynamite·2004) 자레드 헤스

병신같지만 멋진 이 남자, 의외로 섬세하고 슬기롭다. 쑥맥인 주인공이 인생역전을 노리며 비장의 필살기를 펼친다. 




#81 : 헝거 게임: 캣칭파이어 (The Hunger Games: Catching Fire·2013) 프란시스 로렌스 

판엠의 12구역출신 소녀 캣니스 에버딘(제니퍼 로렌스), 목숨이 걸린 생존게임에 뽑힌 동생 대신 참가하게 된 그녀는 생계를 위해 익혔던 사냥술과 놀라운 활 솜씨로 종국에는 독재국가 판엠을 위협하는 국민적 영웅으로 성장한다.




#80 : 코치 카터 (Coach Carter·2005) 토마스 카터 

실화에 기반한 영화, 실업과 빈곤, 폭력이 난무하는 빈민가 아이들은 미래에 대한 꿈으로부터 차단돼 있다.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들마저 학생들을 거의 포기한 상태다. 카터는 “20대 초반 흑인 남자의 33%가 전과자고 대학보다 감옥에 갈 확률이 80%나 높은 리치몬드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대학으로 가야 한다.”고 아이들에게 대학진학을 강조한다. 운동으로 먹고 살고 없다고 공부가 중요하다고 일깨워주는 보기 드문 학원스포츠물이다. 




#79 : 청바지 돌려입기(The Sisterhood Of The Travelling Pants·2005) 켄 콰피스

진정한 친구의 존재가 곁에 있다면 정말 든든할 것 같다. 체형이 모두 다른 체형이 모두 다른 4명의 친구들 카르멘(아메리카 페레라), 티비(앰버 탬블린), 레나(알렉시스 블레델), 브리짓(블레이크 라이블리)에게 모두 맞는 신기한 청바지와 함께 여름 한철을 지나는 여학생들의 성장담은, 무척이나 보편적이다. 특히 “완벽한 것은 사소한 것들이 모여 이루어지는 것일지도 몰라.”란 대사가 뭉클하게 심장을 저격한다. 




#78 : 북스마트 (Booksmart·2019) 올리비아 와일드

제목은 ‘책으로 세상을 배운 얼치기’를 뜻한다. 졸업 전날, 학창시절에 얼마나 많이 놓쳤는지 깨닫는 내용이다. 연애를 책으로 배울 수 없듯이 청춘도 인터넷으로 배울 수 없다.




#77 : 코다 (Coda·2021) 션 헤이더

아카데미 작품·각색·남우조연상

자식은 언젠가 부모의 곁을 떠나야 한다. 자연의 법칙을 벗어나려고 할 때 ‘가정불화’가 발생하곤 한다. <코다>는 농인 가족 속의 청인이라는 구성원 각자의 딜레마를 사려 깊은 디테일로 마음을 사로잡는다. 비록 딸의 노래를 들을 수 없다 해도 그 맑은 온기가 마음을 정화시킨다. 




#76 : 원더 (Wonder·2017) 스티븐 크보스키

편견을 벗어던지면, 세상은 보다 더 따뜻해질 수 있다.




#75 : 굿바이 마이 프랜드 (The Cure·1995) 피터 호튼

불치병에 걸린 소년과 그를 지켜보는 친구의 감동적인 우정 이야기다. 심플하지만 감동적이다.




#74 : 사랑보다 아름다운 유혹 (Cruel Intentions·1999) 로저 컴블

피에르 쇼데를로 드 라클로가 1782년에 출간된 소설<위험한 관계>를 원작으로 한 4번째 영화이다. 부, 근친상간, 배신, 암투와 음모가 난무하는 원작을 고등학교로 옮겨놓고, 현대적인 '소프 오페라(아침드라마)'로 각색했다. 


영화는 드 라클로가 그린 18세기 프랑스 귀족 사회와 완벽히 부합하지 않지만, 원작의 힘은 여전히 남아있다. 바로 사랑의 힘이 악인에게서 선한 것을 끌어낼 수 있을까에 관한 복잡한 플롯과 심리묘사가 정상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73 : 싱 스트리트 (Sing Street·2016) 존 카니

존 카니는 어릴 적에 즐겨 듣던 듀란듀란의 <Rio>, 더 클래시의 <I Fought The Law>, 모터헤드의 <Stay Clean>, 더 큐어의 <Inbetween Days> 등 80년대 대중음악에 대한 헌사를 보낸다. 그런데 이 음악이 폭력교사에 맞서는 무기이자 이혼 직전의 부모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는 것이다. <싱 스트리트>는 구태와 결별하려는 저항정신, 10대 첫사랑의 열정, 암울했던 80년대 북아일랜드의 시대상까지 전부 다 아우른다. 




#72 : 월플라워 (The Perks Of Being A Wallflower·2012) 스티븐 크보스키

스티븐 크보스키 감독의 동명소설은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를 기록하며 미국 청소년 사이에서 많은 관심과 공감을 불러 모았다. 왜냐하면 소설대로 10대들의 삶은 절대 녹록치 않다. 


솔직히 항상 그 때 그 시절을 그리워하면서도 실제로는 결단코 돌아가고 싶지 않다. <월플라워>의 가장 큰 선물은 그 터널을 무사히 빠져나온 그 순간을 실로 아름답게 필름에 담았다.




#71 : 벌새 (House Of Hummingbird·2018) 김보라

왜 한국인은 자식에게 할 말이 ‘공부’ 밖에 없을까? 이같은 '철학의 빈곤'이 한국사회의 거대한 상흔을 남겼다. 

  

Copyright(C) All Rights Reserved By 輝·

매거진의 이전글 서부영화 추천 TOP 100 (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