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nt·2023》노 스포 후기
박시헌(진선규)는 88년 서울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지만, 결승에서 판정논란이 있어 ‘나라 망신’이라는 언론과 여론의 비난 끝에 떠밀리듯 은퇴했다. 고향에 내려와 진해 중앙고등학교 체육교사로 부임한다. 시헌은 재능과 실력이 있음에도 승부 조작으로 기권패를 당한 윤우(성유빈)의 사정을 알게 되면서 복싱부를 재건하기로 결심한다. 윤우를 중심으로 5명의 부원을 모아 전국체전을 목표로 훈련에 나선다.
‘가짜 금메달’이라는 오명을 풀고자 하는 시헌과 협회의 압박에 꿈이 좌절된 윤우의 한풀이가 펼쳐진다. <카운트>는 편법 가득한 세상에 카운트 한방을 날린다.
1998년 경남 진해를 배경으로 한 <카운트>는 학원스포츠영화이자 성장영화다. 고향이 진해인 진선규는 단독 주연이라는 무거운 의무를 성실히 수행한다. 적당한 복고풍 분위기에 클리셰에 충실하다. 일선 역의 오나라와 교장 역의 고창석 만덕 역의 고규필 등의 감초 조연들이 극에 윤활유를 공급한다.
영화의 개성이 부족하고, 복싱에 집중하지 않은 점이 의아하다. 하지만, 영화가 주는 메시지가 설득력이 있었다. 우리는 언론, 포털, SNS의 언플(언론플레이), 가짜뉴스 등에 휘둘려 진실을 혼동하고 판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박시헌 선수가 판정을 유리하게 조정할 의도도 능력도 없는 것을 뻔히 알면서 ‘왜곡 보도’만 믿고 그릇된 판단을 내렸다. 국가를 위해 땀을 흘린 대표선수에게 얼마나 큰 상처가 되었는지 영화는 보여준다.
사회가 복잡해지고 거대해지면서, 직접적인 경험만으로는 도대체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기 힘들기 때문에, 우리는 대중매체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사고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 이러한 대중매체가 중립적이라고 생각하는데 실제로는 전혀 아니라는 점이다. 언론의 시각에 따라 뉴스 순서를 뒤바뀌거나 과장 혹은 축소 보도되기 마련이다. 또 게이트키퍼(정치인들이나 고위 관료, 기업인들)의 존재로 인해 중요한 내용들이 걸러질 것은 두말 할 나위 없다.
현대인은 대중매체를 통해 세상과 소통하기 때문에, 이익집단(나 독재자)는 최우선적으로 그들에게 유리한 여론을 형성하기 위해 언론을 가장 먼저 장악하지 않는가? 언론 권력은 이런 저런 이유로 타락하기도 쉽기 때문에 대중매체(SNS, 인터넷 커뮤니티)를 접할 때는 반드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 (2.5/5.0)
Good :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
Caution : 단순하고 진부한 시합과 비리
●권투 소재인지라 진선규를 비롯한 성유빈, 장동주 등은 영화 크랭크인 전 두 달 반 전부터 일주일에 3회 이상 4~5시간 훈련했다고 한다. 또 진선규와 오나라(배우)는 20년 전 무대에서 같이 공연했었다. 그때 "나중에 우리 꼭 영화에서 만나자"라고 했고 이후 '카운트'를 같이 찍게 되었다.
■박시헌(현 제주 서귀포시청 복싱부 감독)은 서울 올림픽 복싱 라이트미들급 결승전에서 스스로도 예상치 못했던 판정승을 거뒀다. 이후 편파 판정 논란 속에서 선수 생활 은퇴를 선언, 모교인 경남 진해중앙고 체육 교사로 부임해 새 출발을 했다. 그는 교내 복싱팀을 창단해 제자들을 키우는 데 열정을 쏟았고, 2001년엔 국가대표팀 코치를, 2016년엔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복싱 국가대표 감독을 역임하며 복싱 인생을 이어갔다.
■창원시에서 제작비를 지원했다. 정현섭 창원시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올해에도 로케이션 촬영 지원과 연계해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나가겠다"고 전했다.
Copyright(C) All Rights Reserved By 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