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Vegerun Feb 28. 2022

수다는 읽히는 글이 될 수 있을까

내 글엔 내가 너무도 많아

에세이에는 글쓴이가 고스란히 드러난다는 글을 읽었어요. 브런치에 이런저런 글을 무작위로 올리면서도 깊게 생각해 보지 않았는데 덜컥 겁이 나더라고요. 아. 에세이는 내 민낯을 누군가에게 그냥 보여주는 거구나 싶어서요. 이거 계속해야 하나 싶은 생각이 들더군요. 신비주의는 아니고요 중구난방인 모습이 어설퍼서요. 개인적으로 에세이는 화자와의 거리가 가깝게 느껴지는 게 좋았는데, 내 글의 경우는 별개로 생각했나 봐요. 그럼에도 글쓰기가 재밌고 흥미로워서 어떻게든 더 나은 글을 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매거진의 타이틀로 사용한 '수다가 떨고 싶어서'에 쓰는 문체도 대화체로 바꾼 걸 보면 저는 소통에 목말랐던 거 같아요. 수다는 혼자 떨 수 없으니까요.


말재주가 좋은 편은 아니에요. 그나마 글쓰기는 순발력 있게 생각을 전달해야 하는 것도 아니고, 말실수나 헛소리를 할 확률도 줄어드는 것 같아 상대적으로 편한 게 아닌가 싶었죠. 브런치에 글을 쓰기 전까지는요. 그런데 막상 내 안에 떠다니는 것들을 언어로 옮기면 읽을 수 있는 글이 된다고 생각했던 게 얼마나 단순한 생각이었는지 새삼 깨닫고 있어요. 


말은 하는 즉시 핵심과 느낌을 제외하곤 대부분 잊히죠. 녹음하지 않는 이상 그 순간에만 존재하니까요. 그런데 글은 아니더군요. 쓴 대로 그대로 남아 불특정 다수에게 읽히고 또 읽히는 거예요. (읽히고 또 읽히는 거도 상상해 보니 즐거운 일이네요.) 그러다 보니 정리되지 않은 날 것의 수다를 그대로 옮겨 적은 글 안에는요. 말로 표현되었으면 웬만하면 사라질 혹은 사라져야 할 것들까지 다 그대로 남더군요. 그러다 보니 문자로 남은 거친 생각들에서 이리 튀고 저리 튀는 자아가 보입니다. 들쑥날쑥 종잡을 수 없어요. 새삼 나란 사람이 누군가 또 내 삶은 뭔가 생각해보게 되더군요. 삶에 대한 태도나 타인의 삶에 대해서도 이제까지와는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되고요. 그리고 진짜로 무슨 얘기를 나누고 싶은지 또 굳이 왜 써서 보여주려고 하는지도요. 남사스러운 개인사는 그저 쓰기만 하면 되는 거면 일기만큼 좋은 게 없잖아요. 


뜬금없지만 역시 이래서 글쓰기가 좋은 거구나 싶네요. 생각을 깊이 해보고 정리할 기회를 무한으로 주니까요. 쓰기 시작하니 남의 글을 읽을 때의 느낌도 전혀 다르고요, 생각하는 것도 조심스러워져요. 진작 시작했으면 좀 철든 인간으로 나은 인생을 꾸려나갔을 거 같기도 하고요. 쓰면 쓸수록 인풋이 적은 인생이란 자괴감도 옵니다. 뭐가 들어와야 나가지 ㅎㅎ 오늘로서 한 달. 평생 처음으로 제 생각과 경험을 글로 써서 외부에 내어놓았네요. 스쳐 지나가더라도 누군가 내 글을 읽었고 생각을 공유했고 소통을 했다는 게 감사하고 신기한 경험이에요. 계속 마음속 얘기를 글로 옮기며 정말 하고 싶은 얘기가 뭔지 찾아나가야겠어요. 제 얘기가 진정한 공감을 얻고 또 나아가 누군가에게 위로를 준다면... 제가 받았던 것처럼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