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사이 Sep 01. 2022

적당히 가난할 수는 없을까

짠테크, 무지출이 유행이래요

한동안은 명품 없는 MZ가 없다며 자사몰 마냥 샤넬백 가격을 읊어대던 신문들이 이제는 올라버린 물가에 2030 사이에서 무지출 챌린지가 유행이라고 호들갑이다. 몇 개월 사이에 들리고 보이는 이야기가 180도 달라졌다.


매운맛, 빨간 맛, 자극적인 맛. 금리가 오르고, 소비/투자 심리가 위축되면, 경기가 위축되는 건 잘 알겠다. 그런데, 솔직히 지금 처음 안 것도 아닐 텐데. 대충 이렇게 될 거 다 예상하고 있었으면서 발등에 불 떨어지니까 가뜩이나 불안한 사람들을 더 불안하게 만든다.


적당히 가난할 수는 없을까. 신용카드를 자르고(물론 나도 잘라봄), 도시락을 싸거나 굶고, 커피는 끊고, 돈 쓰지 말고 시간을 보내라고 한다. 아니, 여기서 얼마나 더 아끼고 살라는 건지 모르겠다. 누가 보면 맨날 쇼핑에, 외식에, 펑펑 쓰고 살았는 줄 알겠다.


내가 쓰면 얼마나 쓴다고. 이미 나처럼 평범한 사람들은 강제로 머릿속에 계산기를 들고 산다. 애초에 쓸 돈이 여유있다고 느끼지를 못 해왔다. 적은 월급이라도 모아보겠다고, 점심은 도시락을 싸들고 다닌 지 오래다. 허기짐은 탕비실에 공짜 간식으로 달래고. 택시? 그것도 회사에서 야근한다고 수당은 없이 택시비를 주니까 탄 거지. 내 돈으로 택시가 웬 말인가. 버스비도 아까워서 걸어 다니던 마당에. 명품? 로드샵에서 기초 화장품 살 때도 세일 기간 맞춰서 간다.


이렇게 미니멀하다가 없어지겠어요. 집에 더 버릴 것도, 내다 팔 것도 없는데 이미 당근 전에 중고나라 시절에 싹 다 팔았는데. 알라딘을 몇 번을 오가서 쓰지도 못하고 그 몇 만 원도 통장에 고이 모셔두었는데. 자꾸만 줄이라고 한다. 도대체 뭐를 얼마나 더 줄이란 말인가. 나를 가져다 버리라는 건가.


아끼지 말자는 게 아니다. 우리는 이미 각자의 주머니 사정에 맞게 나름 알뜰살뜰하게 살고 있다. 사치라니. 진짜. 돈 이거보다 더 아끼다 사람 잡는다. 만약 내가 월급 200만 원이던 시절에, 스트레스 풀겠다고 한 달에 꼬박꼬박 동네 요가원에 10만 원씩 쓰지 않았다면. 그만큼의 숨통조차 없었다면 나는 그 뒤로 몰려온 현실 세계의 고난들을 절대 이겨낼 수 없었을 것이다.


위기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잔고만큼이나 내 몸과 멘탈을 오래오래 지켜줄 수 있는 데 돈과 시간을 쓰는 게 중요한 것 같다.


돈 안 쓰고도 할 수 있지 않냐고? 솔직히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소비 '단식'을 하면서, 지출을 '무'로 틀어 막으면서 시간을 어떻게 쓰나. 그건 진짜 혼자 놀기에 특화되어 태어났거나 이미 돈 써서 즐길 거 어지간히 경험해본 사람들만 할 수 있다. 아니, 뭘 '잘'할 줄 아는 게 있어야 혼자 가만히 돈 안 쓰고 하지. 대부분의 사람은 그렇게 강하지 않다. 의지의 문제라고? 진짜 의지도 뭐가 될 것 같아야 생기지.   


그럼 일단 사람을 만나지 말라고? 아니 그럼 진짜 빈 시간에 뭘 하죠. 나도 아무나 만나서 웃고 떠드는 거 안 좋아한다. 대학교 때 술값을 그렇게 쓰고 다녔지만, 첫 번째 회사를 나오고, 친구들이 결혼을 하고, 코로나를 겪고, 생각보다 인간관계가 실제로 내 인생에 덜 중요해지자 자연스럽게 그쪽에 쓰는 돈이 줄었다. 그럼에도 이 무료한 삶 와중에도 여전히 하루 중 가장 행복한 시간은 얼마 남지 않은 다정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는 순간이다.


돈 쓸 구멍 하나 두개 쯤은 뚫어 놔도 괜찮지 않을까. 물론 모든 사람을 만나는 게 즐거운 건 아니다, 오래 감당하지도 못할 개인 PT를 끊은 돈이 아깝지 않은 건 아니다. 투자한다고 까먹은 돈 때문에 아직도 속이 쓰리다. 그 때 그 돈 왜 썼지 후회하는 거 없을 리가. 그래도 여기저가 어쩌면 필수생활비가 아닌 돈과 시간을 쓰다가 어쩌다 알게 된 사람들 덕분에, 우연히 만난 요가 덕분에, 뭣도 모르고 산 집 덕분에 하루를 살아갈, 삶을 버텨낼 위로와 힘을 얻는다.


꼭 운동이나 사람, 투자가 아니라도 돈 버는 이유 하나쯤은 있어야 하지 않을까. 지금도 사는 게 팍팍한데 얼마나 더 쥐어짜라는 건지. 마른걸레도 짜면 뭐라도 나온다던 옛 상사의 아찔한 멘트가 생각난다. 찢어진다. 찢어져. 그리고 걸레든 사람이든 한번 찢어지면 회복해도 무조건 흔적이 남는다. 평생 스스로를 괴롭히고, 자괴하게 되는 상처. 내 탓 할 바에 그냥 좀 더 쓰고 살면 인생 진짜 현저하게 망하는 건가.


나 왜 이렇게 흥분했지? 누구한테 화가 나는 건지 잘 모르겠다. 경기 사이클을 거칠 때마다 양극화가 심해지는 사회 구조인지, 그 양극화를 더 부추기는 미디어인지, 그렇게 속아서 나에게 상처인 걸 알면서도 살려고 아등바등했던 나인지. 아니면 나를 닮은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속상해서 그런지.


아무튼 적당히 아끼고, 적당히 가난하게 살자. 밥그릇 지키려다가 목숨이 사라질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