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애니 Jul 17. 2023

오산이었다

글을 쓰는 어떤 한 사람이 되고 싶었다.


드디어 오마이뉴스에 그룹기사를 마무리지었다. 계속 쓰는 사람으로 살고 싶다는 희망사항과 다르게 점점 쓰고 끼적이고 텍스트화하는데 두려움이 커졌다. 피드백을 받아 퇴고하는 과정에서 한발자국을 앞서는   되지 않았다. 무언가 쓰고 싶다는 욕망이 거의 들지 않았다. 5문장쓰기도 겨우 써내려가고, 쓰고 싶지 않은 날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과거의 경험이 무언가 쓰려고   발목과 손목, 뇌주름까지도  잡아채는 듯했다. 좋지 않은 기억은 내가 자꾸 나아가려는 순간, '네가  '라고  자리에 주저 앉혔다. 마치 쓰는 사람은 세상에 따로 존재하는데 내가 넘지 못할 벽을 넘보는 사람처럼 만들어버렸다.


청소년기 때부터 글을 쓰는 어떤 한 사람이 되고 싶었다. 평생 나는 글과 관련된 일을 하며 살 줄 알았다. 오산이었다. 왜 나와 같은 전공을 하고 다들 자기들의 인생으로 다 사라져버렸는지, 나는 절대로 그렇게 되고 싶지 않았다. 너무 간절하면 집착이 돼서 에너지가 돌아오지 않는다던데 딱 내가 그 꼴처럼 보였다.


최근에서야 다시 글이란  아니 그저 쓰고 싶다는 마음이 올라왔지만 용기가 나지 않았다. 약간  써내려가야 좋을지 길을 잃어버렸다. 돈은 다른 걸로 벌고  경험을 글로 쓰면서 살면 되지 싶었는데그렇게 시도하고 삶이  뒤죽박죽이 되었다.


말하거나 이야기하는 날보다 말하지 않는 날들이  많았다. 쓰고 싶지도 말하고 싶지도 않았다. 단순히 쓰지 않았을 뿐인데 말하는 언어도 점점 잃어갔다.


그냥 쓰면 되는데 잘 되지 않았다. 그저 쓰고 싶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물류센터 관련 일을  때도 억지로 기록을 남겼다. 무슨 일을 해도 쓰는 감각만큼은 잃어버리고 싶지 않았다. 그러다 내가  글이 회사 마케팅팀 팀원이 보고 글을  내려달라고 했을  기가 막혔다. 맛집에 가서 음식이 맛없다고 평을  것도 아니었다.


내가 하는 일을 기억하고 일지로 남겨두고 싶었다. 하지만  팀원은 대표에게 말하기 전에 나한테 이야기한다며 굉장히 조심스럽게 이야기했다,  이후로 그곳과 정이 조금씩 떨어졌는지도 모르겠다.


그룹기사 마무리를 위해 <은유의 글쓰기 상담소>를 읽었다. 글쓰기 슬럼프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재능이 없으면 글쓰기를 그만두어야 하느냐는 페이지에 한참을 머물렀다. 그걸 읽고서야 나는 그룹기사를 마무리할 수 있었다.


글을 쓴다는 것은 생각한다는 이고 생각한다는 것은  보던 것을 낯설게 본다 뜻입니다. 그래서 글이 늘지 않는다는  '새롭게 보이는  없다'' 하던 소리를 한다' 혹은 '하나 마나  말을 한다'라고 바꿔 말할  있겠습니다. 글쓰기 슬럼프를 극복한 저의 방법은 이렇습니다.


1. 늘 하던 익숙한 글쓰기를 그만둔다.

2. 쉬면서 쓸데없는 일을 하거나 나를 가만히 둔다.

3. 익숙하지 않은 분야의 글쓰기를 시도해본다.

> 글쓰기 슬럼프를 어떻게 극복하나요?


- 왜 글을 쓰려고 하는가?

- 내가 세상에 하고 싶은 말이 무엇인가?

- 무엇을 위한 재능인가?

하고 싶은 말이 있는 사람은 어떻게든 씁니다. 쓰다보면 잘 표현하고 싶고 단어 하나도 고심하며 붙들고 다시 읽어보며 고치고.

> 재능이 없으면 글쓰기를 그만두어야 할까요?



매거진의 이전글 놀면서 광목티코스터 만든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