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100 ANIMATED FILMS : ~51위
움직이는 사진, 애초에 영화는 마술적 환영을 자아내는 도구였다. 영화의 사실성을 사진이 담당하였다면 움직임은 그 자체로 스크린에 생명을 불어넣는 마법이었다. 라틴어로 ‘살아 움직이게 하다’라는 애니메이션의 어원에서 알 수 있듯 어쩌면 애니메이션이야말로 가장 영화적인 표현수단일지도 모른다. 그럼 100편의 애니메이션 명작을 만나보자!
'20세기 향수'에 쉽게 휘둘리는 어른들의 모습은 다소 기괴하게 다가온다. 그러나 잃어버린 10년을 겪는 일본인에게 미래의 낙관보다 과거의 영광에 심취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작품은 일본인 1964년 동경 올림픽과 더불어 일본이 국제사회로 재합류한 '1970년 오사카 만국 박람회을 배경으로 삼았다. 냄세로 버블경제를 추억하게 만드는 이 작품은 그런 막막한 현실에 공감하면서도 어른들은 결국 현실을 살아야한다는 메시지를 건넨다. 회상 장면으로 과거의 어른들이 자신에게 베풀어준 사랑을 현재의 아이들에게 물려주라는 의미도 함께 전달한다.
최초의 70mm 장편 애니메이션. 샤를 페로의 원작은 12명의 마법사, 100년 동안 잠을 자지 않는 오로라 공주, 왕자가 잠든 오로라 공주를 깨우는 데 100년이 걸린다는 설정이었다. 이것이 디즈니 식으로 각색되면서 세 명의 마법사, 잠깐 잠이 든 설정으로 영화적 시간을 단축했으며 용이 된 마녀와 결투를 벌이는 왕자의 모습을 넣어 극에 긴장감을 더했다.
디즈니 애니메이터들은 사실적인 동작 표현을 위해 ‘로토스코핑(rotoscoping) 기법’을 사용했고, 실제 연기자들의 촬영을 통해 참고로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을 선호했다. 특히 배경 아티스트인 아이빈드 얼은 일러스트레이션과 디자인의 변화를 줬다. 그는 중세 말기의 초기 르네상스 화가들의 섬세한 구성 기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잠자는 숲속의 공주>는 흥행에 실패한다. 이로써 디즈니는 1989년 <인어공주>까지 30년 동안 동화의 영역으로 복귀하는 것을 연기했다. 안젤리나 졸리의 <말레피센트>로 재평가를 받아 디즈니 역사상 가장 훌륭한 작품 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픽사의 수장, 존 라세터가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총괄하게 되면서 픽사는 점점 디즈니화되고 디즈니는 점점 픽사화되는 경향이 있었다. <주토피아>는 여러 가지 면에서 기존 디즈니 관례를 뒤집은 작품이다. 뭣보다 <주토피아>의 가장 빛나는 점은 “다름을 인정하자”는 주제를 이야기 속에 자연히 녹여내는 전개에 있다. 공동감독을 맡은 <라푼젤, 2010>의 바이런 하워드와 <주먹왕 랄프(2012)>의 리치 무어가 전작의 장점을 꺼내 들었다. 강직한 여성 캐릭터가 제 앞길을 찾아가 나는 서사는 바이런 하워드의 특기이고, 주조연과 엑스트라에 이르기까지 캐릭터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점은 <주먹왕 랄프>의 성과를 떠올리게 한다. 그간 성차별과 인종적 편견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던 디즈니가 처음 LGBTQ 캐릭터를 등장시킨 변화가 이채롭다.
놀랍게도 추리물, 정확히는 버디 캅 장르 공식에 따라 움직이며 주인공을 따라만 다녀도 상당한 재미가 보장된다. 인종의 용광로라 불리던 낙원이 실제로 어떤 세계인지 꼼꼼하게 드러난다. 놀랍게도 차별의 주체가 ‘다수의 약자’였다는 점은 혐오의 오늘날을 정확히 통찰한 것 같다.
영화는 비대면 시대를 반영하여 가족 간의 만남이 줄어들고, 멀어진 인간관계를 적나라하게 노출한다. 그러면서도 빅 테크 기업의 개인정보 수집 문제를 매우 선도적으로 반영했다.
덴마크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은 감독과 실제 친구사이인 아민은 남편에게조차 숨겨왔던 개인사를 담담하게 털어놓는다. 영화는 아프간 난민이자 성소수자라는 이중의 커밍아웃을 통해 수많은 주변인들을 위로한다. 인상적인 부분은 폭력 앞에 비굴했던 과거나 타인을 돕지 못했던 비겁함을 반성하는 대목이다. 그 솔직한 회고 덕분에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국제 영화상 부분에서 동시에 후보에 선정된 최초의 사례가 되었다.
오락실을 무대로 한 <토이스토리>는 디즈니 프린세스와 가족주의와 결별한다. 처음부터 사랑받기 쉬운 선역과 미움을 받게 설계된 악역의 대비시킴으로써 소수자와 약자의 시점에서 이야기를 전개시킨다. 악역이라고 멸시받는 덩치와 버그가 있다고 따돌림당하는 꼬맹이가 겪는 실존적 위기가 너무나 솔직해서 공감이 갔다. 그리고 주인공과 대비되는 유능한 캐릭터 '펠릭스'를 비호감으로 그리지 않고도 랄프와의 대비가 잘 이뤄진 점도 칭찬하고 싶다.
일본 만화의 신, 데즈카 오사무가 젊은 시절 80번이나 봤다고 한다. 후대에 《밀림의 왕자 레오》, 《라이온 킹》에 영향을 끼쳤다. 사슴의 우화는 우리 모두에게 사랑과 죽음의 순환에 대한 은유로 작용하며 계절의 순환을 삶의 단계에 비유된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동물·환경 보호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춰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녹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