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성 Aug 31. 2020

'동학개미운동'의 의미

 나는 최근 1년 동안은 증권 시장에 거의 밤새 코를 박고 살아왔다. '2020년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을 하나 꼽자면, 올 3월에 수직으로 하강하는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을 때, 나의 HTS에 서킷브레이커(지수가 급등/급락했을 때 거래를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충격을 완화하는 제도)가 걸렸다는 팝업 창이 처음으로 뜬 순간이었다. 그 당시 코스피는 1700선을 하향 돌파하고 있던 시점이었다. 지수가 무슨 코스닥 개별 종목 마냥 5%는 우습게 왔다 갔다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무서웠는데, 그저 말로만 듣던 (매도)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가 내 눈 앞에서 벌어지고 시장이 멈추니, 그야말로 거래소가 망할 것만 같이 느껴졌다.


10년에 한 번 벌어질까 말까 한 증시 폭락 사태가 벌어지니, 그 당시 뉴스에서는 코스피에 대한 얘기뿐이었다. 그러니 증권에 코빼기도 관심이 없던 사람들도 닦달 같이 달려들어 증권 계좌를 만드니, 이것이 올해 '동학개미운동'의 시작이 되었다. 외인과 기관이 쌍끌이로 매도를 퍼 부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믿을 수 없는 매수세로 지수가 위를 향했다(물론 코로나19 관련 악재의 위협성이 커 선반영이 급하게 이루어진 탓도 있다). 결국 코스피가 바닥(당시 1400선)을 찍은 이후, 대부분의 사람들이 W자로 2000선을 회복할 것이라는 우려에 무색하게도, V자로 빠르게 2400선까지 올라왔다.


나는 이 '동학개미운동'을 '우리나라 사람들이 스스로 밥그릇을 찾기 시작했다'는 의미로 해석한다. 기준금리 0.5%p 시대가 도래했고(코로나 특수를 감안해야 하지만), 부동산 가격은 그야말로 천장을 뚫었으며, 그에 비해 수저 없는 평범한 사람들의 월급이 그것들을 따라가지 못 하고 있다. 증권사들의 신규 계좌 개설 폭등, 하루 거래대금 수십조 원 돌파 등이 의미하는 것은 사람들이 '밥그릇 리스크'의 심각성을 점차 깨닫고 있다는 것이다. 



출처 : 뉴시스(NEWSIS)



그렇기 때문에 나는 이 동학개미운동이 굉장히 반갑다. 총선/대선에 투표하는 것만이 국가에 대한 권리 행사가 아니다. 우리 모두는 대한민국의 경제 흐름을 인식하여 정부에 대한 암묵적인 견제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동학개미운동'이라는 이름을 가진 2-30대 주식 열풍은 그에 대한 큰 보폭의 한걸음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좁게는 개별 종목 주식이 수도 없이 사고 팔리는 것을, 넓게는 지수들이 움직이는 것을 지켜보며 그 원리만 보게 되어도 자본의 흐름을 핥아보고 관심을 가지게 되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번 '동학개미운동'만 해도, 처음에는 삼성전자 열풍으로 시작하다가 나중에는 ETF(특히 인버스2X 상품) 열풍까지 불었던 것처럼 말이다.


나는 개인적으로 돈 자체를 굉장히 좋아하기 때문에 증권 시장에 푹 빠졌는데, 조금 더 어릴 때부터 관심을 가졌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이 클 정도로, 증권 시장의 기본적인 기능보다는 그 '유익성' 자체에 큰 관심이 있다. 더 많은 평범한 사람들이 주식 시장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돈도 한 번씩 벌어보고 또 잃어보았으면 좋겠다. 모든 시장 주체가 빠르게 변화하고 깊어지는 흐름에 발을 맞출 수 있게 되어, 차후에는 지금보다 더욱 균형된 시장이 만들어지기를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N포 세대는 눈이 높고 노력이 부족한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