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곽영미 Aug 05. 2021

협죽도

[다섯 줄 사진 에세이] 요즘 보기 힘들어진 협죽도

예전 제주도에는 협죽도가 많았다.

1980년 제주공항 주변 도로는 온통 협죽도가 심어졌다. 용연 공원을 걷다 보니 기암 근처에 협죽도가 보여 어린 시절 추억이 떠올랐다.

처음 협죽도 꽃을 보았을 때, 늘 주변에서 봐오던 유채꽃, 찔레꽃과는 형태와 색이 달라서 참 예쁘다고 생각했다. 마치 만화영화 속, 열대지방에 나오는 꽃 같았다. 실제 열대지방 꽃이다.

협죽도가 사라진 이유는 독성 때문이다. 꽃, 잎 등 식물 전체에 독성이 있다.

그래서 차츰 가로수는 다른 식물로 대체되었다.  

어린 시절에는 꽃을 꺾고 자주 만졌는데, 문제가 된 적이 없었다.

줄기를 꺾으면 하얀 즙이 나오는데, 이 하얀 즙이 피부 상처에 닿으면 위험하다고 한다. 



http://www.jadam.kr/news/articleView.html?idxno=7033


작가의 이전글 8월 첫 주 일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