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프레이밍 효과 : 자동 BTV vs 수동 BTV

by BTV 이퀄박사 Mar 07. 2025

프리다이빙 커뮤니티에서 흔히 '자동 BTV 이퀄라이징'과 '수동 BTV 이퀄라이징'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많은 사람이 자동 BTV 이퀄라이징이 수동 방식보다 우수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는 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로 인한 잘못된 인식입니다. 프레이밍 효과란, 동일한 정보라도 표현 방식이나 용어가 주는 인상에 따라 사람들이 무의식적으로 편견을 갖거나 판단을 왜곡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자동 BTV 이퀄라이징은 수심이 깊어질 때 별다른 노력 없이 자연스럽게 이퀄라이징이 이루어지는 상태로 알려져 있고, 수동 BTV 이퀄라이징은 다이버가 의식적으로 이퀄라이징을 수행해야 하는 상태로 여겨집니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바로 '자동'과 '수동'이라는 용어 자체입니다. '자동'이라는 표현은 편리하고 효율적인 느낌을 주지만, 실제 자동 BTV 이퀄라이징은 다이버가 이퀄라이징 과정을 명확히 인지하지 못한 채 이루어지는 현상일 뿐입니다. 대부분의 다이버들은 BTV 이론을 제대로 모르는 상태에서, BTV 이퀄라이징 근육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이를 '자동 BTV'가 된다고 잘못 인식하고 있습니다. 자동으로 BTV 된다는 것이 더 뛰어난 것이라고 생각될 수 있지만 사실은 BTV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됩니다. 


반면, '수동 BTV 이퀄라이징'은 다이버가 필요할 때 언제든지 BTV 이퀄라이징 근육을 정밀하고 의식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는 근육 사용에 대한 깊은 이해와 높은 숙련도를 요구하며, 결과적으로 더욱 정교하고 효과적인 이퀄라이징을 가능하게 합니다. 어드밴스드 BTV라고 해서 수심 다이빙을 할 때는 이관을 지속적으로 열고 다이빙을 하는데, 이를 하기 위해서는 수동적으로 계속 제어를 해야 합니다. 수동 BTV 이퀄라이징은 자동으로 불리는 방식보다 진보된 형태이며, 다이빙 능력과 통제력 향상에 더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프리다이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든 동작을 철저히 자신의 컨트롤 아래에 두는 것입니다. '자동 BTV 이퀄라이징'과 '수동 BTV 이퀄라이징'이라는 구분은 잘못된 인식과 편견에서 비롯된 것이며, 자신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자동' 상태를 이상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선천적'이 우수하고 '후천적'이 열등하다는 인식 역시 프레이밍 효과에 의한 잘못된 관점입니다.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기술을 얼마나 정확히 이해하고 정교하게 통제할 수 있는지입니다.



BTV 습득:선천적, 후천적에 관한 이야기

https://brunch.co.kr/@drbtveq/28

매거진의 이전글 Keystone Freanzel : 키스톤 프렌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