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9.10.
실제로 소유하고 있지 않아도 소유하고 있다는 '감각'이 있으면 가치가 생겨.
광장에 있는 돌 화폐는 그나마 자기 거라고 말하면서 만질 수도 있고 보여줄 수도 있지만, 바닷속에 가라앉은 돌 화폐는 만질 수도 없고 볼 수도 없어. 누구도 '소유'하고 있지 않아. 그저 '소유하고 있다는 감각'만 있을 뿐. 그런데도 그 '소유감'을 서로 주고받으면서 가치가 이동해.
-
돈이란 것은 일종의 '공동 환상'이야. 눈에 보이지 않지만(환상), 모두가 믿음으로써(공동) 가치가 생겨나지.
아무리 상품을 부분적으로 업그레이드한다고 해봤자, 이미 세상에 출시된 상품의 가치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없잖아? 그래서 내가 택한 방법은 상품의 가치, 즉 기능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품을 구매할 수요를 늘리는 거였어.
-
'인지도-보급도'의 값을 높여 모두가 알고 있지만 거의 아무도 갖고 있지 않은 상태로 만드는 게 중요해.
살 사람들을 위해 제품의 가치를 높일 시간에 살 수 없는 사람을 늘리기 위한 방법이 무엇이 있을지 고민해야 해.
기능의 가격은 안정되어 있지만, 의미의 가격은 변동이 심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해. 신용을 잃을 떄는 한순간이야.
따라서 하이브랜드는 '브랜드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날마다 엄청나게 큰 비용을 지불하고 있어.
NFT도 그래.
-
NFT가 팔고 있는 건 여전히 의미야.
-
그만큼 가치도 변하기 쉬워.
-
가치가 변하기 쉬운 상품(작품)은 '팔고 나면 끝'이 아니야.
판매한 상품의 가치가 폭락하면 네 상품을 사준 네 팬은 그저 바가지를 쓴 피해자가 되는 거야.
-
따라서 우리는 판매한 상품의 가치를 꾸준히 지켜나가는 활동이 필요해.
-
NFT를 판매하는 사람은 자신이 발행한 NFT의 가치를 계속해서 지켜야 할 책임이 있어. 과연 NFT의 가치는 어떻게 지킬 수 있을까? 바로 여기서 커뮤니티 이야기가 나오는 거야.
-
분위기는 혼자 만들어낼 수 없어.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규모가 필요해.
-
1만 엔 지폐는 '1만 엔 지폐에는 1만 엔의 가치가 있다고 믿는 커뮤니티' 안에서만 가치가 있어.
-
분위기를 만들려면 시작이 될 커뮤니티가 필요해.
웹 3.0: 크리에이티브 스킬이 낮은 사람도 AI로 높은 수준의 작품을 만들고 발신할 수 있게 된 시대. 모든 '장인 기술'의 가치가 없어짐.
-
웹 4.0 이후: 서버를 통하지 않고 고객끼리 직접 연결되어 NFT 등 모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대. 서버의 지배에서 완전히 해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