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원양 Feb 03. 2019

가을에 떠올릴만한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시각화 뉴스레터 #3 가을 하면, 시각화



...


얼마 전, 저는 '데이터 아티스트'에 대한 한 기사를 읽었습니다. 데이터 과학자의 기술적 전문지식과 예술가·그래픽 디자이너의 창의력을 결합하는 새로운 역할로서 '데이터 아티스트'의 중요성을 언급합니다.

특히, 미국의 데이터 분석·시각화 기업 줌 데이터(Zoom data)의 CEO 겸 설립자 저스틴 랑세스(Justin langseth)의 인터뷰 내용이 인상적이었습니다.

"AI, 빅데이터, 머신 러닝(ML), 데이터 지향적인 의사결정이 보편화된 상황에서 우리는 더 많은 기업이 인포그래픽을 사용해 자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토리를 만들려 노력하고 있지만, 스토리 전체를 담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문제는 인포그래픽이 정적이라는 점이다. 정보는 지속적으로 흘러들어오며 새로운 데이터로 인해 새로운 결과가 생길 수 있다."

그의 말에서 데이터에서 중요한 인사이트를 찾고 이를 스토리로 만드는 역량, 즉 '데이터 리터러시' 역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많은 양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한다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그 안에서 얼마나 가치 있는 인사이트를 찾을 줄 아느냐의 문제라는 이야기와도 맥락을 같이 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역량을 기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다는 말이 있듯이, 백 번 '중요하다'라는 내용의 글을 보는 것보다 직접 데이터를 보고 그 안에서 인사이트를 찾아보는 경험이 중요합니다. 그 방법으로 시각화를 추천합니다. 다른 사람들이 데이터 안에서 찾은 인사이트를 읽어보는 것도 도움이 되겠지요. 매달 제가 전해드리는 데이터 시각화 정보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봅니다.

이번 뉴스레터는 유독 짧게 느껴지는 '가을'을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보려 합니다. 여러분은 가을 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단풍으로 물든 풍경에서부터 독성의 계절까지. 데이터 안에서 어떤 인사이트를 찾을 수 있는지 시각화 콘텐츠를 통해 경험하며, 얼마 남지 않은 듯한 가을을 보내볼까요?

2018년 10월 1일
짧아진 가을을 아쉬워하고 있는 강원양 드림.





가을이 오면 달라지는 것


우리는 달라지는 날씨를 통해 가을이 오고, 또 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가을의 기후와 그 변화를 이야기한 데이터 시각화 콘텐츠 사례를 알아봅니다.


01. Picular

> 'Google, but for color'란 부제를 달고 있는 Picular는 키워드 검색 결과로 색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특정 키워드를 검색하면, 해당 키워드의 구글 이미지 검색 결과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대표적인 색을 결과로 보여줍니다. 구글이 알려주는 '가을'은 어떤 색이고, 여러분이 검색해보고 싶은 '키워드'는 무엇인가요?


02. See Inside Typhoon Mangkhut in 3-D

> 진짜 무서운 태풍은 여름이 아니라 가을에 온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올해의 경우 필리핀을 강타한 제22호 태풍 망쿳이 있는데요. 태풍 망쿳을 3D로 시각화 한 뉴욕타임스의 'See Inside Typhoon Mangkhut in 3-D' 기사를 통해 그 이야기를 자세히 알아보세요.



독서의 계절, 책과 시각화


흔히 가을은 독서의 계절이라고 합니다. 데이터 시각화를 주제로 한 책도 알아보고, 반대로 책의 내용을 시각화 한 사례도 소개합니다.


01. Book Review, 'The Truthful Art'

> 데이터 시각화 분야에서 유명한 알베르토 카이로(Alberto cairo)의 책 『the truthful art』을 소개하면서, 책을 읽고 정리해 본 리뷰를 공유합니다. 오해의 소지가 없이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데이터 시각화에서 고려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02. Gazing Poetic Sound

> 책의 내용을 데이터로 본다면, 이를 시각화할 수 있지 않을까? 'Gazing Poetic Sound'은 이준관 시인의 시, '부흥이 우는 밤'을 시각화하였습니다. 한글 체계에 따른 음성 정보를 시각적 심볼로 변환하고, 규칙에 따라 배치하는 등 시각화 제작 과정은 브런치 글을 통해서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뉴스젤리 뉴스레터 <데이터 시각화의 모든 것>은 데이터 시각화를 주제로 한 다양한 정보를 큐레이션 한 콘텐츠입니다. 이 글은 뉴스레터 <데이터 시각화의 모든 것> 2018년 9월호를 원문으로 하며, 브런치에서는 일부만 공개합니다. 


뉴스젤리 뉴스레터를 구독해보세요.

매달 한 번, 유용한 데이터 시각화 정보를 모아 여러분의 메일함으로 보내드립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도 데이터 시각화를 해야 하는 5가지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