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른 Oct 20. 2022

022. 아는 것을 가르치고 모르는 것을 배우는 일로

2021년 파리 시간으로 7월 1일 22시 34분




  관광객 모드는 금세 해제되고 말았다. 뭐, 내 이럴 줄 알았지. 어학원이 끝나면 딱히 할 일도 없고 그대로 집에 들어가기엔 아쉬우니 어디라도 좀 쏘다니며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을 아이폰에 담던 게 처음의 일상이었다면, 요즘의 일상은 훨씬 더 단조로워졌다. 사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어학원에 출석하고 이 시리즈를 연재하는 것 외에 한 가지 더 매일 해야 하는 일이 생겼기 때문이다.


  일을 시작하게 됐다. 정확히 말하면, 일을 늘리게 됐다. 나는 이미 스무 살 무렵부터 얼추 십 년 가까이 계속 학생들을 가르쳐오고 있는데, 프랑스에 오면서는 한 팀하고만 화상으로 수업을 이어가던 중이었다. 그리고 한 업체로부터 수주를 받아서 가끔(대충 한해에 손에 꼽을 정도의 빈도로 가끔) 수요에 따라 스크립트 작성하는 일도 해오던 게 있었다. 이 일을 다른 업체하고도 하는 중이고, 또 매일 온라인으로 한국어 과외를 하게 됐다. 순전히 학생 쪽에서 그런 스케줄을 희망해서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매일 오후마다 한 시간씩 수업을 한다. 아직도 왜 그렇게까지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처음에 실수로 말도 안 되게 낮게 책정해버린 내 시간당 수업료가 아마 이유였겠지라고만 추측하고 있다. 그러니까 나는 매일 오전에 어학원 수업을 들으러 나갔다가, 늦어도 오후 네 시 정도에는 얌전히 집에 들어와서 노트북을 열고 수업 준비를 해야 하는 것이다. 물론 수업은 겨우 한 시간이기 때문에, 수업이 끝난 뒤에 다시 집을 나서도 된다. 아니면 아예 아침에 노트북을 챙겨나간 다음 오후에 어디 카페에 앉아서 수업을 해도 된다. 둘 다 해봤다. 근데 아무래도, 집에 있자니 영 편하고 좋은 거 있지.


  이런 걸 보고 적성이라고 부르는 건진 모르겠지만, 만으로 8년 반 동안 가르치는 일을 할 수 있었던 건 바로 그게 즐겁기 때문이었다. (여기서 잠깐, 나는 사범대에 진학했거나 국문과에서 교직이수를 했거나 임용고시를 봤거나 하다못해 교원자격증 코스 같은 것에 등록조차 해 본 적 없는 완전한 야매 선생이다. 얼마나 야매 선생이면 야매 선생이라는 말 따위를 쓰겠나. 전세계의 정식 선생님들을 진심으로 존경한다. 그러니 정확히 따지면 선생이 적성인 게 아니라 야매 선생 정도가 내 적성에 맞는다고 하겠다.) 정말 솔직히 말하자면, 이십대 초반에는 왜 다른 사람들이 수업 준비라는 걸 하는 건지 이해를 못했었다. 그냥 그 때 그 때 책에 있는 대로, 내 머릿속에 있는 걸 가지고 수업했다. 당시 학생들에게 미안하기도 하지만, 수업준비 없이는 수업을 할 수 없게 된(늙어버린) 지금의 내 수업이 그 때의 수업보다 딱히 더 낫지는 않다. 그냥, 그땐 그만큼 젊었던 거다. 수능을 친 나이로부터 멀어질수록 뇌는 빠르게 늙어간다.


  내가 스무 살이 아니라 스물한 살 때부터 과외를 시작한 데는 이유가 있다. 스무 살 때는 내가 학생들을 가르치는 게 정말 양심 없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남의 인생을 망칠 권리가 나한테 없다고 생각했다. 내가 누굴 가르쳐 가르치긴. 그래서 그냥 아르바이트를 했다. 레스토랑, 카페, 빵집, 호텔 등. 한 달 먹고살 만한 돈을 벌려면 일주일 내내 일해야 한다는 단점은 둘째 치고, 한두 달을 못 버티고 자꾸만 잘렸다. 그냥 내가 봐도 나는 잘릴 만했다. 집이 멀다는 핑계로 툭하면 지각에다, 별로 성실한 일꾼이 되지도 못했으니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교 1학년 때를 돌이켜 보면 아무래도 아르바이트를 한 시간이 대부분이었다. 축제에 싸이가 와도 아르바이트를 하러 갔을 정도였으니 말 다했지. 그렇게 버스비가 떨어지면 학교 한번 빠지고, 밥값이 떨어지면 한 끼 굶고, 뭐 그런 식으로 지내다가 결국 과외를 시작했다. 내가 망치게 될 인생의 주인에게는 너무 미안하지만 아무래도 내가 일단 먹고 살아야겠다, 그땐 그냥 그런 마음이었다.


  국문과에 진학한 고등학교 선배가 한 명 있었다. 이 선배가 ROTC라 여름방학 동안 훈련을 위해 자리를 비워야 해서, 내가 잠시 선배가 가르치던 고3 학생 하나를 대신 맡게 됐다. 두 달이 지나고, 어머님은 나에게 말씀하셨다. 김 쌤한텐 미안하지만, 그냥 선생님이 수능 때까지 계속 수업해주시면 안 되겠냐고. 오. 나는 결국 그렇게 그 친구가 대학 가는 모습까지 지켜보게 됐다.


  나는 내가 단순한 관종이자 투머치토커라고만 생각했었는데, 그걸 구성하는 요소 중 하나는 내가 스스로 알고 있는 지식을 누군가에게 설명하는 일을 좋아한다는 거였다. 또 누군가와 있을 때 분위기가 처지거나 어색해지는 걸 못 참는 습성 때문에 학생에게 쉬지 않고 농담을 하거나 장난을 치는 것도 한 몫을 한 모양이었다. 무뚝뚝한 K-아들내미로서 그동안 숱한 과외 선생들을 붙여줬어도 한 번도 수업을 딱히 좋아한 적 없었던 그 학생이, 처음으로 국어 수업이 재밌다, 이 선생님하고 계속 수업하고 싶다, 하는 요지의 발언을 해 어머님을 심히 감동시켜버린 것이었기 때문이다.


  누구에게나 학창시절은 특별하고 의미 있겠지만, 나는 때론 지금의 삶도 어느 정도 중고등학교의 연장선이라고 느끼곤 할 정도로 인생에서 학창시절을 크게 받아들인다. 길에서 교복 입은 학생들을 보면 갑자기 혼자 눈물을 훔치곤 하는 정도. 이 말에는 여러 의미가 있겠지만, 그건 특히 내가 좋은 선생님들을 참 많이 만나서이기도 하다. 학교나 학원 선생님, 하다못해 인강 선생님으로부터도 나는 너무 많은 걸 배웠다. 외워야 할 지식이 아니라 세상과 삶을 배웠다. 그래서 나는 절대 선생님이 될 수 없다고, 이미 고등학교 졸업 전에 생각을 정리했었다. 내가 되기에 선생님은 너무 중요한 존재라고, 선생님은 정말 진짜로 훌륭한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거라고.


  당연한 이야기지만, 그런 마음조차 어느 정도 교만한 생각이었다. 양아치 야매 선생인 나를 제법 괜찮은 스승으로 만들어주는, 영특하다 못해 아름다운 수많은 학생들을 만날 때마다 깨닫는 부분이다. 아이들과 겪은 일들이라면, 이 지면에 결코 다 적을 수 없을 만큼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문득, 이 친구들이 어느 한편으로 내가 이십대를 잘 버틸 수 있게 꾸준히 도와주고 있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수업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너무 떨리고 긴장돼서 오후에 있을 한 시간짜리 시범수업을 앞두고 이른 아침부터 학원에도 못 가고 하루 종일 벌벌 떨기만 했다. 스트레스, 그 자체였다. 예약된 첫 수업을 캔슬하면 페널티가 가해진다는 사이트의 규정 때문에 수업을 취소하거나 미룰 수도 없었다. 그렇게 꼼짝없이 화면을 마주한 순간, 천사 같은 리아가 내 마음을 통째로 녹여버렸다. 리아는 캘리포니아에 살고 있는 열세 살짜리 미국 소녀다. 정답을 맞출 때마다 ‘예이~’하는 특유의 탄성을 내지르는데, 그럴 때마다 너무 귀여워서 노트북 화면을 뚫고 들어가 볼을 깨물어주고 싶다. 내 모국어를 가르치는 일은 대학 입시를 시키는 것보다 어떤 면에서 더 뿌듯하고 즐겁다. 내 서툰 영어로 베개, 옷, 쬐다 같은 사소한 단어들의 뜻을 일러줄 때마다 그 새로움에 놀라는 아이들과 보내는 한 시간씩은 요즘 내 하루하루에 활력을 더해준다. 가르친다는 것, 누군가의 성장을 꾸준히 지켜보고, 그저 선생이라는 이유만으로 존중받을 수 있다는 것은 세상의 다양한 직업들 가운데서도 가장 특별한 특권 중 하나가 아닐까 싶다. 이렇게, 요즘 내 하루는 아는 것을 가르치고 모르는 것을 배우는 일로 채워져 있다.









이전 16화 021. 언니, 저 소리 들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